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교육 시간에 따른 학습동기, 학습전략 사용 및 학업성취도의 변화 = Changes in Academic Motivation, Learning Strategy Use, and Test Scores by Private Tutoring Hou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449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private tutoring hours, academic motivation, use of learning strategies, and academic achievement test score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sample consisted of 3,607 7th graders from Korean middle schools who were included in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The results suggest that there was no evidence that the private tutoring hours predicted students' motivation and learning strategy use. It was found that the private tutoring hours predicted achievements in English and Math, but it was negligible in magnitude. As for achievement test scores, academic motivation and the use of learning strategies played more critical role rather than the private tutoring hour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private tutoring hours, academic motivation, use of learning strategies, and academic achievement test score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sample consisted of 3,607 7th...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private tutoring hours, academic motivation, use of learning strategies, and academic achievement test score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sample consisted of 3,607 7th graders from Korean middle schools who were included in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The results suggest that there was no evidence that the private tutoring hours predicted students' motivation and learning strategy use. It was found that the private tutoring hours predicted achievements in English and Math, but it was negligible in magnitude. As for achievement test scores, academic motivation and the use of learning strategies played more critical role rather than the private tutoring hou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사교육 시간과 교과별 학습동기 및 인지ㆍ행동전략으로 이루어진 학습전략 사용과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고, 궁극적으로 사교육이 학업성취도를 어떻게 예측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2005년 당시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실시된 한국교육종단연구(KELS 2005)의 1-2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사교육이 학습동기와 학습전략의 사용에 도움을 준다는 증거는 찾을 수 없었으며, 학업성취도 역시 영어와 수학교과에 한해서만 통계적으로 미미한 수준에서 사교육과 정적인 관계를 보였다. 학업성취도 향상에는 사교육보다 오히려 학습동기와 학습전략이 더욱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이 연구에서는 사교육 시간과 교과별 학습동기 및 인지ㆍ행동전략으로 이루어진 학습전략 사용과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고, 궁극적으로 사교육이 학업성취도를 어떻게 예측하는지 살펴보...

      이 연구에서는 사교육 시간과 교과별 학습동기 및 인지ㆍ행동전략으로 이루어진 학습전략 사용과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고, 궁극적으로 사교육이 학업성취도를 어떻게 예측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2005년 당시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실시된 한국교육종단연구(KELS 2005)의 1-2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사교육이 학습동기와 학습전략의 사용에 도움을 준다는 증거는 찾을 수 없었으며, 학업성취도 역시 영어와 수학교과에 한해서만 통계적으로 미미한 수준에서 사교육과 정적인 관계를 보였다. 학업성취도 향상에는 사교육보다 오히려 학습동기와 학습전략이 더욱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종단연구 2005" 한국교육개발원 2005

      2 김성일, "한국 학생의 학업에 대한 흥미: 실태, 진단 및 처방" 한국사회문제심리학회 14 (14): 187-221, 2008

      3 봉미미, "한국 청소년의 학습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문화적 요인 탐색" 한국사회문제심리학회 14 (14): 319-348, 2008

      4 김성일, "학습에 대한 흥미와 내재동기증진을 위한 학습환경디자인" 한국교육방법학회 16 (16): 39-66, 2004

      5 오영수, "일반계 고등학생의 성적결정 요인 분석"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12 (12): 2-56, 2003

      6 임천순, "사교육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13 (13): 331-356, 2004

      7 김영화, "사교육의 가능성과 한계" 한국교육사회학회 13 (13): 85-108, 2003

      8 이명헌, "사교육(과외)의 학업성취도 향상 효과에 관한 연구" 431-445, 2005

      9 이규민, "국가수준의 종단적 교육조사 연구를 위한 성취도 검사 및 척도개발" 한국교육개발원 2006

      10 홍세희,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과 그 근거" 19 (19): 161-177, 2000

      1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종단연구 2005" 한국교육개발원 2005

      2 김성일, "한국 학생의 학업에 대한 흥미: 실태, 진단 및 처방" 한국사회문제심리학회 14 (14): 187-221, 2008

      3 봉미미, "한국 청소년의 학습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문화적 요인 탐색" 한국사회문제심리학회 14 (14): 319-348, 2008

      4 김성일, "학습에 대한 흥미와 내재동기증진을 위한 학습환경디자인" 한국교육방법학회 16 (16): 39-66, 2004

      5 오영수, "일반계 고등학생의 성적결정 요인 분석"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12 (12): 2-56, 2003

      6 임천순, "사교육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13 (13): 331-356, 2004

      7 김영화, "사교육의 가능성과 한계" 한국교육사회학회 13 (13): 85-108, 2003

      8 이명헌, "사교육(과외)의 학업성취도 향상 효과에 관한 연구" 431-445, 2005

      9 이규민, "국가수준의 종단적 교육조사 연구를 위한 성취도 검사 및 척도개발" 한국교육개발원 2006

      10 홍세희,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과 그 근거" 19 (19): 161-177, 2000

      11 김청자, "과외수업이 학교 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8 (8): 61-89, 2001

      12 반상진, "과외가 학습성취에 미치는 영향 분석" 493-530, 2005

      13 상경아, "고등학생의 수학 과외가 학업성취도, 태도,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평가학회 18 (18): 42-58, 2005

      14 한대동, "고등학생 학업성취에 대한 학교효과와 과외효과의 비교연구" 11 (11): 33-54, 2001

      15 김현진, "가정배경과 학교교육 그리고 사교육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25 (25): 485-508, 2007

      16 이규민, "「한국교육종단연구」의 표본설계, 자료의 질관리 및 분석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7

      17 Ryan, R. M., "“Should I ask for help?” The role of motivation and attitudes in adolescents' help seeking in math class" 89 : 329-341, 1997

      18 Weinstein, C. E., "The teaching of learning strategies. in: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ing" Macmillan 315-327, 1986

      19 Pintrich, P. R., "The role of motivation in promoting and sustaining self-regulated learning" 31 : 459-470, 1999

      20 Turner, J. C., "The classroom environment and students' reports of avoidance strategies in mathematics: A multimethod study" 94 : 88-106, 2002

      21 Ryan, R. M., "Self-regulation and the problem of human autonomy: Does psychology need choice, self-determination, and will?" 74 : 1557-1586, 2006

      22 Bandura, 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 change" 84 : 191-215, 1977

      23 Pajares, F., "Self-efficacy beliefs in academic settings" 66 : 543-578, 1996

      24 Schunk, D. H., "Self-efficacy and academic motivation" 26 : 207-231, 1991

      25 Bray, M., "Private supplementary tutoring: comparative perspectives on patterns and implications" 36 : 515-530, 2006

      26 Kline, R. B.,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Guilford Press 1998

      27 Smith, T. W., "On the self-serving function of an academic wooden leg: Test anxiety as a self-handicapping strategy" 42 : 314-321, 1982

      28 Pintrich, P. R.,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82 : 33-40, 1990

      29 Eccles, J. S., "Motivation to succeed. In W. Damon(Ed.),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in: Social, emotion, and personality development" Wiley 1017-1095, 1998

      30 Hidi, S., "Motivating the academically unmotivated: A critical issue for the 21st century" 70 : 151-179, 2000

      31 Brophy, J., "Motivating students to learn" McGraw-Hill 1998

      32 Baker, L., "Metacognitive skills and reading. in: Handbook of reading research" Lawrence Erlbaum Associates 356-394, 1984

      33 Haag, L., "Is private tutoring effective? an evaluation study" 15 : 38-44, 2001

      34 Newman, R. S., "Goals and self-regulated learning: What motivates children to seek academic help. in: Advances in motivation and achievement, Vol. 7" JAI Press 151-183, 1991

      35 Eccles, J. S., "Expectancies, values, and academic behaviors. in: Achievement and achievement motivation" Freeman 75-146, 1983

      36 Zimmerman, B. J., "Construct validation of a strategy model of student self-regulated learning" 80 : 284-290, 1988

      37 Bong, M., "Comparison between self-concept and self-efficacy in academic motivation research" 34 : 139-153, 1999

      38 Wigfield, A., "Changes in children's competence beliefs and subjective task values across the elementary school years: A three-year study" 89 : 451-469, 1997

      39 Wolters, C. A., "Advancing achievement goal theory: Using goal structures and goal orientations to predict students’ motivation, cognition, and achievement" 96 : 236-250, 2004

      40 Elliot, A. J., "Achievement goals, study strategies, and exam performance: A mediational analysis" 91 : 549-563, 1999

      41 통계청, "2008년 사교육비조사 결과" 통계청 사회복지통계과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9-07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사회문제심리학회 ->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KCI등재
      2012-09-0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3 1.13 1.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9 1.4 2.149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