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해체적 그래픽디자인의 작품 분석 방법론 연구 - 볼프강 이저의 수용미학을 중심으로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713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포스트모던의 영향을 받은 해체적 그래픽디자인의 시각 표현은 명확한 이미지와 텍스트로 구성된 전통적 형식의 그래픽디자인 표현법과 달리 도전적이고 실험적이었다. 이런 해체적 그래픽디자인의 시각 특징들은 작품을 감상하는 데 있어 미적 경험의 주체로서 독자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본 연구는 수용자 즉 독자 중심적인 문학 연구 이론인 수용미학(Aesthetics of Reception)을 중심이론으로 상정하여 해체적 그래픽디자인의 실험성으로 인해 나타나는 특징들에 대한 이념적 틀을 새롭게 형성하고자 한다. 해체적 그래픽디자인의 작품해석을 위해 볼프강 이저의 수용미학의 특징들을 도출하고 이론의 범주로 대입하여 해석이 어떻게 확장되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용미학은 작가와 독자 간의 상호 작용에 관심을 둔 문학 연구 이론이지만, 포스트모던의 영향을 받은 해체적 그래픽디자인에 대한 새로운 작품 분석 방법론으로써 이론적 토대를 마련, 작품 해석의 지평을 넓혔다. 또한 현대 그래픽디자인을 감상하는 능동적이고 창의적인 역할이 강조되는 독자에 대한 상호콘텐츠 연구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포스트모던의 영향을 받은 해체적 그래픽디자인의 시각 표현은 명확한 이미지와 텍스트로 구성된 전통적 형식의 그래픽디자인 표현법과 달리 도전적이고 실험적이었다. 이런 해체적 그래...

      포스트모던의 영향을 받은 해체적 그래픽디자인의 시각 표현은 명확한 이미지와 텍스트로 구성된 전통적 형식의 그래픽디자인 표현법과 달리 도전적이고 실험적이었다. 이런 해체적 그래픽디자인의 시각 특징들은 작품을 감상하는 데 있어 미적 경험의 주체로서 독자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본 연구는 수용자 즉 독자 중심적인 문학 연구 이론인 수용미학(Aesthetics of Reception)을 중심이론으로 상정하여 해체적 그래픽디자인의 실험성으로 인해 나타나는 특징들에 대한 이념적 틀을 새롭게 형성하고자 한다. 해체적 그래픽디자인의 작품해석을 위해 볼프강 이저의 수용미학의 특징들을 도출하고 이론의 범주로 대입하여 해석이 어떻게 확장되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용미학은 작가와 독자 간의 상호 작용에 관심을 둔 문학 연구 이론이지만, 포스트모던의 영향을 받은 해체적 그래픽디자인에 대한 새로운 작품 분석 방법론으로써 이론적 토대를 마련, 작품 해석의 지평을 넓혔다. 또한 현대 그래픽디자인을 감상하는 능동적이고 창의적인 역할이 강조되는 독자에 대한 상호콘텐츠 연구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visual expression of deconstructive graphic design influenced by postmodernism differs from the traditional ways of graphic expression that consist of precise images and text and is challenging and highly experiment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mative nature of such deconstructive graphic design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reader as the principal agent of aesthetic experience in the appreciation of works. For this study, a new ideological framework was developed regarding the ambiguity arising due to visual experimentation in deconstructive graphic design, assuming the central theory to be the Reception Theory (Aesthetics of Reception) centering around the recipient who is the reader. The characteristics of Iser’s Reception Theory are substituted as a theoretical category and an interpretation of the works of ambiguity in deconstructive graphic design is carried out. Although Aesthetics of Reception is a literary theory about the interaction between the artist and the reader, as a method for interpreting deconstructive graphic design influenced by postmodernism, it laid a theoretical foundation and enriched the interpretation of works. Moreover, the four characteristics of Iser’s Reception Theory were used to create a framework that suggested a new direction for the approach based on the reader’s interaction in the process of interpreting works of modern graphic design.
      번역하기

      The visual expression of deconstructive graphic design influenced by postmodernism differs from the traditional ways of graphic expression that consist of precise images and text and is challenging and highly experiment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f...

      The visual expression of deconstructive graphic design influenced by postmodernism differs from the traditional ways of graphic expression that consist of precise images and text and is challenging and highly experiment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mative nature of such deconstructive graphic design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reader as the principal agent of aesthetic experience in the appreciation of works. For this study, a new ideological framework was developed regarding the ambiguity arising due to visual experimentation in deconstructive graphic design, assuming the central theory to be the Reception Theory (Aesthetics of Reception) centering around the recipient who is the reader. The characteristics of Iser’s Reception Theory are substituted as a theoretical category and an interpretation of the works of ambiguity in deconstructive graphic design is carried out. Although Aesthetics of Reception is a literary theory about the interaction between the artist and the reader, as a method for interpreting deconstructive graphic design influenced by postmodernism, it laid a theoretical foundation and enriched the interpretation of works. Moreover, the four characteristics of Iser’s Reception Theory were used to create a framework that suggested a new direction for the approach based on the reader’s interaction in the process of interpreting works of modern graphic desig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I. 서론
      • Ⅱ. 해체적 그래픽디자인
      • Ⅲ. 수용미학
      • 요약
      • Abstract
      • I. 서론
      • Ⅱ. 해체적 그래픽디자인
      • Ⅲ. 수용미학
      • Ⅳ. 볼프강 이저의 수용미학을 통한 해체적 그래픽디자인 해석
      • Ⅴ. 결론 및 논의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하승연, "현대시의 불확정성과 의미구성과정 연구 : 이저의 레퍼토리 이론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2 하승연, "현대시의 불확정성과 의미구성과정 연구 : 이저의 레퍼토리 이론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3 김지원, "현대 그래픽디자인에 나타나는 모호성과 비규정성에 의한 다의적 해석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4 (14): 181-191, 2013

      4 김지원, "해체적 그래픽디자인 해석의 틈에 대한 수용미학적 접근" 한국기초조형학회 18 (18): 127-140, 2017

      5 고위공, "해석학과 문예학" 나남 150-, 1989

      6 김지원, "포스트모던 그래픽디자인의 다의적 해석의 가능성- 비주얼 리터러시 역량요인을 중심으로 -" 한국기초조형학회 14 (14): 71-82, 2013

      7 존 바우어, "커뮤니케이션의 이해" 디자인하우스 85-, 2003

      8 미스터 키디, "지금, 우리의 그래픽 디자인" 스테파노 반델리 125-126, 2013

      9 김인환, "신화적 공간의 개연성(Probability)과 미학의 매트릭스(Matrix)" (9) : 21-, 2004

      10 김문환, "수용미학의 측면에서 본 관객개발의 의의" 21-, 2002

      1 하승연, "현대시의 불확정성과 의미구성과정 연구 : 이저의 레퍼토리 이론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2 하승연, "현대시의 불확정성과 의미구성과정 연구 : 이저의 레퍼토리 이론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3 김지원, "현대 그래픽디자인에 나타나는 모호성과 비규정성에 의한 다의적 해석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4 (14): 181-191, 2013

      4 김지원, "해체적 그래픽디자인 해석의 틈에 대한 수용미학적 접근" 한국기초조형학회 18 (18): 127-140, 2017

      5 고위공, "해석학과 문예학" 나남 150-, 1989

      6 김지원, "포스트모던 그래픽디자인의 다의적 해석의 가능성- 비주얼 리터러시 역량요인을 중심으로 -" 한국기초조형학회 14 (14): 71-82, 2013

      7 존 바우어, "커뮤니케이션의 이해" 디자인하우스 85-, 2003

      8 미스터 키디, "지금, 우리의 그래픽 디자인" 스테파노 반델리 125-126, 2013

      9 김인환, "신화적 공간의 개연성(Probability)과 미학의 매트릭스(Matrix)" (9) : 21-, 2004

      10 김문환, "수용미학의 측면에서 본 관객개발의 의의" 21-, 2002

      11 홀럽, 로버트 C, "수용미학의 이론" 예림기획 4-, 1999

      12 길성호, "수용미학과 현대건축" 시공문화사 65-, 2003

      13 이에 무카좁스키, "미학소론" Frankfurt 11-13, 1970

      14 이은적, "미술작품 읽기(Ⅰ) - 감상내용과 방법을 제안하는 이론들에 대한 고찰" 한국미술교육학회 14 : 211-232, 2002

      15 박찬기, "문학의 독자와 수용미학" 고려원 1992

      16 M. H. 아브람스, "문학용어사전" 보성출판사 13-, 1990

      17 페터 V. 지마, "문예미학" 을유문화사 297-, 1993

      18 차봉희, "독자반응비평" 고려원 52-, 1993

      19 엘리자베드 프로인드, "독자로 돌아가기:신비평에서 포스트모던 비평까지" 인간사랑 236-, 2005

      20 볼프강 이저, "독서 행위" 신원문화사 1993

      21 손수현, "공연텍스트와 관객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 이저(Iser)의 수용미학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7

      22 Philip B. Meggs, "Typography , Step-by-Step" Graphics 1990

      23 Wolfgang Iser, "Prospecting: from reader response to literary anthropology"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9

      24 디트로이트 메트로 타임즈, "How Detroit artist Ed Fella made his mark in graphic design"

      25 Wolfgang Iser, "Der Akt des Lesens" UTB GmbH 1976

      26 릭 포이너, "6개의 키워드로 풀어본 포스트모던 그래픽디자인" 시지락 47-, 2007

      27 김민정, "'알레고리^Allegory^'의 관점으로 본 해체적 실험성과 해체 디자인 '형상언어'에 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5-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5 1.57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