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교육의 수익성 분석 = Benefits of Education Analy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00358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경제성장에 대한 교육의 기여도는 여러 연구에서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인간자본론에 관한 제연구들이 이를 실증적으로 뒷받침하고 있다. 교육의 경제성장에 대한 영향은 국가의 경제발달 수준 및 노동생산성 그리고 국가 및 시대에 따라서도 현저한 차이를 보인다. 교육투자 수익률은 추정자료, 추정연도, 추정방법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교육과 인간자본론에 의하여 경제성장요인을 검토하고 이에 관한 선행연구고찰을 통해 경제성장요인을 파악하며, 교육의 경제성장에 대한 기여도 측정 또는 교육투자 수익율 분석방법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첫째, 경제성장에 있어 교육의 기여도는 제학자에 따라, 추정연도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그러나 인간자본론의 입장에서 볼 때 상당한 기여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투자 수익률은 대부분의 국가에서 10% 이상이었다. 셋째, 학교급별에 있어서는 초등학교의 수익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개발도상국의 교육수익율이 선진국보다 높게 나타났다.
      번역하기

      경제성장에 대한 교육의 기여도는 여러 연구에서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인간자본론에 관한 제연구들이 이를 실증적으로 뒷받침하고 있다. 교육의 경제성장에 대한 영...

      경제성장에 대한 교육의 기여도는 여러 연구에서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인간자본론에 관한 제연구들이 이를 실증적으로 뒷받침하고 있다. 교육의 경제성장에 대한 영향은 국가의 경제발달 수준 및 노동생산성 그리고 국가 및 시대에 따라서도 현저한 차이를 보인다. 교육투자 수익률은 추정자료, 추정연도, 추정방법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교육과 인간자본론에 의하여 경제성장요인을 검토하고 이에 관한 선행연구고찰을 통해 경제성장요인을 파악하며, 교육의 경제성장에 대한 기여도 측정 또는 교육투자 수익율 분석방법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첫째, 경제성장에 있어 교육의 기여도는 제학자에 따라, 추정연도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그러나 인간자본론의 입장에서 볼 때 상당한 기여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투자 수익률은 대부분의 국가에서 10% 이상이었다. 셋째, 학교급별에 있어서는 초등학교의 수익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개발도상국의 교육수익율이 선진국보다 높게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vestments in education as a form of human capital were made with the expectation that benefits would be recdived. Investments in education could be considered capital investments since education itself may be considered a form of human capital as an asset embodied in an individual that could be used to produce a stream of future earnings.
      Many researches demonstrated the inference that education contributed to economic growth primarily through its effect on productivity. Data showed that the influence of education on economic growth was different from each other by the nation's level of economic development and economic productivity. And also its influence varied according to the nations and time periods. The rates of return to education would be different from to data of measurement, years of measurement and methods of estim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contribution of education to economic growth and to analyze the rates of return to investments in education according to human capital theory.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ies for the contribution of education to economic growth varied with researchers and years of measurement. However, all estimations showed that the relation of education to economic growth was significant.
      Second, the rate of return to education was above 10% almost in every country.
      Third, the rate of return to education for primary education was highest among levels of education.
      Finally, the return to investments in education was higher in less developed countries than in advanced countries.
      번역하기

      Investments in education as a form of human capital were made with the expectation that benefits would be recdived. Investments in education could be considered capital investments since education itself may be considered a form of human capital as an...

      Investments in education as a form of human capital were made with the expectation that benefits would be recdived. Investments in education could be considered capital investments since education itself may be considered a form of human capital as an asset embodied in an individual that could be used to produce a stream of future earnings.
      Many researches demonstrated the inference that education contributed to economic growth primarily through its effect on productivity. Data showed that the influence of education on economic growth was different from each other by the nation's level of economic development and economic productivity. And also its influence varied according to the nations and time periods. The rates of return to education would be different from to data of measurement, years of measurement and methods of estim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contribution of education to economic growth and to analyze the rates of return to investments in education according to human capital theory.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ies for the contribution of education to economic growth varied with researchers and years of measurement. However, all estimations showed that the relation of education to economic growth was significant.
      Second, the rate of return to education was above 10% almost in every country.
      Third, the rate of return to education for primary education was highest among levels of education.
      Finally, the return to investments in education was higher in less developed countries than in advanced countr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서론
      • Ⅱ.교육의 경제적 성격
      • 1.교육과 인간자본론
      • 2.경제성장과 교육의 기여도 분석
      • Ⅲ.교육투자의 수익성 분석
      • Ⅰ.서론
      • Ⅱ.교육의 경제적 성격
      • 1.교육과 인간자본론
      • 2.경제성장과 교육의 기여도 분석
      • Ⅲ.교육투자의 수익성 분석
      • 1.잔여요인 분석
      • 2.비용-수익 분석
      • Ⅳ.결론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