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유교 및 실학의 공공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대부분 개념사와 의미론에 한정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런 경우 의미론적 측면들의 유기적 연관이 해명되지 않을 수 있다.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967734
2014
Korean
100
KCI등재
학술저널
139-168(30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유교 및 실학의 공공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대부분 개념사와 의미론에 한정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런 경우 의미론적 측면들의 유기적 연관이 해명되지 않을 수 있다. ...
최근 유교 및 실학의 공공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대부분 개념사와 의미론에 한정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런 경우 의미론적 측면들의 유기적 연관이 해명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글은 먼저, 주권의 역설을 해결하는 과제를 중심으로 유교적 공공성을 구성하는 중요한 측면들을 구별하고 이들 간의 유기적 연관을 제시한다. 천리의 공공성이 민본적 공공성과 숙의적 공공성을 양 날개로 삼아, 관료적 공공성에 내재한 군주의 자의를 규제하면서, 자신의 규범적 요구를 사회적으로 관철해가는 구조가 나타나는데, 이것이 유교적 공공성의 문법을 구성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공공성의 문법은 일종의 유교적 계몽의 정치라는 형태로 실현되었는데, 이 실현과정을 통해 유교적 공공성 문법의 역사적 발생과 전개의 동학을 검토하였다. 물론 유교적 공공성의 문법은 전근대적 신분질서의 한계를 벗어나진 못했다. 그러나 천리의 공공성을 중심으로 민본적 공공성과 숙의적 공공성이 결합되는 구조는, 비판적으로 재구성되었을 경우 우리 시대에도 유효할 수 있는 면모를 보여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construct the grammar of Confucian publicness established in the Sung dynasty and its developmental dynamics in relation to the paradox of sovereignty. How is it possible to control the arbitrariness of the sovereign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construct the grammar of Confucian publicness established in the Sung dynasty and its developmental dynamics in relation to the paradox of sovereignty. How is it possible to control the arbitrariness of the sovereign at the center of the bureaucratic publicness organized by Legalistic rule by law? The answer of Neo-Confucian politics to this question was the publicness of the Heavenly Principle which restricted the arbitrariness in question by means of the dual mechanisms of Minbon publicness and deliberative publicness according to the ideal of Confucian enlightenment politics. This relationship among these four different types of publicness constitute the grammar of Confucian publicness. And this grammar also has its own developmental dynamics which has som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contemporary constellation of publicnes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論語"
2 미조구치 유조, "중국의 공과 사" 신서원 2004
3 진래, "중국고대사상문화의 세계" 2008
4 미조구치 유조, "중국 전근대 사상의 굴절과 전개" 동과서 2007
5 나종석, "주희의 공(公) 개념과 유교적 공공성(公共性) 이론에 대한 연구" 국학연구원 (164) : 3-28, 2013
6 정두영, "주자봉사" 혜안 2011
7 주희, "주자대전" 전남대 철학교육연구센터 2010
8 Fukuyama, Francis, "정치질서의 기원" 웅진 2012
9 김항, "정치신학" 그린비출판사 2010
10 마루야마 마사오, "일본정치사상사" 한국사상사 연구소 1995
1 "論語"
2 미조구치 유조, "중국의 공과 사" 신서원 2004
3 진래, "중국고대사상문화의 세계" 2008
4 미조구치 유조, "중국 전근대 사상의 굴절과 전개" 동과서 2007
5 나종석, "주희의 공(公) 개념과 유교적 공공성(公共性) 이론에 대한 연구" 국학연구원 (164) : 3-28, 2013
6 정두영, "주자봉사" 혜안 2011
7 주희, "주자대전" 전남대 철학교육연구센터 2010
8 Fukuyama, Francis, "정치질서의 기원" 웅진 2012
9 김항, "정치신학" 그린비출판사 2010
10 마루야마 마사오, "일본정치사상사" 한국사상사 연구소 1995
11 이상익, "유교전통과 자유민주주의" 심산 2005
12 박영도, "유교적 공공성의 문법과 그 민주주의적 함의" 국학연구원 (164) : 65-83, 2013
13 이승환, "유교담론의 지형학" 푸른숲 2004
14 백민정, "유교 지식인의 公 관념과 公共 의식 : 이익, 정약용, 심대윤의 경우를 중심으로" 국학연구원 (160) : 1-45, 2012
15 김항, "예외상태" 새물결출판사 2009
16 Bol, Peter. K, "역사 속의 성리학" 예문서원 2010
17 박영도, "세종의 국가경영" 지식산업사 279-314, 2006
18 Habermas, Jürgen, "사실성과 타당성" 나남 2007
19 박영도, "민주주의의 역설과 경계의 사유"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18) : 357-390, 2009
20 대진, "맹자자의소증" 홍익출판사 1998
21 김상준, "맹자의 땀, 성왕의 피" 아르카넷 2011
22 이영훈, "다산의 인간관계 범주구분과 사회인식" 4 : 2003
23 박영도, "다산(茶山)의 실학적 공공성의 구조와 성격: 몇 가지 비판적 고찰" 국학연구원 (160) : 47-85, 2012
24 주희, "근사록 집해1" 아카넷 2004
25 "春秋左傳"
26 "孟子"
27 "中庸"
28 Luhmann, Niklas, "Politik der Gesellschaft" Suhrkamp 314-352, 2000
29 He, Baogang, "Four Model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ucianism and Democracy" 37 (37): 18-33, 2010
30 Daniel A, Bell, "Beyond Liberal Democracy: Political Thinking for an East Asian Context" Princeton Univ. Press 2006
31 Jiang, Qing, "A Confucian Constitutional Order" Princeton Univ. Press 2013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12-10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Social Philosophy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7-06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사회와 철학외국어명 : 미등록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 | 0.6 | 0.8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2 | 0.83 | 1.656 | 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