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본지역 오픈 플랜형 공공도서관의 파퓰러 라이브러리 개념과 공간구성 및 가구배치 특성에 관한 연구 = Analyses on Spatial Compositions of Open shelf floor and Furniture Layout Characteristics of Open Plan Type Reading Rooms in Japan Public Librar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884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derive possibilities and implications for the concept of the Popular Library, focusing on the book type and furniture layout characteristics in the open-plan type public library. To this end, information collection and drawing data were obtained through field surveys of five public libraries in Japa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fter examining the composition of the public libraries surveyed in Japan by type, the concept of a popular library was found in which the area of the quite zone was organized around the areas of general books, local and audio-visual materials, and the active zone was formed in the areas of theme books, living books, professional books, newspapers, periodicals, and library materials, while active browsing was enhanced. Second, the arrangement of bookshelves by type of books is judged to be a more effective method of planning for creating library areas by distinguishing and organizing active zone and quite zone in terms of furniture arrangement composition in bookstores and reading rooms. Third, there were five types of areas in the concept of the Popular Library. In future research, we will conduct surveys and analyses on the types of bookshelves and reading seats, and the layout characteristics of bookshelves based on the types of bookshelves, to ensure the sustainability of the research.
      번역하기

      This study is to derive possibilities and implications for the concept of the Popular Library, focusing on the book type and furniture layout characteristics in the open-plan type public library. To this end, information collection and drawing data we...

      This study is to derive possibilities and implications for the concept of the Popular Library, focusing on the book type and furniture layout characteristics in the open-plan type public library. To this end, information collection and drawing data were obtained through field surveys of five public libraries in Japa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fter examining the composition of the public libraries surveyed in Japan by type, the concept of a popular library was found in which the area of the quite zone was organized around the areas of general books, local and audio-visual materials, and the active zone was formed in the areas of theme books, living books, professional books, newspapers, periodicals, and library materials, while active browsing was enhanced. Second, the arrangement of bookshelves by type of books is judged to be a more effective method of planning for creating library areas by distinguishing and organizing active zone and quite zone in terms of furniture arrangement composition in bookstores and reading rooms. Third, there were five types of areas in the concept of the Popular Library. In future research, we will conduct surveys and analyses on the types of bookshelves and reading seats, and the layout characteristics of bookshelves based on the types of bookshelves, to ensure the sustainability of the research.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우영, "현대 공공도서관 브라우징체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2 (22): 23-30, 2006

      2 천혜선, "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하는 도서관가구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18 (18): 57-65, 2009

      3 천혜선, "자료특성에 따른 일본 공공도서관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5 (25): 111-120, 2009

      4 김소연, "영국 커뮤니티 라이브러리의 프로그램 및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2018

      5 마시코 카즈히코, "도서관 건축의 계획과 설계" 보문당 2011

      6 황미영, "다기능화에 의한 공공도서관의 공간구조에 관한 연구 - 일본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18 (18): 105-115, 2009

      7 이혜영, "국내에서의 공공도서관 연구동향 - 2007년부터 2016년까지의 학회지 논문을 대상으로 -" 한국비블리아학회 28 (28): 27-43, 2017

      8 황미영, "공공도서관의 이용자 공간 운영 및 구성 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39) : 59-68, 2012

      9 공순구, "공공도서관의 공간구성체계 표준모델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 21 (21): 49-66, 2010

      10 문화체육관광부 도서관박물관정책기획단, "공공도서관건립, 운영매뉴얼" 문화체육관광부 2016

      1 김우영, "현대 공공도서관 브라우징체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2 (22): 23-30, 2006

      2 천혜선, "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하는 도서관가구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18 (18): 57-65, 2009

      3 천혜선, "자료특성에 따른 일본 공공도서관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5 (25): 111-120, 2009

      4 김소연, "영국 커뮤니티 라이브러리의 프로그램 및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2018

      5 마시코 카즈히코, "도서관 건축의 계획과 설계" 보문당 2011

      6 황미영, "다기능화에 의한 공공도서관의 공간구조에 관한 연구 - 일본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18 (18): 105-115, 2009

      7 이혜영, "국내에서의 공공도서관 연구동향 - 2007년부터 2016년까지의 학회지 논문을 대상으로 -" 한국비블리아학회 28 (28): 27-43, 2017

      8 황미영, "공공도서관의 이용자 공간 운영 및 구성 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39) : 59-68, 2012

      9 공순구, "공공도서관의 공간구성체계 표준모델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 21 (21): 49-66, 2010

      10 문화체육관광부 도서관박물관정책기획단, "공공도서관건립, 운영매뉴얼" 문화체육관광부 2016

      11 김동욱, "공공도서관 자료이용영역의 공간구성 및 배치특성에 관한 연구 (1) - 2000년 이후 개관한 국내외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64) : 21-30, 2018

      12 김선애, "공공도서관 공간구성을 위한 기준 도출에 관한연구" 19 (19): 2008

      13 積田洋, "建築設計テキスト図書館" 彰国社 2016

      14 植松貞夫, "建築から図書館をみる" 勉誠出版 1999

      15 中村恭三, "図書館建築と施設計画" 53 (53): 2001

      16 齊藤誠一, "公共図書館における新たなニーズの発見とサービスの展開" (32) :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2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8 0.28 0.2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3 0.23 0.406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