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관람행태에 기반한 전시 유형화와 이산사건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전시공간 개선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Exhibition Space Using Exhibition Type Classification and Discrete Event Simulation Based on Viewing Behavio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884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exhibition space planning, unnecessary viewing time and shortening of service waiting time through efficient arrangement of exhibition contents are important factors to increase user's space satisfaction. If simulation can be verified from the planning stage, it can be very helpful for space improvement, but it has limitations in simulation verification due to the uncertainty and variability of the exhibition space and the variety of exhibition contents. Discrete event simulation is difficult to apply to exhibition spaces with high uncertainty and variability because the user's circulation and service can be applie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exhibition content was first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ype of viewing, set as a quantitative object, and then applied to the simulation of discrete events in the exhibition space to grasp its usefulness as a verification tool. By applying this to the empirical model Busan Museum of Movies Simulation tool that can measure the viewing time and the number of people processed within the time according to the intended viewing route. It is expected that the simulation of discrete events in an indeterminate and variable exhibition facility through the classification of exhibition content and the organization of the circulation system will have great utility as a useful verification tool to quantify and analyze spatial analysis indicators.
      번역하기

      In the exhibition space planning, unnecessary viewing time and shortening of service waiting time through efficient arrangement of exhibition contents are important factors to increase user's space satisfaction. If simulation can be verified from the ...

      In the exhibition space planning, unnecessary viewing time and shortening of service waiting time through efficient arrangement of exhibition contents are important factors to increase user's space satisfaction. If simulation can be verified from the planning stage, it can be very helpful for space improvement, but it has limitations in simulation verification due to the uncertainty and variability of the exhibition space and the variety of exhibition contents. Discrete event simulation is difficult to apply to exhibition spaces with high uncertainty and variability because the user's circulation and service can be applie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exhibition content was first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ype of viewing, set as a quantitative object, and then applied to the simulation of discrete events in the exhibition space to grasp its usefulness as a verification tool. By applying this to the empirical model Busan Museum of Movies Simulation tool that can measure the viewing time and the number of people processed within the time according to the intended viewing route. It is expected that the simulation of discrete events in an indeterminate and variable exhibition facility through the classification of exhibition content and the organization of the circulation system will have great utility as a useful verification tool to quantify and analyze spatial analysis indicato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수영, "전시의 시종구조가 관람객의 관람시간에 미치는 구속력에 관한 연구 - 국립과천과학관 전시물의 관람객에 대한 시간구속력 요인과 특성을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28 (28): 97-104, 2012

      2 정수영, "전시공간에서 관람객의 관람동선 선택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 관람객의 시각적 인지범위와 동선선택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27 (27): 53-62, 2011

      3 乾正雄, "신건축학대계 11 환경심리" 대광서림 1990

      4 김석태, "보행자 기반 이산사건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건강검진센터 공간서비스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7 (27): 53-65, 2018

      5 국립중앙박물관, "박물관 건축과 환경" 신유문화사 1995

      6 정수영, "관람객의 전시환경 인지와 관람행태에 관한 연구 - 전시배치에 따른 관람객의 공간인지와 동선선택을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30 (30): 109-116, 2014

      7 이종렬, "건축공간의 행동모델과 공간구조 분석모델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 12 (12): 61-66, 2012

      8 Kitazawa, K., "Pedestrian behaviour modelling: An application to retail movements using a genetic algorithm" University college London, DDSS 2004

      9 Osaragi, T, "Modeling of pedestrian behavior and its applications to spatial evaluation" 2 : 2004

      10 Sharma, P., "Discrete-event simulation" 4 (4): 2015

      1 정수영, "전시의 시종구조가 관람객의 관람시간에 미치는 구속력에 관한 연구 - 국립과천과학관 전시물의 관람객에 대한 시간구속력 요인과 특성을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28 (28): 97-104, 2012

      2 정수영, "전시공간에서 관람객의 관람동선 선택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 관람객의 시각적 인지범위와 동선선택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27 (27): 53-62, 2011

      3 乾正雄, "신건축학대계 11 환경심리" 대광서림 1990

      4 김석태, "보행자 기반 이산사건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건강검진센터 공간서비스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7 (27): 53-65, 2018

      5 국립중앙박물관, "박물관 건축과 환경" 신유문화사 1995

      6 정수영, "관람객의 전시환경 인지와 관람행태에 관한 연구 - 전시배치에 따른 관람객의 공간인지와 동선선택을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30 (30): 109-116, 2014

      7 이종렬, "건축공간의 행동모델과 공간구조 분석모델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 12 (12): 61-66, 2012

      8 Kitazawa, K., "Pedestrian behaviour modelling: An application to retail movements using a genetic algorithm" University college London, DDSS 2004

      9 Osaragi, T, "Modeling of pedestrian behavior and its applications to spatial evaluation" 2 : 2004

      10 Sharma, P., "Discrete-event simulation" 4 (4): 2015

      11 Ronald, N., "An agentbased approach to modelling pedestrian behaviour" 2007

      12 Kitazawa, K., "A Study for Agent-based Modeling of Migration behavior of Shoppers"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2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8 0.28 0.2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3 0.23 0.406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