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대학에서의 학교사회복지 교육내용에 대한 분석: 교과과정 및 교재분석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Textbooks and Curricula on School Social Welfare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449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ntents of textbooks and curricula on school social welfare in Korea.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survey of 69 universities sampled out of the member schools of Korean Council on Social Welfare Education and school social workers was conducted. In addition, a focus group interview was made with school social workers having more than 3 year experiences in school settings, and five textbooks on school social welfare were chosen to analyze their contents. The results showed that most of the surveyed universities offered subjects on school social welfare for the 3rd grade students and operated the subjects in connection to practice in the fields of social welfare. Education on school social welfare needed to reinforce basic contents such as basic concepts, school environment and related policies, to develop standardized practical cases, and to supplement contents for understanding the fields of school social welfare. In addition, it was required to provide continuous education contents in connection to introductory subjects related to school social welfare. Textbooks of school social welfare should be improved through clarifying concepts related to school social welfare, strengthening education on school social workers’ intervention skills and evaluation tools for their practices, and suggesting the forecasts of school social welfare. Based on these results, the future direction and implications for school social welfare education were discussed.
      번역하기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ntents of textbooks and curricula on school social welfare in Korea.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survey of 69 universities sampled out of the member schools of Korean Council on Social Welfare Edu...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ntents of textbooks and curricula on school social welfare in Korea.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survey of 69 universities sampled out of the member schools of Korean Council on Social Welfare Education and school social workers was conducted. In addition, a focus group interview was made with school social workers having more than 3 year experiences in school settings, and five textbooks on school social welfare were chosen to analyze their contents. The results showed that most of the surveyed universities offered subjects on school social welfare for the 3rd grade students and operated the subjects in connection to practice in the fields of social welfare. Education on school social welfare needed to reinforce basic contents such as basic concepts, school environment and related policies, to develop standardized practical cases, and to supplement contents for understanding the fields of school social welfare. In addition, it was required to provide continuous education contents in connection to introductory subjects related to school social welfare. Textbooks of school social welfare should be improved through clarifying concepts related to school social welfare, strengthening education on school social workers’ intervention skills and evaluation tools for their practices, and suggesting the forecasts of school social welfare. Based on these results, the future direction and implications for school social welfare education were discu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4년제 대학 교육과정에서 학교사회복지과목의 교육 내용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회원교 중 69개 대학과 24명의 학교사회복지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현장경력 3년 이상의 학교사회복지사 5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5권의 학교사회복지론 교재를 선정하여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설문 조사에 응답한 대부분의 대학에서 학교사회복지론은 3학년에 개설되어 사회복지현장실습과 연계되고 있었다. 학교사회복지 교육은 학교사회복지의 기본 개념, 학교환경 및 관련정책 등 기초 내용 등이 강화가 되어야 하며, 표준화된 학교사회복지 실천 사례를 개발하고, 실천현장을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이 보완되어야 한다. 또한 학교사회복지와 관련된 기초 과목들과도 연계하여 연속적인 교육내용이 제공되어야 한다고 조사되었다. 또한 학교사회복지교재는 학교사회복지 개념의 명료화, 대상 및 체계에 대한 명확화, 학교사회복지사의 개입과정 교육 강화, 학교사회복지 실천의 효과성 평가방법과 학교사회복지의 과제와 전망 등의 내용 보완이 되어야 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사회복지 교육방향성 모색에 필요한 의견을 제언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4년제 대학 교육과정에서 학교사회복지과목의 교육 내용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회원교 중 69개 대학과 24명의 학교사회복지사들...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4년제 대학 교육과정에서 학교사회복지과목의 교육 내용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회원교 중 69개 대학과 24명의 학교사회복지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현장경력 3년 이상의 학교사회복지사 5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5권의 학교사회복지론 교재를 선정하여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설문 조사에 응답한 대부분의 대학에서 학교사회복지론은 3학년에 개설되어 사회복지현장실습과 연계되고 있었다. 학교사회복지 교육은 학교사회복지의 기본 개념, 학교환경 및 관련정책 등 기초 내용 등이 강화가 되어야 하며, 표준화된 학교사회복지 실천 사례를 개발하고, 실천현장을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이 보완되어야 한다. 또한 학교사회복지와 관련된 기초 과목들과도 연계하여 연속적인 교육내용이 제공되어야 한다고 조사되었다. 또한 학교사회복지교재는 학교사회복지 개념의 명료화, 대상 및 체계에 대한 명확화, 학교사회복지사의 개입과정 교육 강화, 학교사회복지 실천의 효과성 평가방법과 학교사회복지의 과제와 전망 등의 내용 보완이 되어야 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사회복지 교육방향성 모색에 필요한 의견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혜경, "한국사회복지학의 고등교육 50년: 사회복지의 제도화와 고등교육의 대중화를 배경으로" 1 (1): 69-96, 2005

      2 홍선미, "한국사회복지교육인증제의 필요성과 도입방안" 2009

      3 이혜원, "학생권리와 학교사회복지" 한울아카데미 2009

      4 한인영, "학교와 사회복지실천" 나남 2004

      5 문영희, "학교와 사회복지" 유풍출판사 2005

      6 한인영, "학교와 사회복지" 학문사 1997

      7 전재일, "학교사회사업실천 어떻게 할 것인가?" 사회복지개발연구원 1999

      8 문영희, "학교사회사업론" 양서원 2005

      9 김은수, "학교사회사업론" 홍익제 2005

      10 전재일, "학교사회사업론" 사회복지개발연구원 1997

      1 이혜경, "한국사회복지학의 고등교육 50년: 사회복지의 제도화와 고등교육의 대중화를 배경으로" 1 (1): 69-96, 2005

      2 홍선미, "한국사회복지교육인증제의 필요성과 도입방안" 2009

      3 이혜원, "학생권리와 학교사회복지" 한울아카데미 2009

      4 한인영, "학교와 사회복지실천" 나남 2004

      5 문영희, "학교와 사회복지" 유풍출판사 2005

      6 한인영, "학교와 사회복지" 학문사 1997

      7 전재일, "학교사회사업실천 어떻게 할 것인가?" 사회복지개발연구원 1999

      8 문영희, "학교사회사업론" 양서원 2005

      9 김은수, "학교사회사업론" 홍익제 2005

      10 전재일, "학교사회사업론" 사회복지개발연구원 1997

      11 한인영, "학교사회사업" 학지사 2006

      12 성민선, "학교사회복지의 이론과 실제(2판)" 학지사 2009

      13 성민선, "학교사회복지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04

      14 안정선, "학교사회복지사의 직무분석과 직무표준안 개발" 한국아동복지학회 21 (21): 147-179, 2006

      15 안정선, "학교사회복지사의 기초 직무역량 분석을 통한 교과과정 개선안 연구" 2009

      16 홍봉선, "학교사회복지론" 공동체 2009

      17 성민선, "학교사회복지론" 시그마프레스 2008

      18 한국학교사회복지사협회, "학교사회복지 자격증 취득자 현황"

      19 한국학교사회복지사협회부설 교육복지연구소, "학교교육과 복지" 양서원 2006

      20 진혜경, "학교 내 복지서비스 전문 인력의 직무 연구: 학교사회복지사와 지역사회교육전문가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0 (10): 139-165, 2008

      21 이봉주, "전문사회복지사 자격제도 도입에 관한 고찰" 2009

      22 홍선미, "사회복지실천교육에서의 전문성" 참여연대사회복지위원회 54 : 12-14, 2003

      23 남기철, "사회복지실천 교육과 사회복지사양성: 교과과정과 교과서 내용을 중심으로" 17 : 47-88, 2004

      24 한국사회복지사협회, "사회복지 교육기관 및 사회복지사 자격증 교부현황" 2008

      25 Crisp, B. R., "What can we learn about social work assessment from the textbook?" 6 (6): 337-359, 2006

      26 Altshuler, S. J., "School social work: Increasing the legitimacy of the profession" 31 (31): 207-218, 2009

      27 Stone, S., "Do school social work textbooks provide a sound guide for education and practice?" 29 (29): 109-118, 2007

      28 Allen-Meares, P., "Analysis of tasks in school social work" 22 : 196-201, 1977

      29 Costin, L. B., "An analysis of the tasks in school social work" 43 : 274-285, 1969

      30 Nelson, C., "A job analysis of school social workers" Educational Testing Service 199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학교사회사업 -> 학교사회복지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9 1.89 2.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19 2.1 2.712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