본 연구는 공공기관과 국민 간의 소통을 위한 노력이 다양한 측면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나, 공문서를 매개로 하는 소통에 있어서 여전히 어려운 점이 있음에 주목하여, 공문서 소통성을 증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46072
-
2015년
Korean
공공문식성 ; 공문서 ; Public Literacy ; Official Document ; Eye-Tracker ; Korean Language Education ; Readability ; Legibility ; Communicating ; Literacy Transformation ; 소통성 ; 문장 복잡도 ; 텍스트 복잡도 ; 민원문서 ; 인터넷 민원문서 ; 보도자료 ; 눈동자 움직임 ; 공무원 ; 일반인 ; 기자 ; 읽기 특성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공공기관과 국민 간의 소통을 위한 노력이 다양한 측면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나, 공문서를 매개로 하는 소통에 있어서 여전히 어려운 점이 있음에 주목하여, 공문서 소통성을 증진...
본 연구는 공공기관과 국민 간의 소통을 위한 노력이 다양한 측면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나, 공문서를 매개로 하는 소통에 있어서 여전히 어려운 점이 있음에 주목하여, 공문서 소통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주요 연구 내용으로는 공문서에 대한 양적, 질적 분석 기준을 마련한 후, 그에 근거하여 공문서의 수준과 특성을 밝혔다. 이를 바탕으로 시선추적장치를 활용한 일반인, 공무원의 공문서 읽기 특성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소통 맥락에 따른 공문서의 변환 과정 및 수용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공문서 소통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마련하였다. 각 연구 내용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공공문식성의 재개념화와 공문서의 특성
1차년도에는 공공문식성과 공문서를 재개념화하고, 공문서의 유형 및 특성을 고려한 이독성(Readability)이나 가독성(Legibility)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공공문식성을 “공문서를 매개로 이루어지는 소통의 맥락에서 소통의 주체가 그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고 표현할 수 있는 능력”으로 재개념화하였다. 국민들이 손쉽게 접하는 공문서(안내문, 법령, 민원 서식)를 생애주기별로 선정·수집하여 공문서 소통의 실태를 양적,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전체적인 분석 결과 최근 몇 년 동안 국내에서 통용된 교육 및 의료 분야의 주요 공문서들은 불필요한 외래어 및 외국어 표기를 삼가고, 성별이나 문화, 종교 등과 관련한 차별적인 표현을 별로 사용하지 않고 있다는 점이 높이 평가되었다. 또한 맞춤법이나 표준어 규정 등이 대체로 지켜지고 있는 편이긴 하나 전체적으로는 여전히 만족스럽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띄어쓰기나 문장의 길이, 어려운 어휘나 전문 용어 등에 대한 부가 설명 등에서 많은 문제점을 보여주고 있다.
● 공문서의 이독성(난이도)와 특성
공문서에 대한 정량적 분석 결과, 법령 텍스트의 경우 교육과 의료 분야 모두에서 쉬운 단어와 함께 어려운 단어들이 상당히 섞여 있었고, 안내문에 있어서는 교육 분야보다 의료 분야에서 어려운 단어들이 상대적으로 많이 쓰이고 있었다. 법령과 안내문을 비교해 보았을 때에 안내문보다 법령이 쉬운 단어 비율이 낮고 어려운 단어의 비율이 높아, 대체로 법령이 안내문보다 어휘 난이도가 높게 나타났다. 문장 복잡도의 경우에도 안내문보다 법령의 문장 구조가 복잡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법령이 문장 구조가 복잡하고 문장 성분이 다양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어휘 요인과 문장의 복잡도 요인을 모두 고려하여 각 공문서의 학년 수준을 가늠해 본 결과, 안내문의 수준은 11.38(학년), 법령의 수준은 11.46(학년)으로 안내문과 법령 모두 국민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se Korean official documents in order to verify the communicacy and increse Public literacy of the public. Our main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The Assessments and Analyses of Korean Official Docum...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se Korean official documents in order to verify the communicacy and increse Public literacy of the public. Our main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The Assessments and Analyses of Korean Official Documents Focused on Public Literacy', 'An Analysis on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Internet Civil Application Document', 'The analysis reading process aspects public servants and general people using the eye-tracker', 'Critical analysis of Journal's Articles on Reading Discourse through Press Releases'.
●The Assessments and Analyses of Korean Official Documents Focused on Public Literacy
In order to accomplish this research purpose, we reconceptualized the term ‘public literacy’ and ‘official document’. We also collected and selected all 36 documents along the lifelong period in those two areas. and analysed them by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The findings of data analysis showed that the Degree of Text Complexity of public documents is 11.5Y and Sentence Complexity 10Y, which means the users would have some difficulties in communicating through the official documents. In particular the communicacy of civil application document text was a little high but guide information text and legal text was low relatively. The res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