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국내 음악치료 및 물리치료 분야에서 리듬청각자극(RAS)을 적용하여 수행된 연구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1999년부터 2018년 11월까지 발표된 학위 논문과 학술지 게재 연구 중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국내 음악치료 및 물리치료 분야에서 리듬청각자극(RAS)을 적용하여 수행된 연구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1999년부터 2018년 11월까지 발표된 학위 논문과 학술지 게재 연구 중 ...
본 연구는 국내 음악치료 및 물리치료 분야에서 리듬청각자극(RAS)을 적용하여 수행된 연구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1999년부터 2018년 11월까지 발표된 학위 논문과 학술지 게재 연구 중 RAS 및 보행기능 관련 주제어를 검색하여 기준에 부합한 45개의 연구를 선정하였고, 세부중재방법과 리듬자극의 유형, 기술된 치료 원리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두 영역에서의 연구 모두 일정한 간격의 리듬을 핵심적인 치료 자극으로 사용하고 RAS의 기본 절차를 따른 점에서는 공통적이었지만, 목표기능이나 구체적인 리듬제공방법에 있어서는 차이가 있었다. 음악치료 연구에서는 모두 보행기능이 목표 변인이었던 데 비해, 물리치료 연구에서는 균형이나 근력, 고유수용성감각 등 관련 신체기능이 목표에 포함되었다. 또한 음악치료 연구에서는 다양한 요소를 포함한 ‘음악’이 리듬자극으로 활용된 반면, 물리치료 연구에서는 메트로놈을 리듬자극으로 활용한 연구가 음악을 활용한 연구보다 많았다. RAS 원리와 관련하여 단순한 기법 설명 외에 동조화와 같이 치료의 원리가 충분히 기술된 연구는 물리치료보다는 음악치료 분야에서 많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음악치료 연구에서는 리듬과 더불어 음악의 다양한 요소가 보행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이 고려되어 음악의 역할이 적극적으로 활용된 반면, 물리치료 연구에서는 보행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신체기능에 대한 개입이 포함된 경향이 있음을 보여준다. 두 가지 측면 모두 재활에 있어 중요한 부분임을 고려할 때, 본 연구는 다학제간 연구를 기반으로 한 RAS 연구의 기법의 확장 적용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한다고 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research that included the rhythmic auditory stimulation (RAS) technique and to compare this body of research within the field of music therapy with that in physical therapy. Forty-five studies were identifi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research that included the rhythmic auditory stimulation (RAS) technique and to compare this body of research within the field of music therapy with that in physical therapy. Forty-five studies were identified that were published from January 1999 through November 2018, and these were analyzed in terms of intervention procedure, type of rhythmic cueing, and therapeutic basis described by the researcher. While research in both fields used rhythmic cueing as the primary therapeutic age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area targeted by training and specific type of rhythmic cueing used. Research conducted in the field of music therapy focused primarily on gait function, while research in the field of physical therapy tended to address gait-related physical issues, such as balance, muscle strength, and proprioceptive sensation as well as gait. While all of the identified studies from the field of music therapy used music for cueing, a metronome was used more often for cueing in physical therapy research. In terms of description of theoretical basis, theory of entrainment was more sufficiently described in music therapy research. These results indicate that while music therapy research maximized the role of various elements of music in intervening in gait function, physical therapy research addressed gait in relation to other physical functions. Considering that both aspects are essential for gait training, this study supports the need for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to neurological rehabilitation with RAS.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혜지, "외상성 뇌손상 청소년 대상리듬청각자극(RAS) 보행 훈련 시 선율 적용 사례"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12 (12): 19-36, 2015
2 정성희, "신경계 질환자 대상의 국내 음악중재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한국기초간호학회 15 (15): 65-73, 2013
3 박진, "시각적 피드백과 리듬청각자극을 통한 트레드밀 보행훈련이뇌졸중 환자의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 25 (25): 53-61, 2018
4 오수진, "리듬청각자극을 사용한 편측 경직성 뇌성마비 성인의 보행훈련 사례 연구" 한국운동재활학회 6 (6): 119-130, 2010
5 송수영, "리듬청각자극을 동반한 동작관찰 신체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하지 근활성도와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의학회 13 (13): 137-145, 2018
6 Magee, W. L., "The role of music therapy in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address functional communication in complex neuro-communication disorders: A case report" 28 (28): 1221-1229, 2006
7 Clark, I. N., "The effects of live patterned sensory enhancement on group exercise participation and mood in older adults in rehabilitation" 49 (49): 180-204, 2012
8 Magee, W. L., "The challenges and benefits of a genuine partnership between music therapy and neuroscience: A dialog between scientist and therapist" 9 : 223-, 2015
9 Dobkin, B. H., "Strategies for stroke rehabilitation" 3 (3): 528-536, 2004
10 Bayat, R., "Speed and temporal-distance adaptations during treadmill and overground walking following stroke" 19 (19): 115-124, 2005
1 박혜지, "외상성 뇌손상 청소년 대상리듬청각자극(RAS) 보행 훈련 시 선율 적용 사례"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12 (12): 19-36, 2015
2 정성희, "신경계 질환자 대상의 국내 음악중재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한국기초간호학회 15 (15): 65-73, 2013
3 박진, "시각적 피드백과 리듬청각자극을 통한 트레드밀 보행훈련이뇌졸중 환자의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 25 (25): 53-61, 2018
4 오수진, "리듬청각자극을 사용한 편측 경직성 뇌성마비 성인의 보행훈련 사례 연구" 한국운동재활학회 6 (6): 119-130, 2010
5 송수영, "리듬청각자극을 동반한 동작관찰 신체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하지 근활성도와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의학회 13 (13): 137-145, 2018
6 Magee, W. L., "The role of music therapy in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address functional communication in complex neuro-communication disorders: A case report" 28 (28): 1221-1229, 2006
7 Clark, I. N., "The effects of live patterned sensory enhancement on group exercise participation and mood in older adults in rehabilitation" 49 (49): 180-204, 2012
8 Magee, W. L., "The challenges and benefits of a genuine partnership between music therapy and neuroscience: A dialog between scientist and therapist" 9 : 223-, 2015
9 Dobkin, B. H., "Strategies for stroke rehabilitation" 3 (3): 528-536, 2004
10 Bayat, R., "Speed and temporal-distance adaptations during treadmill and overground walking following stroke" 19 (19): 115-124, 2005
11 Thaut, M. H., "Rhythmic auditory stimulation in rehabilitation of movement disorders: A review of current research" 27 (27): 263-269, 2010
12 Thaut, M. H., "Rhythmic auditory stimulation for reduction of falls in Parkinson’s disease: A randomized controlled study" 33 (33): 34-43, 2019
13 Yoo, G. E., "Rhythmic auditory cueing in motor rehabilitation for stroke patient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53 (53): 149-177, 2016
14 Thaut, M. H., "Rhythm, music, and the brain" Routledge 2005
15 Thaut, M. H., "Neural basis of rhythmic timing networks in the human brain" 999 (999): 364-373, 2003
16 Wendy L Magee, "Music interventions for acquired brain injury" Wiley 2017 (2017): 1-117, 2017
17 Nombela, C., "Into the groove: Can rhythm influence Parkinson’s disease?" 37 (37): 2564-2570, 2013
18 Repko, A. F., "Interdisciplinary research: Process and theory" Sage Publications 2016
19 Dalla-Bella, S., "Individualization of music-based rhythmic auditory cueing in Parkinson’s disease" 1423 (1423): 308-317, 2018
20 Soo Ji Kim, "Gait training for adults with cerebral palsy following harmonic modification in rhythmic auditory stimulation" Wiley 1473 (1473): 11-19, 2020
21 Yoon, S. K., "Effects of inclined treadmill walking training with rhythmic auditory stimulation on balance and gait in stroke patients: A pilot study" 3 (3): 69-78, 2015
22 Ghai, S., "Effect of rhythmic auditory cueing on parkinsonian gait: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8 (8): 1-19, 2018
23 Cho, H. Y., "Effect of balance and gait in stroke patient with action observation using audiovisual" Daegu University 2017
24 Cooper, H., "Developing an evidence base for interdisciplinary learning: A systematic review" 35 (35): 228-237, 2001
25 Johansson, B. B., "Current trends in stroke rehabilitation. A review with focus on brain plasticity" 123 (123): 147-159, 2011
26 Kim, S. J., "Case study of gait training using rhythmic auditory stimulation(RAS) for a pediatric patient with cerebellar astrocytomas" 7 (7): 65-81, 2010
음악치료 인턴들의 치료적 노래만들기 경험에 대한 주제분석: 포커스 그룹을 중심으로
노래기반 지지적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북한이탈청소년의 적응유연성 향상에 관한 연구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또래 간 상호작용 촉진을 위한 동기화 기반 그룹 음악치료 사례
음악극 창작활동이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자아존중감, 자기표현력,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3-08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음악치료교육연구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Music Therapy Education ->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9 | 0.29 | 0.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5 | 0.46 | 0.741 | 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