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플라톤 [향연]에서 소년애와 철학 = Paiderastia and Philosophia in Plato's Symposiu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912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ttempts to consider the Role Reversal of Socrates in Plato's Symposium in terms of Plato's unique educational enterprise. It lies in this paper that the each socially fixed roles in the strict hierarchy and an asymmetry of desire between an erastēs and an erōmenos is dramatically shifted into the mutual roles of the philosophical erōs by Socrates' performing the erōmenos-role of Greek paiderastia. As a result, Socrates has played not only a role of erastēs but also that of erōmenos. Therefore, he goes to urge his erōs partners to perform those dual role.
      Besides, the Role Reversal of Socrates related to Agathon, Alcibiades and so on has come to a climax in Diotima's discourse on love, that is, the desire to give birth in what is beautiful. Here, then, is Plato's notion of education, the midwifery as a metaphor on philosophical activities. Socrates' midwifery is an device to be designed to explain the contrast between putting ideas into the pupil's mind and drawing them out from within. It proved to be Socrates' respect for the pupil's own creativity, holding that, with the right kind of assistance, the young man will produce ideas from his own mind.
      Plato has substituted the mutuality of philosophical erōs for Greek paiderastia being caught in a trap of an hierarchical role. Furthermore, Plato's Symposium includes a beautiful discourse that the enhancement of Greek paiderastia, in other words, paiderastia pregnant in soul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in human soul. Plato has changed Greek paiderastia rooted on Athenian social and political background into the philosophical ascent to an unique educational dimension through his own heavenly and otherworldly vision.
      번역하기

      This article attempts to consider the Role Reversal of Socrates in Plato's Symposium in terms of Plato's unique educational enterprise. It lies in this paper that the each socially fixed roles in the strict hierarchy and an asymmetry of desire between...

      This article attempts to consider the Role Reversal of Socrates in Plato's Symposium in terms of Plato's unique educational enterprise. It lies in this paper that the each socially fixed roles in the strict hierarchy and an asymmetry of desire between an erastēs and an erōmenos is dramatically shifted into the mutual roles of the philosophical erōs by Socrates' performing the erōmenos-role of Greek paiderastia. As a result, Socrates has played not only a role of erastēs but also that of erōmenos. Therefore, he goes to urge his erōs partners to perform those dual role.
      Besides, the Role Reversal of Socrates related to Agathon, Alcibiades and so on has come to a climax in Diotima's discourse on love, that is, the desire to give birth in what is beautiful. Here, then, is Plato's notion of education, the midwifery as a metaphor on philosophical activities. Socrates' midwifery is an device to be designed to explain the contrast between putting ideas into the pupil's mind and drawing them out from within. It proved to be Socrates' respect for the pupil's own creativity, holding that, with the right kind of assistance, the young man will produce ideas from his own mind.
      Plato has substituted the mutuality of philosophical erōs for Greek paiderastia being caught in a trap of an hierarchical role. Furthermore, Plato's Symposium includes a beautiful discourse that the enhancement of Greek paiderastia, in other words, paiderastia pregnant in soul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in human soul. Plato has changed Greek paiderastia rooted on Athenian social and political background into the philosophical ascent to an unique educational dimension through his own heavenly and otherworldly vis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그리스의 전통적인 소년애적 관계에서 사랑하는 사람(erastēs)과 사랑받는 사람(erōmenos)간의 엄격한 위계질서로 인해 고착된 역할들을 플라톤이 소크라테스가 행한 역할 전도를 통해 교육적 차원에서 자신의 독특한 철학적 기획으로 전환시켰다는 것을 고찰하고 있다. 필자는 역할 전도의 구체적인 사례들과 철학적 산파술에서 아름다움의 의미를 논급하면서, 역할 전도를 통해 소크라테스가 아름다운 사랑받는 사람의 역할을 함으로써 영혼에 임신한 젊은이들의 정신적인 출산을 돕는 산파의 역할을 수행했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소크라테스는 이 관계에서 사랑하는 사람과 사랑받는 사람 모두의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그의 상대방에게도 동일한 일을 하도록 만들어서, 위계질서에 포박된 소년애적 관계를 붕괴시키고 그것을 철학적 에로스의 상호성으로 대체하고 있는 것이다. 에로스적 관계에서 각자는 사랑하는 사람이자 동시에 사랑받는 사람이고, 상호적인 노력과 상호적인 성장을 필요로 하는 둘을 위한 출산이기 때문이다.
      철학적 활동에 대한 은유로서 산파술은 소크라테스가 자신의 생각을 자신의 대화 상대자들에게 주입하지 않고 그들이 그들 자신의 생각을 분명하게 말하도록 돕는 데서 그들 자신의 생각을 끌어내는 하나의 과정인 것이다. 플라톤은 아테네의 전통적인 소년애적 관계에서 능동적인 역할과 수동적인 역할간의 구분을 만드는 데 활용되는 위계 질서상의 전문 용어를 차용해서 그것을 자신의 독특한 철학적인 목적, 즉 '내부로부터 끌어내기'라는 교육 관념으로 전환시켰던 것이다. 이로써 각각의 상대방이 능동적이고 열정적으로 공헌하는 상호적인 에로스적 관계는 플라톤의 철학적 배움의 이상을 위한 모델로 작용하게 된 것이다.
      플라톤은 소크라테스를 그의 대화 상대자들의 비옥한 젊은 정신에 생각을 낳고 그들에게 철학적 도그마를 세뇌시키는 인물로 묘사하지 않고, 오히려 소크라테스의 현존이 이들 젊은이들이 자신들의 생각을 낳는 데에 하나의 지적인 자극으로 작용하도록 만들고 있다. 사랑하는 사람들이 그들이 낳았던 사리분별과 여타의 덕들을 함께 양육하듯이, 그들은 철학의 길을 따라 모두 진보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향연』에는 그리스 소년애가 승화될 경우, 즉 그것이 영혼에 임신한 소년애적 관계라면 인간의 정신적 성장과 향상에 얼마나 크게 기여할 수 있을지에 대한 아름다운 담론이 들어 있다 플라톤은 당시의 사회, 정치적 현실이라는 아테네의 토양에 뿌리박고 있는 그리스 소년애를 자신의 천상적이고 피안적인 상상력을 통해 또 다른 교육적 차원으로의 상승이라는 철학적 목적으로 전환시키고 있는 것이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그리스의 전통적인 소년애적 관계에서 사랑하는 사람(erastēs)과 사랑받는 사람(erōmenos)간의 엄격한 위계질서로 인해 고착된 역할들을 플라톤이 소크라테스가 행한 역할 전도를 �...

      본 논문은 그리스의 전통적인 소년애적 관계에서 사랑하는 사람(erastēs)과 사랑받는 사람(erōmenos)간의 엄격한 위계질서로 인해 고착된 역할들을 플라톤이 소크라테스가 행한 역할 전도를 통해 교육적 차원에서 자신의 독특한 철학적 기획으로 전환시켰다는 것을 고찰하고 있다. 필자는 역할 전도의 구체적인 사례들과 철학적 산파술에서 아름다움의 의미를 논급하면서, 역할 전도를 통해 소크라테스가 아름다운 사랑받는 사람의 역할을 함으로써 영혼에 임신한 젊은이들의 정신적인 출산을 돕는 산파의 역할을 수행했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소크라테스는 이 관계에서 사랑하는 사람과 사랑받는 사람 모두의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그의 상대방에게도 동일한 일을 하도록 만들어서, 위계질서에 포박된 소년애적 관계를 붕괴시키고 그것을 철학적 에로스의 상호성으로 대체하고 있는 것이다. 에로스적 관계에서 각자는 사랑하는 사람이자 동시에 사랑받는 사람이고, 상호적인 노력과 상호적인 성장을 필요로 하는 둘을 위한 출산이기 때문이다.
      철학적 활동에 대한 은유로서 산파술은 소크라테스가 자신의 생각을 자신의 대화 상대자들에게 주입하지 않고 그들이 그들 자신의 생각을 분명하게 말하도록 돕는 데서 그들 자신의 생각을 끌어내는 하나의 과정인 것이다. 플라톤은 아테네의 전통적인 소년애적 관계에서 능동적인 역할과 수동적인 역할간의 구분을 만드는 데 활용되는 위계 질서상의 전문 용어를 차용해서 그것을 자신의 독특한 철학적인 목적, 즉 '내부로부터 끌어내기'라는 교육 관념으로 전환시켰던 것이다. 이로써 각각의 상대방이 능동적이고 열정적으로 공헌하는 상호적인 에로스적 관계는 플라톤의 철학적 배움의 이상을 위한 모델로 작용하게 된 것이다.
      플라톤은 소크라테스를 그의 대화 상대자들의 비옥한 젊은 정신에 생각을 낳고 그들에게 철학적 도그마를 세뇌시키는 인물로 묘사하지 않고, 오히려 소크라테스의 현존이 이들 젊은이들이 자신들의 생각을 낳는 데에 하나의 지적인 자극으로 작용하도록 만들고 있다. 사랑하는 사람들이 그들이 낳았던 사리분별과 여타의 덕들을 함께 양육하듯이, 그들은 철학의 길을 따라 모두 진보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향연』에는 그리스 소년애가 승화될 경우, 즉 그것이 영혼에 임신한 소년애적 관계라면 인간의 정신적 성장과 향상에 얼마나 크게 기여할 수 있을지에 대한 아름다운 담론이 들어 있다 플라톤은 당시의 사회, 정치적 현실이라는 아테네의 토양에 뿌리박고 있는 그리스 소년애를 자신의 천상적이고 피안적인 상상력을 통해 또 다른 교육적 차원으로의 상승이라는 철학적 목적으로 전환시키고 있는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천병희, "호메로스, In 일리아가스" 단국대학교출판부 2003

      2 천병희, "호메로스, In 오뒷세이아" 단국대학교출판부 2002

      3 크세노폰, "향연, 경영론" 작은이야기 2005

      4 이경직, "플라톤의 향연 편에 나타난 소크라테스의 젊은이 교육" 한국서양고전학회 14 : 2000

      5 남경희, "플라톤: 서양철학의 기원과 토대" 아카넷 2006

      6 박종현, "플라톤, In, In 티마이오스" 서광사 2000

      7 강철웅, "플라톤, In 향연" 이제이북스 2010

      8 박종현, "플라톤, In 필레보스" 서광사 2004

      9 박종현, "플라톤, In 프로타고라스, 라케스, 메논" 서광사 2010

      10 박종현, "플라톤, In 에우티프론, 소크라테스의 변론, 크리톤, 파이돈" 서광사 2003

      1 천병희, "호메로스, In 일리아가스" 단국대학교출판부 2003

      2 천병희, "호메로스, In 오뒷세이아" 단국대학교출판부 2002

      3 크세노폰, "향연, 경영론" 작은이야기 2005

      4 이경직, "플라톤의 향연 편에 나타난 소크라테스의 젊은이 교육" 한국서양고전학회 14 : 2000

      5 남경희, "플라톤: 서양철학의 기원과 토대" 아카넷 2006

      6 박종현, "플라톤, In, In 티마이오스" 서광사 2000

      7 강철웅, "플라톤, In 향연" 이제이북스 2010

      8 박종현, "플라톤, In 필레보스" 서광사 2004

      9 박종현, "플라톤, In 프로타고라스, 라케스, 메논" 서광사 2010

      10 박종현, "플라톤, In 에우티프론, 소크라테스의 변론, 크리톤, 파이돈" 서광사 2003

      11 김주일, "플라톤, In 알키비아데스 Ⅰ,Ⅱ" 이제이북스 2007

      12 박종현, "플라톤, In 법률" 서광사 2009

      13 박종현, "플라톤, In 국가" 서광사 1997

      14 투키디데스,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숲 2011

      15 아리스토파네스, "테스모포리아 축제의 여인들, In 아리스토파네스 희극 전집 2" 숲 2010

      16 아이스퀼로스, "자비로운 여신들, In 아이스퀼로스 비극" 단국대학교출판부 2005

      17 E. C. Marchant, "소크라테스의 회상" 범우사 1998

      18 김재홍, "니코마코스 윤리학" 이제이북스 2006

      19 김혜경, "『향연』에서의 이탈과 상승 - 아리스토파네스, 알키비아데스, 소크라테스 -" 한국철학회 79 (79): 136-156, 2004

      20 Halperin, D, "Why is Diotima a Woman, In One Hundred Years of Homosexuality" 113-152, 1990

      21 Blondell, Ruby, "Where is Socrates on the “Ladder of Love”, In Plato’s Symposium: Issues in Interpretation and Reception" Center For Hellenic Studies 2006

      22 Nussbaum, M. C.., "The Speech of Alcibiades: A Reading of Plato’s Symposium, In The Fragility of Goodnes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6

      23 Anderson, Daniel E, "The Masks of Dionysos: A Commentary on Plato’s “Symposium.”"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3

      24 Vlastos, Gregory, "The Individual as Object of Love in Plato, In Vlastos, Platonic Studies. 2nd ed" Princeton University Press 3-42, 1981

      25 Allen, Reginald E., "The Dialogue of Plato. Vol. 2" Yale University Press 1991

      26 Pender. P. P., "Spiritual Pregnancy in Plato’s Symposium" 42 : 72-86, 1992

      27 Edmonds, Radcliffe G., "Socratic the Beautiful: Role Reversal and Midwifery in Plato’s Symposium" 130 : 261-285, 2000

      28 Burnyeat, M. F, "Socratic Midwifery, Platonic Inspiration, In Essays On The Philosophy of Socrates" Oxford University Press 53-65, 1992

      29 Gagarin, M., "Socrates’ Hybris and Alcibiades’ Failure" 31 : 22-37, 1977

      30 Bacon, Helen, "Socrates Crowned" 35 : 415-430, 1959

      31 Ludwig, P. W, "Politics and Eros in Aristophanes’ Speech: Symposium 191e-192a and the Comedies" 1996

      32 Rosen, Stanley, "Plato’s “Symposium.” 2d ed" Yale University Press 1987

      33 Plass, P. C, "Plato’s “Pregnant” Lover" 53 : 47-55, 1978

      34 Hecht, Jamey, "Plato’s Symposium: Eros and the Human Predicament" Twayne Publishers 1999

      35 Corrigan, Kevin, "Plato’s Dialectic at Play: Argument, Structure, and Myth in the ‘Symposium.’"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2004

      36 John Burnet, "Platonis Opera" Oxford University Press 1901

      37 Halperin, D., "Platonic Erōs and What Men Call Love" 5 : 161-204, 1985

      38 Taylor, Alfred Edward, "Plato: The Man and His Work. 7th ed" 1960

      39 Nehamas, Alexander, "Plato: Symposium" Hackett 1989

      40 Dover K. J., "Plato: Symposium" Cambridge Greek and Latin Classics 1980

      41 Halperin, D., "Plato and Erotic Reciprocity" 5 : 60-80, 1986

      42 Strauss, Leo, "Leo Strauss on Plato’s Symposium, edited and with a Foreword by Seth Benardete"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1

      43 MacDowell, Douglas M, "Hybris’ in Athens" 23 (23): 14-31, 1976

      44 Dover K. J., "Greek Homosexuality" Harvard University Press 1989

      45 Neumann, H., "Diotima’s Concept of Love" 86 : 33-59, 1965

      46 Brisson, Luc, "Agathon, Pausanias, and Diotima in Plato’s Symposium: Paiderastia and Philosophia. Plato’s Symposium: Issues in Interpretation and Reception" Center For Hellenic Studies 2006

      47 Reeve, C. D. C., "A Study in Violets: Alcibiades in the Symposium, In Plato’s Symposium: Issues in Interpretation and Reception" Center For Hellenic Studies 2006

      48 Guthrie, W. K. C., "A History of Greek Philosophy: Volume IV-Plato: The Man and His Dialogues-Earlier Period" 197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3 0.53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47 1.284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