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학의 자주성과 공공성에 대한 사립학교법의 주요 개정내용 분석 = A Study on the Revision of Private School Law on the Self-reliance and the Public Characteristics of Private Schoo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027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which analyzed the revision of the Private School Law in terms of ensuring the independence of private schools and strengthening public character, are as follows. First, in the Lawmaking Period (1961-1993), it can be s...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which analyzed the revision of the Private School Law in terms of ensuring the independence of private schools and strengthening public character, are as follows.
      First, in the Lawmaking Period (1961-1993), it can be seen that the government has continuously strengthened its public character of prioritizing open values for private schools.
      Second, in the period of Extended Self-reliance (1993-1997), instead of easing regulations on the number of directors of school corporations, the Private School Law on the Introduction of an External Audit System for the Accounting of School Firms was amended to enhance the independence of the Board of Directors through the enhancement of professionalism and to increase the public nature and transparency of the operation of private schools.
      Third, in the period of the conflict between self-reliance and public nature (1998-currently), under the progressive administration there was a revision of the law to establish a university council and introduce an open board system to improve the nepotistic management system of private schools despite conflicts between progressive and conservative camps, whereas under the conservative administration there was a revision of the law that clearly classified school expenses, corporate and fund accounts based on tuition.
      The Moon's government also revised the law to reinforce the supervisory authority for both private schools and educational foundations, which avoid disciplinary action from the competent authority.
      The overall trend over the past 60 years has gradually reduced the government's authority to supervise and supervise, and on the contrary, it is steadily increasing the autonomy of the school corporation, the main body of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private school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사립학교법의 제정과 개정과정에서 사립학교의 자주성과 공공성이 어떻게 반영되어 왔는지에 대한 탐색을 통하여 자주성과 공공성, 어떤 측면이 강조되어 왔는지를 분석하고자 ...

      이 연구는 사립학교법의 제정과 개정과정에서 사립학교의 자주성과 공공성이 어떻게 반영되어 왔는지에 대한 탐색을 통하여 자주성과 공공성, 어떤 측면이 강조되어 왔는지를 분석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개정 시기별 주요 개정의 주요 내용에 대한 분석결과는 ①「법제정기」(1961년∼1993)에서는 사립학교에 대한 공익적 가치를 우선시하는 공공성 강화에 중점을 두었으며, ②「자주성 신장기」(1993-1997)에서는 학교법인 이사 수에 대한 규제를 완화하는 대신에 전문성 증진을 통한 이사회 자주성 신장과 더불어 사립학교 운영의 공공성과 투명성을 높이기 위하여 학교법인 회계에 대하여 외부 감사제도 도입하는 법 개정을 하였으며, ③ 「자주성과 공공성 갈등기」(1998-현재)에서는 진보진영과 보수진영의 갈등에도 불구하고 사립학교의 족벌운영 체제 개선을 위한 대학평의회 설치 및 개방이사제도 도입의 법 개정이 있었고, 등록금을 기본으로 하는 교비회계, 법인회계. 기금회계 등을 명확하게 구분하는 법 개정이 있었고, 관할청의 징계요구를 면탈하는 사립학교와 학교법인에 대한 지도・감독권 강화하기 위한 법 개정이 있었다.
      사립학교법 개정의 주요 특징은 ① 사립학교법의 제정과 개정은 일부 사학의 비리와 부조리가 여전히 재현되는 실정에서 자주성 보다는 공공성 강화를 주요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② 사립학교법 개정의 주요 쟁점은 학교법인의 거버넌스의 개선, 교원의 신분보장, 재정 운영의 투명성 확보, 관할청의 지도・감독권, 기타 사립학교 운영 및 제도개선 등이며, ④ 자주성과 공공성의 갈등이 심각하게 표출되었던 사립학교법 개정은 대학평의회와 학교운영위원회의 도입, 개방이사 도입관련 개정이었으며, ⑤ 진보진영은 지속적으로 사학운영주체인 이사회의 거버넌스에 관심을 자진 반면에 보수진영은 사학재정의 투명성 확보에 상대적으로 많은 관심을 보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한국교육사"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04

      2 김보엽, "한국 사학정책의 변동 요인 및 과정 분석 : 국민의 정부 및 참여정부의 사립학교법 개정 사례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3 김관수, "중등 사학의 이념적 특성과 미래 발전 방향 탐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8

      4 김은아, "자주성과 공공성의 측면에서 본 제38차 사립학교법 개정과정 및 내용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8

      5 임동산, "자주성과 공공성의 관계를 중심으로 본 사립학교법 변천 과정과 쟁점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6 임중호, "입법과정의 개선 및 발전방향" 대한민국 국회 2004

      7 홍완식, "입법과정에 대한 평가제도의 현황과 개선방향 토론문, In 입법평가와 입법계획 그리로 정책평가" 한국법제연구원 2007

      8 박정수, "사학의 자율성 제고방안" 교육부 2002

      9 김영철, "사학의 건전 육성 방안 -사학 부패 방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8 (28): 325-349, 2001

      10 강경근, "사학운영의 자율성과 공공성 -개정 사립학교법을 중심으로-" 33-44,

      1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한국교육사"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04

      2 김보엽, "한국 사학정책의 변동 요인 및 과정 분석 : 국민의 정부 및 참여정부의 사립학교법 개정 사례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3 김관수, "중등 사학의 이념적 특성과 미래 발전 방향 탐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8

      4 김은아, "자주성과 공공성의 측면에서 본 제38차 사립학교법 개정과정 및 내용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8

      5 임동산, "자주성과 공공성의 관계를 중심으로 본 사립학교법 변천 과정과 쟁점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6 임중호, "입법과정의 개선 및 발전방향" 대한민국 국회 2004

      7 홍완식, "입법과정에 대한 평가제도의 현황과 개선방향 토론문, In 입법평가와 입법계획 그리로 정책평가" 한국법제연구원 2007

      8 박정수, "사학의 자율성 제고방안" 교육부 2002

      9 김영철, "사학의 건전 육성 방안 -사학 부패 방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8 (28): 325-349, 2001

      10 강경근, "사학운영의 자율성과 공공성 -개정 사립학교법을 중심으로-" 33-44,

      11 정민승, "사학법의 다이나믹" 한국교육연구소 23 : 187-206, 2007

      12 황준성, "사학교육에 관한 국민의 자유"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5

      13 이덕난, "사전적(事前的) 교육입법평가의 기준 설정과 그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27 (27): 185-204, 2009

      14 허종렬, "사립학교의 특수성 법리에 대한 헌법재판 동향의 분석" 대한교육법학회 12 : 285-311, 2000

      15 신현직, "사립학교의 법적 지위" 계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8 : 89-100, 1989

      16 이시우, "사립학교운영과 사립학교법" 대한교육법학회 13 : 101-133, 2001

      17 이종국, "사립학교법축조해설" 재동문화사 1982

      18 황준성, "사립학교법제에 관한 기초 연구" 대한교육법학회 18 (18): 207-238, 2006

      19 임재홍, "사립학교법의 위헌성과 교육개혁의 방향" 민주주의법학연구회 21 : 13-48, 2002

      20 이시우, "사립학교법의 개정과 법인이사회의 위상" 한국교육법학회 3 : 29-51, 1997

      21 임재홍, "사립학교법 운영원리에 관한 헌법재판소 판례비평" 민주주의법학연구회 22 : 85-114, 2002

      22 임재홍, "사립학교법 운영원리에 관한 헌법재판소 판례비평" 민주주의법학연구회 22 : 13-48, 2002

      23 이시우, "사립학교법 개정의 헌법적 제문제 - 학교법인 및 이사회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 한국헌법학회 11 (11): 179-221, 2005

      24 임재홍, "사립학교법 개정의 의미와 향후 과제 - 대학평의회를 중심으로" 민주주의법학연구회 (30) : 281-312, 2006

      25 김형구, "사립학교법 개정에서 살펴 본 사학의 자주성과 공공성의 관계" 한국교육개발원 32 (32): 301-325, 2005

      26 주영달, "사립학교법" 세창출판사 2010

      27 한국교육정책연구원, "사립학교 관련 개정 법률안 헌법적으로 옳은 것인가?" 2005

      28 한국교육정책연구원, "사립학교 관련 개정 법률안 무엇이 문제인가?" 2005

      29 강경근, "사립학교 관계법 개정안의 위헌성 연구" 한국헌법학회 11 (11): 243-275, 2005

      30 김영철, "사립대학 지배구조 개혁방안" 한국사학진흥재단 2009

      31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교육학대사전" 하우동설 1998

      32 이윤미, "교육정책의 자율성과 공공성 -공공성 강화의 관점에서-" 59-72,

      33 나병현, "공교육의 의미와 교육의 공공성 문제" 한국교육개발원 29 (29): 549-571, 2002

      34 한상희, "고등교육과 교육민주화: 사립학교법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민주주의법학연구회 (28) : 34-60, 2005

      35 표시열, "개정사립학교법의 헌법적 주요쟁점" 대한교육법학회 18 (18): 175-204, 2006

      36 이윤환, "개정사립학교법에 관한 헌법적 검토" 한국법학회 (22) : 47-67, 2006

      37 표시열, "개정 사립학교법에 관한 헌법적 검토-사학법상 관선사학 정상화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2006

      38 許在郁, "韓國 私立學校法에 관한 硏究 : 自主性과 公共性을 中心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1985

      39 김용호, "‘중등사학육성특별법‘ 제정에 관한 연구" 대한사립중고등학교장회 (27) : 200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4-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Law of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8 0.78 0.9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7 0.92 1.298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