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현재 우리 나라 공적 재해구호대책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재해정신보건사업의 필요성을 강조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재해정신보건사업이 활성화되어 있는 미국에서 실시한 관련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현재 우리 나라 공적 재해구호대책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재해정신보건사업의 필요성을 강조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재해정신보건사업이 활성화되어 있는 미국에서 실시한 관련 ...
본 연구는 현재 우리 나라 공적 재해구호대책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재해정신보건사업의 필요성을 강조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재해정신보건사업이 활성화되어 있는 미국에서 실시한 관련 전문가들에 대한 면접조사와 문헌조사를 통하여 재해정신보건체계에서 사회복지사가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한국과 미국에서 각각 실시한 주민면접조사에서는 한국 주민의 재해시 정신보건서비스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도가 미국 주민 못지 않게 높았으며 이를 위한 주요담당전문가로서 사회복지사를 선택한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나서 재해정신보건사업에 관한 사회복지적 대응이 매우 필요함이 파악되었다. 이러한 조사결과에 근거하여 우리 나라 재해구호체계에서의 정신보건사업의 활성화 방안과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역할의 확대를 제안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attention to a disaster mental health system which has yet to be established in Korea, and to emphasize the role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in this setting. The study was based on an overview of disaster ment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attention to a disaster mental health system which has yet to be established in Korea, and to emphasize the role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in this setting. The study was based on an overview of disaster mental health systems in the United State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s with disaster mental health workers and passers-by. Interviews were also done in Korea with locals of a disaster area and workers of the disaster relief system. Findings are discussed in terms of establishing a disaster mental health service program in the public disaster relief system in Korea. It is suggested that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broaden their point of view on their role from limited psychiatric social workers for the chronically mentally disabled to disaster mental health workers, which enable them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prevention service system of community mental health.
목차 (Table of Contents)
치료견 보조프로그램이 정신분열병 환자의 사회기능수준향상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