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숙련된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 과제와 개선 방향 = Skilled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n Developing Lesson Plan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542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developing lesson plan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Seven skilled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cognized for their expertise in teaching participated in focus group interviews. The results are as follows: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d low self-efficacy in writing lesson plans and often developed annual and weekly lesson schedules, rather than daily lesson plans which were written for special occasions. Skilled teachers noted that lesson plans used in special education classes failed to mirror the uniqueness of special education in addressing student diversity.
      There was a lack of coherence in lesson plans to curricula and other related papers such as IEPs. However, skilled teachers admitted that establishing lesson plans was a
      single core task of instruction and helped themselves promote their expertise in teaching. Based on the results, considerations to improving lesson plan development in
      special education were suggest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developing lesson plan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Seven skilled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cognized for their expertise in teaching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developing lesson plan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Seven skilled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cognized for their expertise in teaching participated in focus group interviews. The results are as follows: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d low self-efficacy in writing lesson plans and often developed annual and weekly lesson schedules, rather than daily lesson plans which were written for special occasions. Skilled teachers noted that lesson plans used in special education classes failed to mirror the uniqueness of special education in addressing student diversity.
      There was a lack of coherence in lesson plans to curricula and other related papers such as IEPs. However, skilled teachers admitted that establishing lesson plans was a
      single core task of instruction and helped themselves promote their expertise in teaching. Based on the results, considerations to improving lesson plan development in
      special education were sugges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숙련된 특수교사 7인과의 초점집단 면담을 통해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과 관련된 그들의 경험과 앞으로의 개선 방향에 대한 의견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특수
      교사들이 그간 교수ㆍ학습과정안을 작성하면서 가진 경험과 인식은 2개의 대주제, 6개의 중 주제로 집약되었다. 숙련된 특수교사들은 일상적인 수업과 보여주기를 목적으로 하는 수업
      간의 괴리가 존재하며 교수ㆍ학습과정안의 분절성 문제를 지적하였다. 또한 교수ㆍ학습과정 안의 형식이나 내용이 특수교육적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교사들이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에
      대하여 낮은 효능감을 보이고 있음을 보고하였다. 교사들이 이러한 난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특수교육 교수설계 관련 연구와 논의를 늘리고 교사들의 교수설계 관련 전문성을 강화하는
      데 강력한 지원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특수교육에서의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과 관련된 개선방향과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숙련된 특수교사 7인과의 초점집단 면담을 통해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과 관련된 그들의 경험과 앞으로의 개선 방향에 대한 의견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특수 교사들...

      이 연구는 숙련된 특수교사 7인과의 초점집단 면담을 통해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과 관련된 그들의 경험과 앞으로의 개선 방향에 대한 의견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특수
      교사들이 그간 교수ㆍ학습과정안을 작성하면서 가진 경험과 인식은 2개의 대주제, 6개의 중 주제로 집약되었다. 숙련된 특수교사들은 일상적인 수업과 보여주기를 목적으로 하는 수업
      간의 괴리가 존재하며 교수ㆍ학습과정안의 분절성 문제를 지적하였다. 또한 교수ㆍ학습과정 안의 형식이나 내용이 특수교육적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교사들이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에
      대하여 낮은 효능감을 보이고 있음을 보고하였다. 교사들이 이러한 난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특수교육 교수설계 관련 연구와 논의를 늘리고 교사들의 교수설계 관련 전문성을 강화하는
      데 강력한 지원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특수교육에서의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과 관련된 개선방향과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 Ⅱ. 연구 방법 4
      • 1. 면담대상 4
      • 2. 자료 수집 4
      • 3. 연구 절차 6
      •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 Ⅱ. 연구 방법 4
      • 1. 면담대상 4
      • 2. 자료 수집 4
      • 3. 연구 절차 6
      • 1) 초점 집단 면담 실시 6
      • 2) 전사 6
      • 3) 자료 분석 7
      • 4) 질적 검증을 위한 노력 7
      • Ⅲ. 연구 결과 7
      • 1. 특수교육 교수설계의 당면 과제 8
      • 1) 일상 수업과 보여주는 수업 간의 괴리 8
      • (1) 정신적 표상 수준의 일상적인 수업 계획 9
      • (2) 특별행사와 같은 보여주기에 초점을 맞춘 교수ㆍ학습과정안의 작성 9
      • 2) 흐름과 맥이 없는 분절적인 교수설계 10
      • (1) 연간교육계획과는 무관한 제재 선택하여 교수학습 과정안의 작성 10
      • (2) 다른 수업관련 자료와의 미흡한 연계와 목표-활동간 통일성의 부족 10
      • 3) 특수하지 않은 특수교육 교수ㆍ학습과정안 11
      • (1) 일반교육의 교수ㆍ학습과정안과 차별성이 드러나지 않은 특수교육 교수ㆍ학습과정 안의 형식과 내용 11
      • (2) 특수교육 배치가 고려되지 않은 차별성 없는 교수설계 12
      • 4) 교사의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과 관련된 지식, 경험 및 지원의 부족 12
      • (1)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에 대한 교사의 낮은 자기 효능감 12
      • (2) 지원 없이 교사 개인의 역량에만 의존하는 교수설계의 부담감 13
      • 2. 특수교육 수업의 질 향상을 위한 교수설계 지원 방안 13
      • 1)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 경험을 통한 교수 전문성의 신장 13
      • (1) 교수ㆍ학습과정안 작성을 통한 교사 개인 역량의 강화 13
      • (2) 교수설계 관련 경험 공유 및 수업 컨설팅 지원의 필요성 14
      • 2) 특수교육의 맥락을 반영한 교수설계 연구 및 지원의 확대 15
      • (1) 특수교육 특성이 반영된 교수ㆍ학습과정안 및 교수설계 기준 개발의 필요성 15
      • Ⅳ. 논의 및 결론 16
      • 1.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특수교육 교수설계에 대한 논의 17
      • 2. 수업의 질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현실적 지원 방안에 대한 논의 19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은숙, "학생중심의 학습지도안 연구" 4 (4): 225-239, 1999

      2 이혜전, "특수교육 수업분석 연구 동향" 국립특수교육원 18 (18): 95-116, 2011

      3 박경옥, "특수교사의 수업설계활동에 대한 인식 및 실태" 국립특수교육원 19 (19): 104-129, 2012

      4 전병운, "특수교사 수업 평가 기준 개발"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3 (13): 53-75, 2011

      5 정한호, "초등학교 교사들의 수업설계 실태에 대한 질적 고찰" 한국교육공학회 25 (25): 157-191, 2009

      6 장명덕, "초등예비과학교사들의 과학수업지도안 작성 전략 분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5 (25): 191-205, 2006

      7 윤근영, "초등교사 발달 단계와 수업 전문성과의 관계" 14 (14): 59-76, 2007

      8 장승희, "초등 도덕과에서 ‘좋은 수업’의 의미와 방향 : ‘초등도덕과교육’ 강좌의 모의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38) : 235-265, 2012

      9 조경원, "중등교원 양성교육의 비판적 검토" 교육과학연구소 35 (35): 1-19, 2004

      10 강현영, "좋은 수학수업과 교사 전문성 개발에 대한 현직수학교사 인식 조사 : 학교급 및 교육경력에 따른 차이 조사" 한국수학교육학회 51 (51): 173-189, 2012

      1 홍은숙, "학생중심의 학습지도안 연구" 4 (4): 225-239, 1999

      2 이혜전, "특수교육 수업분석 연구 동향" 국립특수교육원 18 (18): 95-116, 2011

      3 박경옥, "특수교사의 수업설계활동에 대한 인식 및 실태" 국립특수교육원 19 (19): 104-129, 2012

      4 전병운, "특수교사 수업 평가 기준 개발"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3 (13): 53-75, 2011

      5 정한호, "초등학교 교사들의 수업설계 실태에 대한 질적 고찰" 한국교육공학회 25 (25): 157-191, 2009

      6 장명덕, "초등예비과학교사들의 과학수업지도안 작성 전략 분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5 (25): 191-205, 2006

      7 윤근영, "초등교사 발달 단계와 수업 전문성과의 관계" 14 (14): 59-76, 2007

      8 장승희, "초등 도덕과에서 ‘좋은 수업’의 의미와 방향 : ‘초등도덕과교육’ 강좌의 모의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38) : 235-265, 2012

      9 조경원, "중등교원 양성교육의 비판적 검토" 교육과학연구소 35 (35): 1-19, 2004

      10 강현영, "좋은 수학수업과 교사 전문성 개발에 대한 현직수학교사 인식 조사 : 학교급 및 교육경력에 따른 차이 조사" 한국수학교육학회 51 (51): 173-189, 2012

      11 조규진, "좋은 수업의 조건 탐색 :5G를 중심으로" 한국초등교육학회 24 (24): 325-350, 2011

      12 김경옥, "정신지체 특수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좋은 수업’의 특징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분석"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4 (14): 103-124, 2012

      13 방정숙, "예비 초등 교사의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인식" 한국수학교육학회 51 (51): 145-160, 2012

      14 박기용, "숙련된 교사의 수업설계 활동에 토대한 수업설계모형 개발" 한국교육공학회 26 (26): 21-52, 2010

      15 유영만, "수업체제설계(ISD) : 탐구논리와 실천논리" 교육과학사 1998

      16 정한호, "수업참여 관점에서 바라 본 수업지도안 분석 연구" 한국초등교육학회 23 (23): 261-281, 2010

      17 김승호, "수업지도안의 이론적 배경 탐색" 한국초등교육학회 24 (24): 97-115, 2011

      18 홍재영, "수업시연과 반성적 저널쓰기를 통하여 경험한 예비특수교사의 실천적 지식 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1 (51): 73-99, 2012

      19 김경희, "문제중심학습(PBL)의 수업 단계별 학습활동의 특성과 교육적 의미 탐색 - 초등 과학 수업을 중심으로 -" 한국초등교육학회 21 (21): 269-296, 2008

      20 조영개, "교육실습, 수업시연, 수업연구를 위한 교실 수업 전략" 학지사 2011

      21 서선진, "교육실습 중 경험한 수업설계 활동에 대한 예비특수교사의 인식 및 수행실태에 대한 연구" 한국학습장애학회 9 (9): 143-166, 2012

      22 박기용, "교수설계 모형과 실천 간의 차이와 원인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23 (23): 1-30, 2007

      23 박홍희, "교사의 생애발달 주기를 고려한 교사평가 연구" 30 (30): 1-25, 2009

      24 장미순, "‘좋은 수업’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5 (15): 147-174, 2013

      25 Shulman, L. S., "Those who understand :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15 (15): 4-14, 1986

      26 Wong, H. K., "The first days of teaching: How to be an effective teacher" Harry Wong Publications 2009

      27 Brophy, J., "Teaching, educational practices series. Monograph No. 1"

      28 Johannessen, L. R., "Strategies for initiating authentic discussion" 93 (93): 73-79, 2003

      29 Carr-Chellman, A. A,., "Round girls in square computers : Feminist perspectives on the aesthetics of computer hardware" 46 (46): 4-10, 2003

      30 Merrill, M. D., "First principles of instruction" 50 (50): 43-59, 2002

      31 Hatch, J. A., "Doing qualitative research in education settings"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002

      32 Rowland, G., "Designing and instructional design" 41 (41): 79-91, 1993

      33 Leinharde, G., "Capturing craft knowledge in teaching" 19 (19): 18-25, 1990

      34 Rose, E., "Boundary talk : A cultural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structional design and education" 42 (42): 14-22, 2002

      35 Corbin, J.,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Sage 2008

      36 Strauss, A. L.,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Sage 1998

      37 Newman, F. M., "Authentic pedagogy and student performance" 10 (10): 280-312, 1996

      38 Moallem, M., "An expert teacher's thinking and teaching and instructional design models and principle : An ethnographic study" 46 (46): 37-64, 1998

      39 Silber, K. H., "A principle based model of instructional design" 47 (47): 5-19,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 1.2 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16 1.464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