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플렉서블 아이덴티티를 활용한 브랜드 리뉴얼 디자인 개발사례 연구 -아트지(ARTGEE) 브랜드디자인 리뉴얼 사례를 중심으로- = A case study of brand renewal design development using flexible identity -focused on ARTGEE brand design renewal develop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087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is a study on the brand renewal design development of ARTGEE, a domestic street dance group, based on the brand design development cases conducted from September 2021 to December 2021. In the case of flexible brand design, it is a brand design that can change contents based on various dances of ARTGEE with various communication tools. By giving variability to flexible design , it is possible to convey into brand recipients in various visual languages. This variability of brand design is to freely alter and use the components of the brand design while maintaining the visual identity of ARTGEE. In order to find out the preference of the renewed flexible brand design, the formativeness, differentiation and variability of the brand design were investigated based on the prior research. The results showed that variability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f brand design preference, followed by formativeness.
      However, it was found that differentiation has no significant role in brand design preference.
      번역하기

      This is a study on the brand renewal design development of ARTGEE, a domestic street dance group, based on the brand design development cases conducted from September 2021 to December 2021. In the case of flexible brand design, it is a brand design th...

      This is a study on the brand renewal design development of ARTGEE, a domestic street dance group, based on the brand design development cases conducted from September 2021 to December 2021. In the case of flexible brand design, it is a brand design that can change contents based on various dances of ARTGEE with various communication tools. By giving variability to flexible design , it is possible to convey into brand recipients in various visual languages. This variability of brand design is to freely alter and use the components of the brand design while maintaining the visual identity of ARTGEE. In order to find out the preference of the renewed flexible brand design, the formativeness, differentiation and variability of the brand design were investigated based on the prior research. The results showed that variability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f brand design preference, followed by formativeness.
      However, it was found that differentiation has no significant role in brand design preferen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국내 스트리트댄스 그룹 아트지(ARTGEE) 브랜드 리뉴얼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로, 2021년 9월 ~ 2021년 12월에 진행된 브랜드 디자인 개발 사례를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플랙서블 브랜드디자인의 경우 아트지(ARTGEE)의 다양한 댄스를 기반 한 콘텐츠를 커뮤니케이션 툴과 아울러 변화할 수 있는 브랜드 디자인이다.
      플렉서블 디자인에 가변성을 부여함으로써 다양한 시각적 언어로 브랜드 수신자에게 전달이 가능하다. 이러한 브랜드디자인의 가변성은 아트지(ARTGEE)의 시각적인 아이덴티티를 유지한 채 브랜드 디자인의 구성요소를 자유롭게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새롭게 리뉴얼된 플랙서블 브랜드 디자인의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해 선행 연구를바탕으로 브랜드 디자인의 조형성, 차별성, 가변성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그 결과 브랜드 디자인 선호도에 미치는영향 중 브랜드디자인 가변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브랜드디자인 조형성 순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브랜드디자인의 차별성은 브랜드디자인 선호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국내 스트리트댄스 그룹 아트지(ARTGEE) 브랜드 리뉴얼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로, 2021년 9월 ~ 2021년 12월에 진행된 브랜드 디자인 개발 사례를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플랙서...

      본 연구는 국내 스트리트댄스 그룹 아트지(ARTGEE) 브랜드 리뉴얼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로, 2021년 9월 ~ 2021년 12월에 진행된 브랜드 디자인 개발 사례를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플랙서블 브랜드디자인의 경우 아트지(ARTGEE)의 다양한 댄스를 기반 한 콘텐츠를 커뮤니케이션 툴과 아울러 변화할 수 있는 브랜드 디자인이다.
      플렉서블 디자인에 가변성을 부여함으로써 다양한 시각적 언어로 브랜드 수신자에게 전달이 가능하다. 이러한 브랜드디자인의 가변성은 아트지(ARTGEE)의 시각적인 아이덴티티를 유지한 채 브랜드 디자인의 구성요소를 자유롭게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새롭게 리뉴얼된 플랙서블 브랜드 디자인의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해 선행 연구를바탕으로 브랜드 디자인의 조형성, 차별성, 가변성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그 결과 브랜드 디자인 선호도에 미치는영향 중 브랜드디자인 가변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브랜드디자인 조형성 순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브랜드디자인의 차별성은 브랜드디자인 선호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문상용, "플렉서블 아이덴티티의 구조분석을 통한 아이덴티티 확장성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0

      2 박승혜, "플렉서블 아이덴티티를 활용한맞춤화 서비스가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AYU25 맞춤형 화장품 라벨디자인 리뉴얼 사례를중심으로" 홍익대학교 2021

      3 김성재, "지역문화재단 브랜드 아이덴티티 시스템 개발사례 연구 - 포항문화재단 브랜드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63 : 89-100, 2018

      4 윤성은, "유기적인 통합아이덴티티 시스템 연구 : 63CITY 브랜드아이덴티티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5 김거수, "아이덴티티 디자인 or 로고디자인웬만큼 이해하기" 드마북스 138-, 2012

      6 황연희 ; 김재범, "생명력 있는 브랜드 아이덴티티 구축을 위한 플렉서블 아이덴티티 이용가능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26 (26): 551-569, 2013

      7 손근민, "사용자 참여형 가변적 아이덴티티 디자인 시스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6

      8 주경희, "브랜드 재활성화 전략에서 창의적 마인드셋 효과" 한국상품학회 38 (38): 97-104, 2020

      9 김성재, "브랜드 리뉴얼을 통한 지역문화재단 아이덴티티 사례 연구 - 부산문화재단 브랜드 리뉴얼 사례를 중심으로 -"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61 : 221-234, 2017

      10 오승환 ; 이봉희, "리액티브 아이덴티티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7 (7): 149-160, 2006

      1 문상용, "플렉서블 아이덴티티의 구조분석을 통한 아이덴티티 확장성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0

      2 박승혜, "플렉서블 아이덴티티를 활용한맞춤화 서비스가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AYU25 맞춤형 화장품 라벨디자인 리뉴얼 사례를중심으로" 홍익대학교 2021

      3 김성재, "지역문화재단 브랜드 아이덴티티 시스템 개발사례 연구 - 포항문화재단 브랜드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63 : 89-100, 2018

      4 윤성은, "유기적인 통합아이덴티티 시스템 연구 : 63CITY 브랜드아이덴티티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5 김거수, "아이덴티티 디자인 or 로고디자인웬만큼 이해하기" 드마북스 138-, 2012

      6 황연희 ; 김재범, "생명력 있는 브랜드 아이덴티티 구축을 위한 플렉서블 아이덴티티 이용가능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26 (26): 551-569, 2013

      7 손근민, "사용자 참여형 가변적 아이덴티티 디자인 시스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6

      8 주경희, "브랜드 재활성화 전략에서 창의적 마인드셋 효과" 한국상품학회 38 (38): 97-104, 2020

      9 김성재, "브랜드 리뉴얼을 통한 지역문화재단 아이덴티티 사례 연구 - 부산문화재단 브랜드 리뉴얼 사례를 중심으로 -"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61 : 221-234, 2017

      10 오승환 ; 이봉희, "리액티브 아이덴티티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7 (7): 149-160, 2006

      11 신동오, "기업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가변적 스타일 연구" 상명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03

      12 권지혁, "국내 힙합문화 유입에 따른 스트릿댄스 변화 연구" 한양대학교 2022

      13 중앙선데이, "‘멋있고 신난다’ 댄서배틀 ‘스우파‘ 영상 3억 6000만 뷰…춤 전성시대 활짝"

      14 David A. Aaker, "Building strong Brands" Free Press 85-,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12-29 학회명변경 한글명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영문명 : Cdak Socierty Of Communication Design -> CDAK Socierty of Communication Design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7-06-05 학회명변경 한글명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시각디자인학회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영문명 : Cdak Socierty Of Visual Communication Design -> Cdak Socierty Of Communication Design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5 0.35 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29 0.455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