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에서는 1797년에서 1799년까지 진행된 정사박해의 원인과 순교자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정리할 수 있었다. 첫째, 정사박해는 1795년 이후에 지속된 주문모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에서는 1797년에서 1799년까지 진행된 정사박해의 원인과 순교자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정리할 수 있었다. 첫째, 정사박해는 1795년 이후에 지속된 주문모 ...
이 글에서는 1797년에서 1799년까지 진행된 정사박해의 원인과 순교자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정리할 수 있었다.
첫째, 정사박해는 1795년 이후에 지속된 주문모 신부에 대한 추적, 급증하고 있던 충청도 지역의 교세, 1790년대의 자연재해로 인한 기근, 기근의 원인을 신자에게 전가하는 분위기 등이 맞물려 일어났다.
둘째, 박해의 결과 100여 명이 희생되었지만, 현재 알려진 순교자는 여덟 명에 불과하다. 이들은 정산, 덕산, 홍주, 청주, 해미에서 순교했는데, 대부분 매를 맞고 사망하였다.
셋째, 순교자들은 ‘정송과 대시’ 규정에 따라 심문을 받았는데, 이러한 사실은 이 시기의 신자들이 신유박해 때처럼 십악(十惡)과 같은 중죄를 범한 죄인으로 인식되지 않았음을 말해준다.
넷째, 정사박해 순교자들은 전교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고, 자신의 재산을 가난한 이들과 나누는 나눔을 실천했으며, 풍부한 교리지식을 토대로 확고한 믿음을 지니고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확고한 믿음이 순교로 이어졌다고 하겠다.
다섯째, 정사박해는 ‘교화주의 입장’에서 전개된 박해 사건이었다. 정조는 형벌보다는 교화를 통해 천주교를 막고자 했다. 그리하여 천주교 신자들이 가지고 있는 책을 없애고 교육을 강화하면 크게 문제될 것이 없다는 입장이었다. 정사박해 순교자들이 대부분 장사(杖死)한 것은 이러한 정조의 ‘교화주의 정책’ 때문에, 관장들이 배교를 강요하면서 고문을 강화한 결과라고 하겠다.
여섯째, 1800년 6월 28일 정조가 승하하고, 어린 순조가 즉위하면서 1801년 초에 신유박해가 발생했다. 신유박해는 지속적으로 표출되던 강경한 천주교 탄압론이 온건론을 이긴 결과였다. 즉 정조의 사망으로 노론 벽파가 정권을 잡게 되면서 ‘교화주의 정책’이 유지되지 못했고, 그 결과 정사박해와는 달리 ‘인기인 화기서(人其人 火其書)’의 방침이 ‘형기인 화기서(刑其人 火其書)’의 방침으로 변화하면서, 천주교에 대한 탄압이 전국화·강경화 되었던 것이다.
참고문헌 (Reference)
1 "한불자전"
2 샤를르 달레, "한국천주교회사 상" 한국교회사연구소 1979
3 박병호, "한국법제사" 민속원 2012
4 차기진, "한국 천주교사연구의 성찰과 전망 - 연구소 설립 50주년 기념 논총" 한국교회사연구소 2014
5 방상근, "한국 천주교사 연구의 성찰과 전망" 한국교회사연구소 2014
6 조광, "한 ‘민중 영웅’의 믿음살이"
7 "하느님의 종 윤지충 바오로와 동료 123위 시복자료집 제1집" 한국 천주교주교회의 시복 시성 주교 특별위원회 2005
8 방상근, "충남 지역 천주교회의 형성과 특징 - 박해 시대를 중심으로 -" 2016
9 이만채, "천주교 전교 박해사(벽위편)" 국제고전교육협회 1984
1 "한불자전"
2 샤를르 달레, "한국천주교회사 상" 한국교회사연구소 1979
3 박병호, "한국법제사" 민속원 2012
4 차기진, "한국 천주교사연구의 성찰과 전망 - 연구소 설립 50주년 기념 논총" 한국교회사연구소 2014
5 방상근, "한국 천주교사 연구의 성찰과 전망" 한국교회사연구소 2014
6 조광, "한 ‘민중 영웅’의 믿음살이"
7 "하느님의 종 윤지충 바오로와 동료 123위 시복자료집 제1집" 한국 천주교주교회의 시복 시성 주교 특별위원회 2005
8 방상근, "충남 지역 천주교회의 형성과 특징 - 박해 시대를 중심으로 -" 2016
9 이만채, "천주교 전교 박해사(벽위편)" 국제고전교육협회 1984
10 이광우, "조선후기 향약운영과 성격" 영남대 대학원 2018
11 박주, "조선시대의 효와 여성" 국학자료원 2000
12 이세영, "조선시대 지주제 연구" 혜안 2018
13 앙투안 다블뤼, "조선 주요 순교자 약전" 내포교회사연구소 2014
14 김문식, "정조의 경학과 주자학" 문헌과 해석사 2000
15 "정조실록"
16 "일성록"
17 박지원, "연암집 상" 돌베개 2007
18 "승정원일기"
19 "백서"
20 서종태, "내포의 천주교와 성지"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15
21 "국역 대전회통" 고려대학교 출판부 1960
22 김진소, "고문주의를 이겨낸 박취득"
중국에 소개된 서양철학입문 -17세기 예수회선교사들의 저작 및 번역에서-
최초의 중문 교리교육서 《천주성교실록》 연구: 라틴어 저본과 중문 판본 비교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7-09-27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천주교 수원교구 유지재단 소속 수원교회사연구소 -> (재)천주교수원교구 수원교회사연구소영문명 : Suwon Research Institute -> Suwon Research Institute of Catholic Church History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 | 0.2 | 0.2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5 | 0.24 | 1.637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