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휴공간의 유형별 재생이 지역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2992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도시재생을 통해 도심 속 유휴공간의 재활용 방안에 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유휴공간을 재생하여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해 내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본 연구는 유형별 유휴공간의 재생이 주민 삶의 질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 어떠한 영향 관계 및 구조를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가설은 Smart PLS 3.0 패키지로 적합성 및 통계적 유의성 분석을 실시하여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총 11개의 가설 중 ‘경제기반형 PLS 구조모형’에 서는 6개의 가설이, ‘근린재생형 PLS 구조모형’에서는 4개의 가설이 검증되었다. 그 결과를 크게 몇 가지로 요약할 수 있는 데, 첫째, 유휴공간의 재생(경제기반형, 근린재생형)을 통해 거주민의 삶의 질과 지역경제활성화를 동시에 만족하려면 문화적 차원에 대한 부문을 공통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둘째, 물리적 차원이 주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은 ‘경제기반형 PLS 구조모 형’에서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차원은 ‘근린재생형 PLS 구조모형’에서만 유의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유휴공간의 재생에 관한 실증 결과를 분석했으며, PLS 구조 모형의 유형별 차이가 존재함을 밝혔다는 것에 의의가 존재한다.
      번역하기

      최근 도시재생을 통해 도심 속 유휴공간의 재활용 방안에 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유휴공간을 재생하여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해 내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본 연구...

      최근 도시재생을 통해 도심 속 유휴공간의 재활용 방안에 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유휴공간을 재생하여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해 내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본 연구는 유형별 유휴공간의 재생이 주민 삶의 질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 어떠한 영향 관계 및 구조를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가설은 Smart PLS 3.0 패키지로 적합성 및 통계적 유의성 분석을 실시하여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총 11개의 가설 중 ‘경제기반형 PLS 구조모형’에 서는 6개의 가설이, ‘근린재생형 PLS 구조모형’에서는 4개의 가설이 검증되었다. 그 결과를 크게 몇 가지로 요약할 수 있는 데, 첫째, 유휴공간의 재생(경제기반형, 근린재생형)을 통해 거주민의 삶의 질과 지역경제활성화를 동시에 만족하려면 문화적 차원에 대한 부문을 공통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둘째, 물리적 차원이 주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은 ‘경제기반형 PLS 구조모 형’에서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차원은 ‘근린재생형 PLS 구조모형’에서만 유의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유휴공간의 재생에 관한 실증 결과를 분석했으며, PLS 구조 모형의 유형별 차이가 존재함을 밝혔다는 것에 의의가 존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there has been increasing interest in the remodecycling options of idle spaces around the central city through the urban regeneration. Various studies to create new added value through this way are ongoing.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act relationship and structure on the regeneration of idle space by types affecting the quality of residents' life and local economy revitalization. The hypothesis was verified by a suitability test for setting the hypothesis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test from the PLS 3.0 pack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drew 6 hypotheses from a total of 11 on the 'idle space regeneration of economy based type of PLS-SEM' and 4 hypotheses from a total of 11 on the 'idle space regeneration of neighborhood regeneration type PLS-SEM'.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into several parts. First, if cultural aspects should be considered, the regeneration of idle space (economy-based type and neighborhood-regeneration type) could meet 2 parts, such as the quality of residents' life and local economy revitalization at the same time. Second, improving the 'physical aspects' only affects the 'idle space regeneration of the economy-based type of PLS-SEM'. Third, improving the 'social aspects' only affects the 'idle space regeneration of neighborhood regeneration type of PLS-SEM'.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provides the empirical analysis for the regeneration of idle space and there are differences according to types of PLS structural model.
      번역하기

      Recently, there has been increasing interest in the remodecycling options of idle spaces around the central city through the urban regeneration. Various studies to create new added value through this way are ongoing.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

      Recently, there has been increasing interest in the remodecycling options of idle spaces around the central city through the urban regeneration. Various studies to create new added value through this way are ongoing.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act relationship and structure on the regeneration of idle space by types affecting the quality of residents' life and local economy revitalization. The hypothesis was verified by a suitability test for setting the hypothesis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test from the PLS 3.0 pack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drew 6 hypotheses from a total of 11 on the 'idle space regeneration of economy based type of PLS-SEM' and 4 hypotheses from a total of 11 on the 'idle space regeneration of neighborhood regeneration type PLS-SEM'.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into several parts. First, if cultural aspects should be considered, the regeneration of idle space (economy-based type and neighborhood-regeneration type) could meet 2 parts, such as the quality of residents' life and local economy revitalization at the same time. Second, improving the 'physical aspects' only affects the 'idle space regeneration of the economy-based type of PLS-SEM'. Third, improving the 'social aspects' only affects the 'idle space regeneration of neighborhood regeneration type of PLS-SEM'.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provides the empirical analysis for the regeneration of idle space and there are differences according to types of PLS structural model.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금실, "하드 래더링(Hard Laddering)기법을 이용한 축제참가객의 가치체계에 관한 연구 - 충남보령머드축제 참가객을 대상으로 -" 대한관광경영학회 25 (25): 237-253, 2011

      2 최진욱, "유휴공간의 재생이 주민 삶의 질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미치는영향구조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16 (16): 129-142, 2016

      3 김현주, "유휴공간 재활용 계획에 나타나는 도시재생개념의 영향 분석 - 기존 연구에 등장하는 계획 사례를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27 (27): 103-112, 2011

      4 이광균, "수요자 중심의 마케팅 전략을 통한 미분양 주택 해소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15 (15): 1318-1326, 2014

      5 김세영,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유휴공간의 재생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9 (9): 17-29, 2014

      6 신은주, "문화예술상품 소비자의 가치인식이 추구혜택과 상품속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마케팅학회 14 (14): 177-207, 2012

      7 현진, "문화소비성향과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문화시설의 관객 세분화" 한국문화경제학회 15 (15): 79-101, 2012

      8 김지영, "도시재생 관점에서 바라보는 유휴공간의 활성화 방향 연구-고가도로 하부공간을 중심으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8 (8): 75-83, 2013

      9 차민경, "공연예술 소비자의 소셜미디어 가치사슬과 문화자본 형성 구조 연구: 수단-목적 사슬 이론을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30 (30): 219-261, 2013

      10 D. Barclay, "The partial least squares(PLS) approach to causal modeling, personal computer adoption and useasan illustration" 2 (2): 1981

      1 이금실, "하드 래더링(Hard Laddering)기법을 이용한 축제참가객의 가치체계에 관한 연구 - 충남보령머드축제 참가객을 대상으로 -" 대한관광경영학회 25 (25): 237-253, 2011

      2 최진욱, "유휴공간의 재생이 주민 삶의 질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미치는영향구조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16 (16): 129-142, 2016

      3 김현주, "유휴공간 재활용 계획에 나타나는 도시재생개념의 영향 분석 - 기존 연구에 등장하는 계획 사례를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27 (27): 103-112, 2011

      4 이광균, "수요자 중심의 마케팅 전략을 통한 미분양 주택 해소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15 (15): 1318-1326, 2014

      5 김세영,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유휴공간의 재생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9 (9): 17-29, 2014

      6 신은주, "문화예술상품 소비자의 가치인식이 추구혜택과 상품속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마케팅학회 14 (14): 177-207, 2012

      7 현진, "문화소비성향과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문화시설의 관객 세분화" 한국문화경제학회 15 (15): 79-101, 2012

      8 김지영, "도시재생 관점에서 바라보는 유휴공간의 활성화 방향 연구-고가도로 하부공간을 중심으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8 (8): 75-83, 2013

      9 차민경, "공연예술 소비자의 소셜미디어 가치사슬과 문화자본 형성 구조 연구: 수단-목적 사슬 이론을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30 (30): 219-261, 2013

      10 D. Barclay, "The partial least squares(PLS) approach to causal modeling, personal computer adoption and useasan illustration" 2 (2): 1981

      11 W. W. Chin, "The Partial Least Squares Approach to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295 (295): 1998

      12 Claes Fornell,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Algebra and Statistics" JSTOR 18 (18): 382-, 1981

      13 D. H. Nam, "Research on the Public Design of the Spaces underneath Overpass for Revitalization of Urban Culture" Dong-Seo University 2011

      14 Ravi Patnayakuni, "Relational Antecedents of Information Flow Integration for Supply Chain Coordination" Informa UK Limited 23 (23): 13-49, 2006

      15 A. Rai, "Firm Performance Impacts of Digitally Enabled Supply Chain Integration Capabilities" 30 (30): 2006

      16 J. G. Yu, "A Study on Relationship Patterns of the Service Quality Variables for the University Online/Offline Lectures" Graduate School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011

      17 M. C. Jung, "(The)impact that educational attributes, brand value, and properties of choice influence to tourism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in historical and cultural sites" Graduate School of Kyung-Hee University 2010

      18 Y. J. Lee, "(The) study on the landscape architecture latent ability of unused and lost of function space in the city : focusing on lost of function railroad site" Graduate School of Hong-ik University 2004

      19 Y. A. Go, "(A)study on the prototype design for using spaces under the elevated road : focused on central business district in Seoul"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2002

      20 H. J. Kim, "(A)study on the planning methods for adaptive reuse of abandoned industrial facilities in the context of urban regeneration"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2014

      21 H. W. Jang, "(A)study on cultural tourist's value systems" Graduate School of Je-Ju University 2013

      22 S. M. Park, "(A)Study of the ‘idle space’ for contents based on history and culture" Graduate School of Jeon-nam University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7-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현장점검) (기타) KCI등재후보
      2017-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8-28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KCI등재후보
      2007-07-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cademic Inderstrial Society ->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1 0.842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