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가상현실 안전교육 콘텐츠의 인터랙션 디자인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713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가상현실 안전교육 콘텐츠의 기획과 제작에 참고할 수 있도록 내용 구성 단계별 인터랙션 디자인 특성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VR 안전교육 콘텐츠 구성의 특성과 VR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분류, 인터랙션 유형, 인터랙션 방식, 인터랙션 구성 요소들의 관계를 정리하여 인터페이스의 관계 분석 틀을 제시하였으며, VR안전교육 콘텐츠 사례 분석을 통해 비상 상황 대응절차 지식의 습득, 사고 상황 체험 학습 그리고 내용의 확인 및 평가의 세 가지 구성단계에서 각각 다음과 같은 상호작용 디자인 특징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첫째, 학습자 체험단계에서 교육 핵심 체험을 강조하기 위하여 행위 충실도를 높이고 일반적이고 반복적인 행동은 간략하게 축소하여 체험의 질을 조절하는 것이 드러났다. 둘째, 학습자가 생소한 환경에서 안전 행동 절차에 대한 정보 습득을 위하여 주요 상호작용 대상물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공간UI나 화살표나 상징을 활용한 기표, 행위를 구체적으로 지시하는 게시글 및 다감각 신호를 활용하여 사용자 체험 자유도를 낮추는 방식으로 필수 행위를 강조하고 인지적 인터랙션을 위한 비사실적 방식 인터랙션 비중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체험의 확인과 평가 단계에서 사고 상황 후 신체손상 등의 부정적 경험을 은유적으로 경험하도록 하는 메타UI를 활용하고 3인칭 시점이나 반복재생의 방식으로 학습자의 체험을 객관적 시각으로 환기하는 것이 활용되었다. 또한 이러한 특성과 관련하여 인터랙션 차원에 따른 요소들의 관계를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가상현실 안전교육 콘텐츠의 기획과 제작에 참고할 수 있도록 내용 구성 단계별 인터랙션 디자인 특성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VR 안전교육 콘텐츠 ...

      본 연구는 가상현실 안전교육 콘텐츠의 기획과 제작에 참고할 수 있도록 내용 구성 단계별 인터랙션 디자인 특성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VR 안전교육 콘텐츠 구성의 특성과 VR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분류, 인터랙션 유형, 인터랙션 방식, 인터랙션 구성 요소들의 관계를 정리하여 인터페이스의 관계 분석 틀을 제시하였으며, VR안전교육 콘텐츠 사례 분석을 통해 비상 상황 대응절차 지식의 습득, 사고 상황 체험 학습 그리고 내용의 확인 및 평가의 세 가지 구성단계에서 각각 다음과 같은 상호작용 디자인 특징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첫째, 학습자 체험단계에서 교육 핵심 체험을 강조하기 위하여 행위 충실도를 높이고 일반적이고 반복적인 행동은 간략하게 축소하여 체험의 질을 조절하는 것이 드러났다. 둘째, 학습자가 생소한 환경에서 안전 행동 절차에 대한 정보 습득을 위하여 주요 상호작용 대상물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공간UI나 화살표나 상징을 활용한 기표, 행위를 구체적으로 지시하는 게시글 및 다감각 신호를 활용하여 사용자 체험 자유도를 낮추는 방식으로 필수 행위를 강조하고 인지적 인터랙션을 위한 비사실적 방식 인터랙션 비중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체험의 확인과 평가 단계에서 사고 상황 후 신체손상 등의 부정적 경험을 은유적으로 경험하도록 하는 메타UI를 활용하고 3인칭 시점이나 반복재생의 방식으로 학습자의 체험을 객관적 시각으로 환기하는 것이 활용되었다. 또한 이러한 특성과 관련하여 인터랙션 차원에 따른 요소들의 관계를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interaction design for each stage of content composition so that it can be referred to in the planning and production of virtual reality safety education contents. It was confirmed that each of the following interaction design features was found in the three configuration steps: acquisition of situation response procedure knowledge, accident situation experiential learning, and content confirmation and evaluation. First, it was revealed that the quality of experience was controlled by increasing the fidelity of behaviors and reducing general and repetitive behaviors in order to emphasize the educational content-related experiences in the learner experience stage. Second, in order for learners to easily recognize main interaction objects in order to acquire information on safe behavior procedures in unfamiliar environments, use of spatial UI or signifiers using arrows or symbols, posts that specifically instruct actions, and multisensory signals Therefore, it was found to be important to emphasize essential actions in a way that lowers the degree of freedom of user experience, and the proportion of non-realistic interactions for cognitive interactions was found to increase. Lastly, in the confirmation and evaluation stage of the experience, it is important to use the meta UI to alleviate negative experiences such as physical damage after experiencing a safety accident situa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interaction design for each stage of content composition so that it can be referred to in the planning and production of virtual reality safety education contents. It was confirmed that ea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interaction design for each stage of content composition so that it can be referred to in the planning and production of virtual reality safety education contents. It was confirmed that each of the following interaction design features was found in the three configuration steps: acquisition of situation response procedure knowledge, accident situation experiential learning, and content confirmation and evaluation. First, it was revealed that the quality of experience was controlled by increasing the fidelity of behaviors and reducing general and repetitive behaviors in order to emphasize the educational content-related experiences in the learner experience stage. Second, in order for learners to easily recognize main interaction objects in order to acquire information on safe behavior procedures in unfamiliar environments, use of spatial UI or signifiers using arrows or symbols, posts that specifically instruct actions, and multisensory signals Therefore, it was found to be important to emphasize essential actions in a way that lowers the degree of freedom of user experience, and the proportion of non-realistic interactions for cognitive interactions was found to increase. Lastly, in the confirmation and evaluation stage of the experience, it is important to use the meta UI to alleviate negative experiences such as physical damage after experiencing a safety accident situ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I.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VR 안전교육 콘텐츠 인터랙션 디자인 사례 분석
      • 요약
      • Abstract
      • I.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VR 안전교육 콘텐츠 인터랙션 디자인 사례 분석
      • Ⅳ. VR 안전교육 콘텐츠 인터랙션 특징
      • Ⅴ.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은지, "재난 대응 3D 시뮬레이션 설계과정을 통한 교육적 효과"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8 (8): 23-29, 2016

      2 셰차오, "자동차 안전교육 VR 시뮬레이션 제작을 위한 프레임워크" 한국융합학회 10 (10): 37-45, 2019

      3 백지민, "산업안전 교육시스템에서의 가상현실의 효과적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안전경영과학회 18 (18): 19-30, 2016

      4 이재학, "비상상황 안전 교육훈련을 위한 가상현실(VR)콘텐츠 모델 설계"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2 (22): 41-49, 2021

      5 전정채, "가상현실 기반 체험형 전기안전 교육 시스템의 개발 및 효과 분석" 대한전기학회 65 (65): 1767-1773, 2016

      6 장선희, "가상현실 기반 안전교육 콘텐츠 유형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21 (21): 434-445, 2021

      7 한형종, "가상현실 기반 교육용 시뮬레이션 설계원리 개발" 한국교육공학회 36 (36): 221-264, 2020

      8 "https://www.youtube.com/watch?v=VWL1KQ CuMyQ"

      9 "https://www.youtube.com/watch?v=QeR_Wkg vm5I"

      10 "https://www.youtube.com/watch?v=MkKZ0vZi jys"

      1 송은지, "재난 대응 3D 시뮬레이션 설계과정을 통한 교육적 효과"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8 (8): 23-29, 2016

      2 셰차오, "자동차 안전교육 VR 시뮬레이션 제작을 위한 프레임워크" 한국융합학회 10 (10): 37-45, 2019

      3 백지민, "산업안전 교육시스템에서의 가상현실의 효과적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안전경영과학회 18 (18): 19-30, 2016

      4 이재학, "비상상황 안전 교육훈련을 위한 가상현실(VR)콘텐츠 모델 설계"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2 (22): 41-49, 2021

      5 전정채, "가상현실 기반 체험형 전기안전 교육 시스템의 개발 및 효과 분석" 대한전기학회 65 (65): 1767-1773, 2016

      6 장선희, "가상현실 기반 안전교육 콘텐츠 유형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21 (21): 434-445, 2021

      7 한형종, "가상현실 기반 교육용 시뮬레이션 설계원리 개발" 한국교육공학회 36 (36): 221-264, 2020

      8 "https://www.youtube.com/watch?v=VWL1KQ CuMyQ"

      9 "https://www.youtube.com/watch?v=QeR_Wkg vm5I"

      10 "https://www.youtube.com/watch?v=MkKZ0vZi jys"

      11 "https://www.youtube.com/watch?v=5AsksACw dDE"

      12 "https://www.youtube.com/watch?v=4frwwp2Y 3wU"

      13 김충한, "VR(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한 건설현장 안전사고 예방 교육 효과연구" 2020 (2020): 86-86, 2020

      14 제이슨 제럴드, "VR Book" 에이콘 출판 343-344, 2019

      15 범원택, "VR AR을 활용한 실감형 교육콘텐츠정책동향 및 사례 분석" 정보통신산업진흥원 2019

      16 F. Carvalho, "Toward the design of transitional interfaces : an exploratory study on a semi-immersive hybrid user interface" 16 (16): 271-288, 2016

      17 D. A. Bowman, "Interservice/Industry Traning, Simulation" 2012

      18 Y. Shi, "Impact assessment of reinforced learning methods on construction workers' fall risk behavior using virtual reality" 104 : 197-214, 2019

      19 D. Bowman, "Design and evaluation of menu systems for immersive virtual environments" 149-156, 2001

      20 W. E. Marsh, "Cognitive Demands of Semi-Natural Virtual Locomotion" 22 (22): 216-234, 2013

      21 E. Fagerholt, "Beyond the HUD - User Interfaces for Increased Player Immersion in FPS Games" Chalmers University of Technology 2009

      22 D. Norman, "Affordances, Conventions and Design" 30-42, 1999

      23 F. Hernoux, "A seamless solution for 3D real-time interaction: design and evaluation" Springer 2014

      24 정상, "4차 산업혁명 시대의 VR/XR 기반 재난안전 훈련기술에 관한 고찰 - VR/XR 기반의 소방훈련을 중심으로 -"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1 (21): 1153-1158, 2020

      25 이현숙, "2020 12월말 산업재해 발생현황" 고용노동부산재예방정책과 202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5-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5 1.57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