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문화적 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한 웹기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예비유아교사들에게 적용하여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는 지금까지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94669
-
2014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문화적 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한 웹기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예비유아교사들에게 적용하여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는 지금까지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문화적 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한 웹기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예비유아교사들에게 적용하여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는 지금까지 대부분의 웹기반 선행연구들이 학습자의 만족도나 학습효과에 영향을 주는 학습자 변인 탐색에 집중되어온 것과 문화적 역량에 대한 연구들이 교사의 다문화교수역량에 집중되어 온 것을 재고하고 최근의 담론들을 반영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웹기반의 기술적 테크놀로지와 문화적 역량 증진을 위한 학습목표들이 어떻게 온라인 학습효과 증진을 위해 적용될 수 있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문헌분석, 전문가 면담 및 예비유아교사 요구도 조사를 바탕으로 예비유아교사의 웹기반 문화적 역량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최종 개발된 예비유아교사의 웹기반 문화적 역량 증진 프로그램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문화적 역량 증진이며, 목표는 1)문화적 공감능력 향상 2)문제해결력 향상 3)비판적(반성적) 사고력 증진 4)다문화교육에 대한 이해이다. 본 프로그램의 학습주제와 내용은 총 12주 학습내용으로, 다문화사회 이해, 다문화정책과 교육 이해, 유아다문화교육 이해, 문화적 공감, 문제해결력, 비판적 사고력, 유아다문화교실 만들기로 구성되었다. 학습자들은 주차별로 온라인 강의시청을 통해 학습내용을 배우고 주어진 학습과제를 제출하게 된다. 학습내용에 따라 온라인 토론방을 활용하여 토론에 참여하거나 관련 영상 시청 후 감상문을 탑재하게 된다. 최종 완성된 문화적 역량 증진 프로그램은 다음카페(cafe.daum.net)를 활용하여 웹기반 문화적 역량 증진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다.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습자는 대학의 유아교사양성학과에 재학 중인 4학년들로, 학습자는 Internet Explore를 이용하여 인터넷 사이트(http://cafe.daum.net/ccpt) 로 들어가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된다. 카페 메인화면은 공지사항, 자기소개, 수업내용, 자료(보충자료)탑재, 과제 탑재방, 조별토론방, 질문방으로 구성되었으며, 프로그램 내용 관련 사이트를 링크(다누리, 다브러리,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국제이해교육원, 중앙다문화교육센터, 여성가족부)하여 필요한 정보를 자유롭게 열람할 수 있도록 하였다. 수업내용은 학습자가 로그인을 하고 주차별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학습자는 수업내용 방에서 주차별 해당학습 ppt자료와 동영상을 시청하고 과제를 제출한다. 본 프로그램의 적용이 종료되면 그 효과를 다문화교육 국제학술대회에서 발표하고 논문을 게재할 예정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for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web-based cultural competency program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The study started from problems that pilot studies were focused on students' satisfaction and effect factors about web-ba...
This study was for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web-based cultural competency program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The study started from problems that pilot studies were focused on students' satisfaction and effect factors about web-based program and teacher's teaching skill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Thus, this study tried to combined web-based technology and learning contents for cultural competency.
For the purpose, the web-based cultural competency program for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was developed. First, the program goal is improvement of cultural competency for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Second, the program objectives are improvement of 1) cultural empathy 2) problem solving skill 3) critical(reflective) thinking skill 4)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ird, the program contents have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society,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policy and education, understanding of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cultural empathy, problem solving skill, critical thinking skill, and making of multicultural classroom for 12 weeks. Finally, the web-based cultural competency program was opened though the web-site(cafe.daum.net). Th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login the web-s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