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특집논문 : 중일전쟁 이후 식민지 조선에서의 영화 법령과 조직의 특징적 양상(1937∼1941) -“과정”과 “관계”를 중심으로 일제말기 한국영화사 다시 보기- = A Study on the Peculiarity of the Korean Cinema Law and Groups in the a Period of the Chinese-Japanese War(1937∼1941) -Focusing on the Relations with Japanese Cinem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44209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Korean(Joseon of the Japan`s colony) cinema law and groups from the Chinese-Japanese War(1937) before the Pacific War(1941). The Chinese-Japanese War occurred in 1937. Korea and Japan were in the relation between the colo...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Korean(Joseon of the Japan`s colony) cinema law and groups from the Chinese-Japanese War(1937) before the Pacific War(1941). The Chinese-Japanese War occurred in 1937. Korea and Japan were in the relation between the colony and the empire at that time. Japan rushed into the system of the war by the war outbreak, and Japanese Government managed goods and person necessary for the war. For this, the system and organization in Japan and Korea was concentrated on the war. Of course, this was reflected in the world of Japanese and Korean cinema at once. the low of cinema was introduced, and new groups of the cinema was established in Japan and Korea. So, Joseon Film Act was introduced and cinema groups(like the Joseon Association of Film Artist, Selection Committee of Film-Ability, Joseon Association of Film Producer, etc) were organized. It is very important that Korean cinema law and groups was closely related to Japanese cinema law and groups right after the Chinese-Japanese War broke ou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건호, "해방전후사의 인식" 한길사 2004

      2 이재명, "해방 전(1940~1945) 공연희곡과 상영 시나리오의 이해" 평민사 2005

      3 이영일, "한국영화전사(개정판-1969)" 소도 2004

      4 이효인, "한국영화역사강의1" 이론과실천 1992

      5 조혜정, "한국영화사-개화기에서 개화기까지"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6 정종화, "한국영화사" 한국영상자료원 2007

      7 유현목, "한국영화발달사(개정판-1980)" 책누리 1997

      8 조준형, "한국영화 정책사" 나남출판 2005

      9 호현찬, "한국영화 100년" 문학사상사 2000

      10 "한국언론진흥재단 홈페이지"

      1 송건호, "해방전후사의 인식" 한길사 2004

      2 이재명, "해방 전(1940~1945) 공연희곡과 상영 시나리오의 이해" 평민사 2005

      3 이영일, "한국영화전사(개정판-1969)" 소도 2004

      4 이효인, "한국영화역사강의1" 이론과실천 1992

      5 조혜정, "한국영화사-개화기에서 개화기까지"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6 정종화, "한국영화사" 한국영상자료원 2007

      7 유현목, "한국영화발달사(개정판-1980)" 책누리 1997

      8 조준형, "한국영화 정책사" 나남출판 2005

      9 호현찬, "한국영화 100년" 문학사상사 2000

      10 "한국언론진흥재단 홈페이지"

      11 김려실, "투사하는 제국 투영하는 식민지" 삼인 2006

      12 강성률, "친일영화의 내적 논리 연구 : 푸코의 담론 이론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7

      13 강성률, "친일영화" 로크미디어 2006

      14 "창씨 백오십여만호"

      15 함충범, "중일전쟁 시기 일본과 조선에서의 영화정책 및 영화계의 대응 양상 비교연구 (1937~1940) - 영화와 국가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 현대영화연구소 5 (5): 116-136, 2009

      16 안자코 유카, "조선총독부의 '총동원체제'(1937~1945) 형성 정책"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6

      17 "조선총독부관보활용시스템 사이트"

      18 박성진, "조선총독부 공문서" 역사비평사 2007

      19 "조선영화작가협회 근근 결성회를 거행"

      20 "조선영화인협회총회"

      21 "조선영화인협회의 기능심사위원 결정"

      22 "조선영화인협회규약"

      23 "조선영화인협회 해산"

      24 "조선영화인협회 총회를 개최"

      25 "조선영화인협회 일본영화연맹 지부로 개조될 뜻"

      26 김정혁, "조선영화감독론 -등록된 연출자 푸로필-"

      27 이화진, "조선영화-소리의 도입에서 친일 영화까지" 책세상 2005

      28 "조선도 영화법 실시"

      29 한상언, "조선군 보도부의 영화활동 연구" 한국영화학회 (41) : 153-175, 2009

      30 "조선 최초의 씨나리오 작가 협회"

      31 이영재, "제국 일본의 조선영화" 현실문화연구 2008

      32 "제1기 영화인 등록자, 영화인 58명 등록"

      33 복환모, "전시하의 조선영화계 신체제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영화역사학회 (8) : 2009

      34 함충범, "전시체제 하의 조선영화, 일본영화 연구 : 1937~1945"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9

      35 "입장료는 되도록 인상 아니 할 방침"

      36 이덕기, "일제하 전시체제기(1938~1945) 조선영화 제작목록의 재구" 한국극예술학회 (28) : 147-172, 2008

      37 노동은, "일제하 음악인들의 친일논리와 단체" (25) : 2003

      38 이준식, "일제의 영화통제정책과 만주영화협회 :순회영사를 중심으로" 국학연구원 (143) : 253-299, 2008

      39 김려실, "일제시기 영화제도에 관한 연구 -영화관 추이를 중심으로-" 한국영화학회 (41) : 7-38, 2009

      40 함충범, "일제말기 한국영화사" 국학자료원 2008

      41 한상언, "일제말기 통제 영화제작회사 연구" 한국영화학회 (36) : 397-422, 2008

      42 이준식, "일제 파시즘기 영화 정책과 영화계의 동향" 한국민족운동사학회 37 : 311-345, 2003

      43 이준식, "일제 파시즘기 선전 영화와 전쟁 동원 이데올로기" 국학연구원 (124) : 701-743, 2004

      44 이종민, "일제 파시즘 지배정책과 민중생활" 혜안 2004

      45 윤대영, "일제 식민지지배의 구조와 성격" 景仁文化社 2005

      46 崔由利, "일제 말기(1938년-45년) 「내선일체」론과 전시동원체제"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5

      47 이정윤, "일제 말기'시국 미술'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1

      48 양승국, "일제 말기 국민연극의 존재 형식과 공연 구조" 한국현대문학회 (23) : 365-397, 2007

      49 경지현, "일제 말기 관람문화와 조선영화 관람의 의미" 한국극예술학회 (30) : 151-184, 2009

      50 정선태, "일제 말기 ‘국민문학’과 새로운 ‘국민’의 상상 - 조선문인협회 현상소설 입선작 <연락선>과 <형제>를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회 (29) : 351-379, 2009

      51 조혜정, "일제 강점말기 '영화신체제'와 조선영화(인)의 상호작용 연구" 한국영화학회 (35) : 433-452, 2008

      52 "일본영화ㆍ텔레비전미술감독협회 홈페이지"

      53 사토 다다오, "일본영화 이야기" 다보문화 1993

      54 정종화, "일본어 잡지로 본 조선영화 2" 한국영상자료원 2011

      55 정종화, "일본어 잡지로 본 조선영화 1" 한국영상자료원 2010

      56 박진우, "일본 근현대사" 좋은날 1999

      57 "이입허가제와 배급통제 조선 영화령"

      58 "이번 의회에 제안될 강력한 영화통제법"

      59 "위키피디아 온라인 백과사전 한국어판 사이트"

      60 김종원, "우리영화 100년" 현암사 2001

      61 "외국영화 수입 금지 오락물 단연 배격 흥행 시간을 삼 시간 이내로 국민 보건 상에 치중"

      62 "영화인협회 규약을 개정"

      63 "영화인기능심사 기능증명서를 얻어야 등록도 가능"

      64 "영화인 등록 삼십일일에 결정"

      65 "영화인 기능증명서 발행 규정"

      66 강성률, "영화에서의 일제말기 신체제 옹호 논리 연구" 한국영화학회 (28) : 7-29, 2006

      67 "영화법 통과되면 조선도 추수(追隨) 실시 제작과 배급을 허가제로 하고 감독과 배우를 등록"

      68 "영화령 실시 압두고 외곽 단체를 조직"

      69 "영화령 실시 내용 지정된 문화영화 강제 상연 외국영화 상연 제한"

      70 "영화령 공포는 12월 1일에 될 듯?"

      71 "연예-조선영화인협회 정수(井手) 사무관과 의견교환"

      72 "연예-조선영화인협회 사업계획 착착 진행"

      73 박영정, "연극/영화 통제정책과 국가 이데올로기" 월인 2007

      74 정진석, "언론조선총독부"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75 "씨나리오 작가도 영화인협회에 합류"

      76 "신체제영화진용 영화인 오십팔명 등록"

      77 "신년도총독부예산 육억사천칠백만원"

      78 이화진, "식민지 조선의 극장과 '소리'의 문화 정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1

      79 이화진, "식민지 시대의 영화 검열" 한국영상자료원 2009

      80 "부내극장 영화관 입장료 이할 인상"

      81 "법제처 국가법률정보센터 홈페이지"

      82 박현희, "문예봉과 김신재 1932~1945" 선인 2008

      83 김려실, "만주영화협회와 조선영화" 현실문화연구 2011

      84 홍수경, "만주국의 사상전과 만주영화협회 : 1937~45"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85 "도쿄국립근대미술관 필름센터 홈페이지"

      86 "네이버 뉴스라이브러리 사이트"

      87 "나(癩)예방협회 기부금"

      88 "기능심사위원회 십팔일에 첫 회합"

      89 정진석, "극비 조선총독부의 언론검열과 탄압"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90 "국책 수행에 가편하야 영화법 새로 제정 국민사상 강화 총후 숙청(肅淸) 조선도 내지에 추수?"

      91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사이트"

      92 이화진, "고려영화협회와 영화신체제-1936~1941" 한국영상자료원 2007

      93 加藤厚, "総動員体制と映画" 新曜社 2003

      94 "海軍軍事普及部が邦画首脳部と懇談" キネマ旬報 1939

      95 "朝鮮映畵の全を語る" 映畵評論 1941

      96 高島金次, "朝鮮映画統制史" 朝鮮映画文化硏究所 1943

      97 "朝鮮映画特輯 朝鮮主要映画關係團體紹介" 映画旬報 1943

      98 "朝鮮の「映畵令」も愈々日頃公布" キネマ旬報 1939

      99 "朝鮮の監督十名が監督協會へ入會" キネマ旬報 1938

      100 "朝鮮の映畵令移入許可と配給統制を重視" キネマ旬報 1939

      101 田中三郞, "昭和17年 映画年鑑" 日本映画雜誌協會 1942

      102 "映畵法實施に、半島の映畵政策積極化" キネマ旬報 1939

      103 南旗朗, "映畵令と映畵界" 朝鮮及滿洲 1940

      104 "映画照明技術者協会結成式" キネマ旬報 1939

      105 "映画法二周年史" 映画旬報 1941

      106 "映画撮影助手協会結成" キネマ旬報 1939

      107 "映画俳優協会の登録制対策" キネマ旬報 1939

      108 "日本映画美術監督協会結成" キネマ旬報 1939

      109 田中純一郞, "日本映画発達史 Ⅲ" 中央公論社 1980

      110 "日本映画俳優協会結成式を挙行" キネマ旬報 1939

      111 古川隆久, "戦時下の日本映画" 吉川門弘館 2003

      112 清水晶, "戦争と映画" 社会思想社 1994

      113 "問題の映画法法制局審議完了" キネマ旬報 1939

      114 熊谷生, "半島の映畵界" 朝鮮及滿洲 1941

      115 "五年振りで活動寫眞協會の大総會" キネマ旬報 1939

      116 "五協会連携で日本映画人評議会結成" キネマ旬報 1939

      117 이화진, "1943년 시점의 ‘조선영화’" 한국극예술학회 (26) : 156-189,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12-05 학회명변경 영문명 : Contemporary Film Research Institute -> Contemporary Cinema Research Institute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10-1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Contemporary Film Studies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3 0.43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6 0.39 0.72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