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 교육 문제: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current issues in education of children of North Korean immigrants born in China and other countries. The children share their parents background as North Korean refugees. However, they also have on their own immigrant experiences moving from another country to South Korea and cultural hybridity characteristics contextualized in China and South Korea. In reviewing existing literature such as newspaper articles, research reports, and academic journal articl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hanges in discourse, educational issues surrounding the children, and the possible educational insight that these children may bring from their hybrid
      experience toward Korean education in the future. Studying this particular population is a turning point in this type of research as it reveals new complex cultural boundaries and encourages breaking down of cultural barriers.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research on North Korean immigrant student education and minority student education
      should be redefined, which will ultimately offer a new perspective in Korean and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번역하기

      This study focuses on current issues in education of children of North Korean immigrants born in China and other countries. The children share their parents background as North Korean refugees. However, they also have on their own immigrant experienc...

      This study focuses on current issues in education of children of North Korean immigrants born in China and other countries. The children share their parents background as North Korean refugees. However, they also have on their own immigrant experiences moving from another country to South Korea and cultural hybridity characteristics contextualized in China and South Korea. In reviewing existing literature such as newspaper articles, research reports, and academic journal articl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hanges in discourse, educational issues surrounding the children, and the possible educational insight that these children may bring from their hybrid
      experience toward Korean education in the future. Studying this particular population is a turning point in this type of research as it reveals new complex cultural boundaries and encourages breaking down of cultural barriers.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research on North Korean immigrant student education and minority student education
      should be redefined, which will ultimately offer a new perspective in Korean and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원웅, "해외 체류 북한이탈주민 아동 인권상황 실태조사" 국가인권위원회 2012

      2 이기영, "한국거주 탈북배경청소년의 다양성에 따른 지원정책의 분석과 함의" 사회과학연구원 부설 동북아연구소 30 (30): 93-129, 2015

      3 양영자, "한국 다문화교육의 새 지평: 역사적 소수자의 미래지향적 재현" 한국교육과정학회 33 (33): 179-205, 2015

      4 양영자, "한국 다문화교육에서의 ‘모델 마이너리티’ 경향 고찰" 다문화평화연구소 9 (9): 44-75, 2015

      5 최순옥, "탈북학생 밀집지역 학교현황 및 교육지도" 한국교육개발원 2013

      6 연합뉴스, "탈북초등생 태반 3국 출생...한글 교육 시급"

      7 이강주, "탈북청소년의 교육 종단연구(Ⅲ)" 한국교육개발원 2012

      8 이향규, "탈북청소년의 교육 종단연구(Ⅱ)" 한국교육개발원 2011

      9 조정아, "탈북청소년의 경계 경험과 정체성 재구성" 통일연구원 2014

      10 신효숙, "탈북청소년 남과 북 통합의 미래. (실태조사 심층분석 시리즈1)" 남북하나재단 2015

      1 이원웅, "해외 체류 북한이탈주민 아동 인권상황 실태조사" 국가인권위원회 2012

      2 이기영, "한국거주 탈북배경청소년의 다양성에 따른 지원정책의 분석과 함의" 사회과학연구원 부설 동북아연구소 30 (30): 93-129, 2015

      3 양영자, "한국 다문화교육의 새 지평: 역사적 소수자의 미래지향적 재현" 한국교육과정학회 33 (33): 179-205, 2015

      4 양영자, "한국 다문화교육에서의 ‘모델 마이너리티’ 경향 고찰" 다문화평화연구소 9 (9): 44-75, 2015

      5 최순옥, "탈북학생 밀집지역 학교현황 및 교육지도" 한국교육개발원 2013

      6 연합뉴스, "탈북초등생 태반 3국 출생...한글 교육 시급"

      7 이강주, "탈북청소년의 교육 종단연구(Ⅲ)" 한국교육개발원 2012

      8 이향규, "탈북청소년의 교육 종단연구(Ⅱ)" 한국교육개발원 2011

      9 조정아, "탈북청소년의 경계 경험과 정체성 재구성" 통일연구원 2014

      10 신효숙, "탈북청소년 남과 북 통합의 미래. (실태조사 심층분석 시리즈1)" 남북하나재단 2015

      11 강구섭, "탈북청소년 교육 종단연구(Ⅵ)" 한국교육개발원 2015

      12 강구섭, "탈북청소년 교육 종단연구(Ⅴ)" 한국교육개발원 2014

      13 한만길, "탈북청소년 교육 종단연구(Ⅳ)" 한국교육개발원 2013

      14 이기영, "중국출생 무국적 자녀와 동반입국한 북한이탈여성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아동복지학회 (52) : 209-239, 2015

      15 한반도화해센터, "중국 내 탈북여성 2세 가정환경 조사보고서: 모상실 가정 아동을 중심으로" 한반도화해센터 2008

      16 이춘호, "중국 내 북한이탈주민 정착가정 자녀의 생활 실태 연구"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16 (16): 143-163, 2015

      17 자유아시아방송, "중, 국경지역 탈북자 수 10년간 90% 급감"

      18 연합뉴스, "제3국서 태어난 탈북민 자녀 가족관계 확인절차 간소화"

      19 한하림, "제3국 출신 탈북 아동의 한국어교육을 위한 기초 연구 - P학교 소속 탈북 아동과의 면담을 중심으로" 민족어문학회 (73) : 327-358, 2015

      20 김윤나, "제3국 출생 비보호 탈북청소년의 인권 지원 정책 및 서비스에 관한 연구" 한국 법과인권교육학회 7 (7): 21-39, 2014

      21 최경자,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와 무연고 탈북 청소년의 학교적응 실태"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2011

      22 김현경,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아동청소년)의 삶의 제한성으로부터 가능성 연계과정에 관한 연구: 북한출신 양육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여성학연구소 8 (8): 161-200, 2015

      23 김정림,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비보호 청소년)의 보호 및 지위개선을 위한 법적 방안: 북한이탈주민의보호및정착지원에관한법률 등의 검토" 11 : 127-161, 2012

      24 신현옥, "제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 기초조사 연구" 여성가족부·무지개청소년센터 2011

      25 피난처, "재중 탈북2세 아동의 인권실태와 보호방안 조사보고서. (국가인권위원회 2011 인권단체협력사업)" 피난처 2011

      26 윤영관, "외교의 시대 : 한반도의 길을 묻다" 미지북스 2015

      27 허수경, "비보호청소년의 현주소와 과제진단" 무지개청소년센터 2011

      28 이향규, "비보호청소년의 현주소와 과제 진단에 대한 의견" 무지개청소년센터 2011

      29 정재호, "비보호 북한이탈주민 적응실태 현황 및 정책제언" 북한인권정보센터 2015

      30 통일부,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실무편람" 통일부 2013

      31 이기영, "북한이탈여성의 ‘돌봄과 일’에 관한 연구 - 제3국출신 아동을 둔 여성의 경험을 중심으로 -" 사단법인 한국민족연구원 (60) : 4-23, 2014

      32 휴먼라이츠워치, "법적 신분과 교육의 기회로부터의 소외: 중국 연변 북한 여성의 아이들"

      33 서미옥, "메타분석 연구의 고찰과 연구방법론적인 제안" 한국교육학회 49 (49): 1-23, 2011

      34 이기영, "‘중국 출생 자녀’를 둔 한국 거주 북한이탈여성의 양육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 19 (19): 213-240, 2014

      35 Vacc, N. A., "A Content analysis of opinions about the national counselor examination" 71 (71): 418-421, 1993

      36 교육부, "2016년 탈북학생 교육지원 사업 계획 발표"

      37 남북하나재단, "2014 탈북청소년 실태조사" 남북하나재단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