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resent study aims to identify the moral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moral self” theory proposed by Blasi. Blasi conceived of the “moral self” as a key foothold in the process of approaching integrated moral development. This concept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009687
2019
-
블라지 ; 도덕적 자아 ; 자아 모델 ; 도덕적 통합 ; 도덕교육 ; A. Blasi ; Moral self ; Self model ; Moral integration ; Moral education
373
KCI등재
학술저널
855-873(19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esent study aims to identify the moral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moral self” theory proposed by Blasi. Blasi conceived of the “moral self” as a key foothold in the process of approaching integrated moral development. This concept ...
The present study aims to identify the moral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moral
self” theory proposed by Blasi. Blasi conceived of the “moral self” as a key foothold in the process of approaching integrated moral development. This concept of “moral self” is currently understood as significant in explaining the bridge between cognition and behavior. However, describing the significance of the moral self only in these terms, without further explanation, may lead to the perception that Blasi s discussion is only concerned with changes in the superficial actions of subjects through cognition. This perception distorts the significance of the concept of the “moral self.” Blasi’s concept of “moral self” should be discussed with concept of “moral integration,” because his intentions can only be understood properly when viewed in this way. In simple term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at Blasi was posing important questions about what human mind is, and how to cultivate it.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재호, "초등도덕과 수업활동에 관한 쟁점 탐색"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54) : 351-375, 2016
2 Blasi, "블라지의 도덕심리학 도덕 발달, 자아, 정체성" 교육과학사 2018
3 차미란, "블라지의 ‘도덕적 통합’ 개념: 도덕심리학적 의의와 교육이론적 함의"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57) : 231-254, 2017
4 추병완, "블라지(Blasi)의 자아 모델에 대한 비판적 평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6 (16): 1-28, 2013
5 김태훈, "블라시(A. Blasi)의 도덕적 정체성 동기화론에 관한 연구"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58) : 137-157, 2018
6 Munzel, G. F., "도덕철학과 도덕심리학" 인간사랑 2013
7 이정렬, "도덕적 인격 형성을 위한 도덕적 정체성의 역할과 도덕교육적 함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9
8 손경원, "도덕적 동기의 근원으로서의 도덕적 정체성" 한국윤리교육학회 (8) : 197-218, 2005
9 추병완, "도덕심리학의 전통과 새로운 동향" 교육과학사 2017
10 Blasi, "도덕심리학과 도덕교육" 인간사랑 2008
1 이재호, "초등도덕과 수업활동에 관한 쟁점 탐색"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54) : 351-375, 2016
2 Blasi, "블라지의 도덕심리학 도덕 발달, 자아, 정체성" 교육과학사 2018
3 차미란, "블라지의 ‘도덕적 통합’ 개념: 도덕심리학적 의의와 교육이론적 함의"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57) : 231-254, 2017
4 추병완, "블라지(Blasi)의 자아 모델에 대한 비판적 평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6 (16): 1-28, 2013
5 김태훈, "블라시(A. Blasi)의 도덕적 정체성 동기화론에 관한 연구"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58) : 137-157, 2018
6 Munzel, G. F., "도덕철학과 도덕심리학" 인간사랑 2013
7 이정렬, "도덕적 인격 형성을 위한 도덕적 정체성의 역할과 도덕교육적 함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9
8 손경원, "도덕적 동기의 근원으로서의 도덕적 정체성" 한국윤리교육학회 (8) : 197-218, 2005
9 추병완, "도덕심리학의 전통과 새로운 동향" 교육과학사 2017
10 Blasi, "도덕심리학과 도덕교육" 인간사랑 2008
11 Hogan, R., "도덕성의 발달과 심리" 학지사 2004
12 Blasi, "도덕성의 발달과 심리" 학지사 2004
13 정창우, "도덕교육의 새로운 해법" 교육과학사 2004
14 한찬희, "도덕교육의 내용으로서의 ‘가치’"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61) : 85-112, 2018
15 교육부, "도덕과 교육과정(고시 제2015-75호〔별책 6〕)"
16 Lapsley, D. K., "도덕 심리학" 중앙적성출판사 2000
17 노영란, "덕윤리의 도덕심리학적 고찰" 철학과 현실사 2015
18 Blasi, "The Moral Self" MIT Press 1993
19 Blasi, "Moral Education: Theory and Application" LEA 433-444, 1985
20 Blasi, "Moral Cognition and Moral Action : A Theoretical Perspective" 3 : 178-210, 1983
21 Blasi, A., "Bridging Moral Cognition and Moral Action :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88 : 1-15, 1980
초등교사의 소명의식과 행복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과 향상초점의 매개효과
2009 개정 초등과학교과서에 제시된 캐릭터 삽화의 역할 및 유형 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9 | 1.29 | 1.3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7 | 1.42 | 1.436 | 0.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