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노인들의 우울수준 및 그와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고자 도시지역 노인 386명을 대상으로 2015년 7월부터 8월까지의 기간 동안에 구조화된 무기명식 면접조사용 설문지를 사용하여 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299236
2016
Korean
ADL ; Depression ; Elderly ; IADL ; Self-esteem ; Social support
KCI등재
학술저널
506-515(10쪽)
1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노인들의 우울수준 및 그와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고자 도시지역 노인 386명을 대상으로 2015년 7월부터 8월까지의 기간 동안에 구조화된 무기명식 면접조사용 설문지를 사용하여 면...
본 연구는 노인들의 우울수준 및 그와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고자 도시지역 노인 386명을 대상으로 2015년 7월부터 8월까지의 기간 동안에 구조화된 무기명식 면접조사용 설문지를 사용하여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조사 대상자의 우울수준 평균 점수는 연령이 높을수록, 학력이 낮을수록, 혼자 사는 군에서, 월수입이 낮을수록, 생활비를 정부로부터 보조 받는다는 군에서, 만성질환이 있다는 군에서,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지 않다는 군에서,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지 않는다는 군에 서, 주관적 수면의 질이 좋지 않다는 군에서, 외출 빈도가 낮을수록, 식사를 규칙적으로 하지 않는다는 군에서, ADL, IADL의 도움이 필요하다는 군에서,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 지지도가 낮은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조사 대상 노인들의 우울수준 (CES-D)은 ADL 및 IADL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 지지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우울수준 을 종속변수로 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우울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학력, 월수입, 주관적 건강상태, ADL, 자아존중 감 및 사회적 지지 순이었으며 변인들에 의한 설명력은 54.1%이었다. 따라서 이 같은 요인들을 고려한 노인들의 우울수준을 낮추기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활용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levels of depression of the elderly (living in urban areas). Interviews were performed during the period from July 1, 2015 to August 31, 2015 of 386 elderly people in urban a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levels of depression of the elderly (living in urban areas). Interviews were performed during the period from July 1, 2015 to August 31, 2015 of 386 elderly people in urban areas. The mean score of depressive symptom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ubjects of higher age, lower educational level, living alone, having a lower monthly income, relying on government subsidy for their living expenses, having a chronic illness, lower state of subjective health, without regular exercise, poorer subjective sleeping time, lower frequency of going out, irregular eating habits, depending on some level of help for their ADL and IADL, and having lower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The depressive symptoms showed a meaningful positive correlation with ADL and IADL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eaningful variables related to their depressive symptoms were their education, monthly income, subjective health status, ADL,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Also, according to the variables was 54.1% of depressive symptoms.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practice of physical and mental health care, as well as social support, is required to reduce the level of depression in the elderly.
참고문헌 (Reference)
1 최형임,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가 노인의 스트레스적 생활경험과 절망감의 관계에 미치는 매개효과" 한국노인복지학회 (43) : 183-202, 2009
2 윤현숙, "일부 도시지역 장기요양급여 인정 노인들의 우울수준과 관련 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 16 (16): 2674-2683, 2015
3 임혜숙, "일부 도시지역 노인들의 우울수준과 사회적지지 및 가족지지와의 관련성" 한국산학기술학회 12 (12): 1721-1731, 2011
4 박선영, "일 지역사회 저소득 노인의 우울,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삶의 질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보건간호학회 23 (23): 78-90, 2009
5 주애란, "일 보건진료소 관할 지역 노인의 건강 관련 특성, 우울, 사회적 지지가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노인간호학회 13 (13): 154-162, 2011
6 송민선, "우울 노인의 일상생활활동과 우울 영향 요인" 노인간호학회 10 (10): 20-26, 2008
7 유영란, "성인 애착과 전문적 도움 추구 의도: 심리적 불편감, 지각된 사회적 지지, 자기은폐의 매개효과검증" 한국상담심리학회 18 (18): 441-460, 2006
8 박경순,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부정성이 농촌 노인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42 (42): 151-177, 2014
9 여연옥, "만성질환으로 입원한 노인 환자의 우울, 자아존중감 및 일상생활 수행능력(ADL) 간 관계연구" 성인간호학회 22 (22): 676-686, 2010
10 최영, "독거노인의 경제수준, 건강상태,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소 24 (24): 103-123, 2008
1 최형임,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가 노인의 스트레스적 생활경험과 절망감의 관계에 미치는 매개효과" 한국노인복지학회 (43) : 183-202, 2009
2 윤현숙, "일부 도시지역 장기요양급여 인정 노인들의 우울수준과 관련 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 16 (16): 2674-2683, 2015
3 임혜숙, "일부 도시지역 노인들의 우울수준과 사회적지지 및 가족지지와의 관련성" 한국산학기술학회 12 (12): 1721-1731, 2011
4 박선영, "일 지역사회 저소득 노인의 우울,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삶의 질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보건간호학회 23 (23): 78-90, 2009
5 주애란, "일 보건진료소 관할 지역 노인의 건강 관련 특성, 우울, 사회적 지지가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노인간호학회 13 (13): 154-162, 2011
6 송민선, "우울 노인의 일상생활활동과 우울 영향 요인" 노인간호학회 10 (10): 20-26, 2008
7 유영란, "성인 애착과 전문적 도움 추구 의도: 심리적 불편감, 지각된 사회적 지지, 자기은폐의 매개효과검증" 한국상담심리학회 18 (18): 441-460, 2006
8 박경순,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부정성이 농촌 노인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42 (42): 151-177, 2014
9 여연옥, "만성질환으로 입원한 노인 환자의 우울, 자아존중감 및 일상생활 수행능력(ADL) 간 관계연구" 성인간호학회 22 (22): 676-686, 2010
10 최영, "독거노인의 경제수준, 건강상태,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소 24 (24): 103-123, 2008
11 이미숙, "도시거주 노인의 만성질환과 우울증세의 상관성 및 사회관계망의 효과에 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학회 (27) : 5-30, 2010
12 신은숙, "농촌지역 노인들의 신체적 기능(ADL, IADL)과 우울수준과의 관련성" 한국산학기술학회 13 (13): 201-210, 2012
13 강월숙, "노인학대, 자아존중감, 일상생활수행능력(ADL) 및 정신사회적 요인과 노인 우울 간의 관련성" 한국보건사회학회 (29) : 153-183, 2011
14 김신향,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우울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한 메타분석" 사회과학연구원 40 (40): 77-97, 2014
15 임중철, "노인의 일자리참여활동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 한국노인복지학회 (57) : 29-50, 2012
16 권명진, "노인의 인지, 우울과 공격성의 관계에 관한 융합 연구" 한국융합학회 6 (6): 171-176, 2015
17 배지연, "노인의 우울 및 자살생각에 있어서 사회적지지의 완충효과" 한국노년학회 25 (25): 59-73, 2005
18 장미희, "노인의 분노, 분노표현,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과 우울의 관계" 정신간호학회 18 (18): 259-268, 2009
19 장경오, "노인대학의 프로그램 참여 노인들의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5 (15): 5078-5087, 2014
20 이인정, "남녀노인의 우울, 삶의 만족에 대한 심리사회적 요인들의 영향의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36) : 161-182, 2007
21 신은숙,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한 노인들의 신체적 기능과 사회적지지가 우울수준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12 (12): 4995-5004, 2011
22 Won CW, "The development of Korean activities of daily living(K-ADL) and Korea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K-IADL) scale." 5 : 1-20, 2002
23 Ormel J, "Temporal and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IADL/ADL disability and depressive symptoms in late life" 57 (57): P338-P347, 2002
24 Stopa SR, "Prevalence of self-reported depression in Brazil: 2013 National Health Survey results" 18 (18): 170-180, 2015
25 Magnus Sandberg, "Prevalence and predictors of healthcare utilization among older people (60+): Focusing on ADL dependency and risk of depression" Elsevier BV 54 (54): e349-e363, 2012
26 Lydia W. Li, "Late-life depression in Rural China: do village infrastructure and availability of community resources matter?" Wiley-Blackwell 30 (30): 729-736, 2015
27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8 Chon KK, "Integrated adaptation of CES-D in Korea" 6 (6): 59-76, 2001
29 Franz Faul,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Springer Nature 39 (39): 175-191, 2007
30 Koji Fujita, "Frequency of Going Outdoors as a Good Predictors for Incident Disability of Physical Function as well as Disability Recovery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in Rural Japan" Japan Epidemiological Association 16 (16): 261-270, 2006
31 World Health Organization, "Fact sheets/Mental disorders/Depression"
32 Boerema AM, "Determinants of help-seeking behavior in depression: a cross-sectional study" 16 (16): 1-9, 2016
33 Bretanha AF, "Depressive symptoms in elderly living in areas covered by Primary Health Care Units in urban area of Bagé, RS" 18 (18): 1-12, 2015
34 Shannon Ang, "Association of received social support with depressive symptoms among older males and females in Singapore: Is personal mastery an inconsistent mediator?" Elsevier BV 153 : 165-173, 2016
35 김은석, "75세 이상 후기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관련 요인- 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 한국산학기술학회 15 (15): 4279-4289, 2014
유휴공간의 유형별 재생이 지역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의료방사선 차폐용 납 가운의 오염도 측정 및 소독에 관한 연구
일 대학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사회성 및 자기주도적 학습간의 관계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7-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현장점검) (기타) | ![]() |
2017-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8-28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2007-07-06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Academic Inderstrial Society ->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8 | 0.68 | 0.6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6 | 0.61 | 0.842 | 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