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토픽모텔링을 통해 2006년에서 2025년까지 <스포츠인류학연구>에 발표한 총 279편의 논문을 10개 연구 분야로 분석하여연구 동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분야는 문화,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737773
2025
Korean
스포츠인류학연구 ; 토픽 모델링 ; 시각화 ; 워드 클라우드 ; 학문영역 ; Sports anthropology research ; topic modeling ; visualization ; word cloud ; academic
KCI등재
학술저널
1-24(2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토픽모텔링을 통해 2006년에서 2025년까지 <스포츠인류학연구>에 발표한 총 279편의 논문을 10개 연구 분야로 분석하여연구 동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분야는 문화, ...
이 연구의 목적은 토픽모텔링을 통해 2006년에서 2025년까지 <스포츠인류학연구>에 발표한 총 279편의 논문을 10개 연구 분야로 분석하여연구 동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분야는 문화, 인문, 사회, 교육, 무도, 윤리, e스포츠, 무용, 장애, 기타 연구 등이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토픽모델링의 시각화 결과는 인문 연구(121편), 무도 연구(58편), 문화연구(50편) 등의 순위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스포츠인류학연구>의 지속적 발전을 위해 몇 가지를 보완해야 한다. 첫째, 현지 조사를 연구한 논문이 많이 발표되어야 한다. 둘째, 연구자의 역량 강화를통해 전문성을 높여야 한다. 셋째, 학회지를 스포츠인류학, 무예인류학, 무용인류학 등으로 영역별로 분류하여 전문성을 강화할 수 있어야 한다. 논문의 영역별 분류와 연구자의 전문성을 강화하여 학회지의 질적 성장을추구해야 한다. 그 결과 다양한 스포츠 민속지를 만날 수 있을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search trends by classifying a total of 279 papers published in <Sports Anthropology Research> into 10 academic fields from 2006 to 2025 through topic model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visu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search trends by classifying a total of 279 papers published in <Sports Anthropology Research> into 10 academic fields from 2006 to 2025 through topic model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visualization results of the topic modeling are humanities research (121 articles), martial arts research (58 articles), cultural research (50 articles), etc.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several things should be supplemented for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sports anthropology research. First, many papers on sports anthropology should be published. Secon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professionalism by strengthening the capabilities of researchers. Third, professionalism can be strengthened by classifying the academic journals into sports anthropology, martial arts anthropology, and dance anthropology. If the classification of the thesis by area and the researcher's expertise are strengthened, the qualitative growth of the academic journals can be expected.
청각장애인 국가대표 축구팀의 국제대회 참가과정에 대한 근거이론 연구
영화 속 포스트휴먼과 스포츠: <리얼 스틸>과 <알리타: 배틀 엔젤>을 중심으로
반-폭력 담론 소통과 스포츠 의미론의 변화 : 니클라스 루만의 사회적 체계이론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