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재일본 한국유학생 잡지를 연구하는 데 있다. 이 시기 잡지에 대한 연구는 일제 강점기라는 특수한 시대적 상황 아래 놓여있던 한국유학생들이 어떻게 현실을 인식하고 극...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42102
-
2017년
Korean
한국유학생 ; School Journal ; Literature Text ; Korea Literary history ; Modern and Contemporary ; Magazine ; Empirical data ; Cultural History ; Intellectual history ; Discourse ; Enlightenment ; Writers ; Reading ; Database ; Translations ; Genre ; Narrative Content ; Cultural con ; 일제 강점기 ; 잡지 ; 현실인식 ; 창간사 ; 발간사 ; <학우> ; <회보> ; (명치대학조선유학생동지회회보) ; <회지> ; (일본중앙Chuo대학우리동창회회지) ; <회보> ; (경도제국대학조선유학생동창회회보) ; <동창회회지> ; (조도전대학우리동창회회지) ; <친목회회보> ; <태극학보> ; <공수학보> ; <대한유학생회학보> ; <동인학보> ; <낙동친목회학보> ; <대한학회월보> ; <대한흥학보>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재일본 한국유학생 잡지를 연구하는 데 있다. 이 시기 잡지에 대한 연구는 일제 강점기라는 특수한 시대적 상황 아래 놓여있던 한국유학생들이 어떻게 현실을 인식하고 극...
본 연구의 목적은 재일본 한국유학생 잡지를 연구하는 데 있다. 이 시기 잡지에 대한 연구는 일제 강점기라는 특수한 시대적 상황 아래 놓여있던 한국유학생들이 어떻게 현실을 인식하고 극복하려 했는가에 대한 모색과 탐색의 결과물이라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갖는다.
또한 재일본 한국유학생 잡지에 대한 고찰은 당대 지식인의 변동과 사상계의 동향을 읽어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구의 문화와 예술을 받아들여 우리의 새로운 예술과 문화를 만들어나가고자 하는 한국유학생들의 실천 방향을 짐작할 수 있다는 점에서 더 큰 의의가 있다.
재일본 한국유학생 잡지 연구는 일제 강점기의 한국유학생들의 시대인식과 현실극복 의지 등 한국유학생들의 노력과 새로운 인식을 드러내는 모색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한국유학생들의 자기 확립과 시대인식, 그리고 당면 과제에 대한 문제 해결 의지와 근대적 인식 등이 그것이다.
특히 본 연구는 잡지의 ‘창간사’와 ‘발간사’를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된다. 창간사는 잡지 간행의 목적 및 의도, 방법을 드러내는 잡지 전체의 방향성을 가늠해 볼 수 있는데, 재일본 한국유학생의 사상과 시대적 인식을 응축해 놓은 자료라고 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he contemplation on the magazine of Korean students studying in Japan. The research on this magazine is significant in two ways. One is that this represents how Korean students studying tried to overcome the reality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he contemplation on the magazine of Korean students studying in Japan. The research on this magazine is significant in two ways.
One is that this represents how Korean students studying tried to overcome the reality under Japanese colonial era, which is peculiar external situation.
The other reason, which is more important, is that based on the contemplation on the study, we can figure out the change and the trend of intellects at that time as well as the direction of the practice that Korean students studying had done to create our new culture and arts with accepting foreign’s.
Based on this study, we can figure out the results of the endeavor and recognition which Korean students studying had done to overcome their reality. Those is self-establishment, awareness of time, willingness to solve the immediate problems and modern recognition, etc.
In particular, this study is focusing more on ‘publication’ of the magazine. With publication, we can measure the whole direction of the purpose or intention of issuing magazine. This is the compressed data which represents the Korean students’ ideology and awareness of the e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