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OPUS KCI등재

      어육장의 미생물학적 특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833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예로부터 전통 장류는 먹거리로 많이 이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장류의 다양한 영양 성분 및 생리 활성 능력이 밝혀지면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 방식으로 제조된 어육장의 발효에 관여하는 미생물을 숙성 기간별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안전성을 평가하였으며, 이와 함께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간장의 미생물을 분석하여 어육장의 미생물분석과 비교하였다. 어육장은 2개월 단위로 샘플링하여 분석하였으며, 분리된 미생물은 API kit와 16S rDNA sequencing을 이용하여 동정하였다. 어육장의 발효에 전반적으로 관여하는 미생물은 Bacillus 균류와 Saccharomyces cerevisiae였으며, 숙성 초기에는 Aspergillus flavus가 발효에 관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어육장은 최종적으로 섭취 전에 달이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실험결과 달인 후에는 미생물이 존재하지 않았다. 현재 국내에서 시판되고 간장의 경우 총 균수가 0-42 CFU/mL였고, 동정결과 B. subtilis, B. licheniformis, B. pumilus로 확인되었다. 분리된 Bacillus 균류에 대하여 독소여부를 분석한 결과 어육장 및 시판 장류에서 검출된 Bacillus 균류는 본 실험에서 분석된 3가지 설사형 독소와 1종의 구토형 독소를 생성하지 않는 균주들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번역하기

      예로부터 전통 장류는 먹거리로 많이 이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장류의 다양한 영양 성분 및 생리 활성 능력이 밝혀지면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 방식으로 제조된 어...

      예로부터 전통 장류는 먹거리로 많이 이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장류의 다양한 영양 성분 및 생리 활성 능력이 밝혀지면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 방식으로 제조된 어육장의 발효에 관여하는 미생물을 숙성 기간별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안전성을 평가하였으며, 이와 함께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간장의 미생물을 분석하여 어육장의 미생물분석과 비교하였다. 어육장은 2개월 단위로 샘플링하여 분석하였으며, 분리된 미생물은 API kit와 16S rDNA sequencing을 이용하여 동정하였다. 어육장의 발효에 전반적으로 관여하는 미생물은 Bacillus 균류와 Saccharomyces cerevisiae였으며, 숙성 초기에는 Aspergillus flavus가 발효에 관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어육장은 최종적으로 섭취 전에 달이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실험결과 달인 후에는 미생물이 존재하지 않았다. 현재 국내에서 시판되고 간장의 경우 총 균수가 0-42 CFU/mL였고, 동정결과 B. subtilis, B. licheniformis, B. pumilus로 확인되었다. 분리된 Bacillus 균류에 대하여 독소여부를 분석한 결과 어육장 및 시판 장류에서 검출된 Bacillus 균류는 본 실험에서 분석된 3가지 설사형 독소와 1종의 구토형 독소를 생성하지 않는 균주들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ermented soybean foods are an important component of the Korean diet. Eoyukjang is a type of traditional fermented soybean source. Microbial analysis of eoyukjang was conducted during the fermentation period in this study.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eoyukjang were identified by biochemical tests and 16S rDNA sequencing. 17 different microorganisms, including bacteria, yeast, and fungi were detected in eoyukjang during the fermentation period. Even though Aspergillus participated in the early stage of fermentation of eoyukjang, Bacillus species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were the major microzymes in eoyukjang throughout the maturation period. Eoyukjang is generally consumed after the boiling of the final sample. Therefore, the final sample of eoyukjang was boiled and analyzed. Our results showed that no vegetative microorganisms survived under the boiling conditions for eoyukjang. Fermented soybean products in the domestic market were also assessed for comparison with the results from eoyukjang. The total cell number of kanjang (soy sauce) samples was between 0 to 42 CFU/mL. The isolated microorganisms were identified as Bacillus species. All Bacillus isolates were not found to harbor the three enterotoxin-producing and emetic toxin-producing genes.
      번역하기

      Fermented soybean foods are an important component of the Korean diet. Eoyukjang is a type of traditional fermented soybean source. Microbial analysis of eoyukjang was conducted during the fermentation period in this study. Microorganisms isolated fro...

      Fermented soybean foods are an important component of the Korean diet. Eoyukjang is a type of traditional fermented soybean source. Microbial analysis of eoyukjang was conducted during the fermentation period in this study.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eoyukjang were identified by biochemical tests and 16S rDNA sequencing. 17 different microorganisms, including bacteria, yeast, and fungi were detected in eoyukjang during the fermentation period. Even though Aspergillus participated in the early stage of fermentation of eoyukjang, Bacillus species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were the major microzymes in eoyukjang throughout the maturation period. Eoyukjang is generally consumed after the boiling of the final sample. Therefore, the final sample of eoyukjang was boiled and analyzed. Our results showed that no vegetative microorganisms survived under the boiling conditions for eoyukjang. Fermented soybean products in the domestic market were also assessed for comparison with the results from eoyukjang. The total cell number of kanjang (soy sauce) samples was between 0 to 42 CFU/mL. The isolated microorganisms were identified as Bacillus species. All Bacillus isolates were not found to harbor the three enterotoxin-producing and emetic toxin-producing gen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규홍, "청국장 중 biogenic amine의 함량 및 생성원인" 한국식품과학회 39 (39): 541-545, 2007

      2 윤미경, "어육장의 휘발성 향기 성분 특성" 한국식품과학회 39 (39): 366-371, 2007

      3 From C, "Toxin-producing ability among Bacillus spp. outside the Bacillus cereus group" 71 : 1178-1183, 2005

      4 Agata N, "The nceT gene of Bacillus cereus encodes an enterotoxic protein" 141 : 983-988, 1995

      5 Lee TS, "Studies on the preservation of soy source" 7 : 200-207, 1975

      6 KFDA, "Notification No. 2008-6"

      7 Lee WJ, "Microbiological studies of Korean native soysauce fermentation" 14 : 137-148, 1971

      8 Jung KO, "Longer aging time increase the anticancer and antimetastic properties of Doenjang" 22 : 539-545, 2006

      9 Yoo SK,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microorganisms in korean traditional soybean paste and soybean sauce" 27 : 113-117, 1999

      10 Yong-Suk Kim,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Bacillus cereus from Fermented Red Pepper-Soybean Paste (Kochujang), and Its Heat Resistance Characteristics" 한국식품과학회 17 (17): 123-129, 2008

      1 한규홍, "청국장 중 biogenic amine의 함량 및 생성원인" 한국식품과학회 39 (39): 541-545, 2007

      2 윤미경, "어육장의 휘발성 향기 성분 특성" 한국식품과학회 39 (39): 366-371, 2007

      3 From C, "Toxin-producing ability among Bacillus spp. outside the Bacillus cereus group" 71 : 1178-1183, 2005

      4 Agata N, "The nceT gene of Bacillus cereus encodes an enterotoxic protein" 141 : 983-988, 1995

      5 Lee TS, "Studies on the preservation of soy source" 7 : 200-207, 1975

      6 KFDA, "Notification No. 2008-6"

      7 Lee WJ, "Microbiological studies of Korean native soysauce fermentation" 14 : 137-148, 1971

      8 Jung KO, "Longer aging time increase the anticancer and antimetastic properties of Doenjang" 22 : 539-545, 2006

      9 Yoo SK,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microorganisms in korean traditional soybean paste and soybean sauce" 27 : 113-117, 1999

      10 Yong-Suk Kim,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Bacillus cereus from Fermented Red Pepper-Soybean Paste (Kochujang), and Its Heat Resistance Characteristics" 한국식품과학회 17 (17): 123-129, 2008

      11 CHIN, HWA SUP, "Identifications of Predominant Bacterial Isolates from the Fermenting Kimchi Using ITS-PCR and Partial 16S rDNA Sequence Analyses"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16 (16): 68-76, 2006

      12 Byun MO,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osmotolerant yeast isolated from soy paste" 27 : 181-186, 1999

      13 Lund BM, "Food-borne disease due to Bacillus and Clostridium species" 982-986, 1990

      14 Jang JH,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functional effects of Chungkuk-jang using Bacillus spp. isolated during fermentation" Korea University 2004

      15 Kim DH, "Enhancement of preservation characteristics of Meju, an intermediate material for Koran legume-based fermented soy sauce, Kanjang, by irradiation" 64 : 317-322, 2002

      16 Burgess G, "Development of improved molecular detection methods for Bacillus Cereus Toxins" RIRDC, Australian Government 2006

      17 Juneja VK, "Control of foodborne microorganisms" rcel Dekker 2002

      18 Cheighm HS, "Antioxidative characteristics of melanoidin related products fractionated from fermented soybean sauce" 22 : 570-575, 1993

      19 Mantynen V, "A rapid PCR-based DNA test for enterotoxic Bacillus cereus" 64 : 1634-1639, 1998

      20 Lund T, "A new cytotoxin from Bacillus cereus that may cause necrotic enteritis" 38 : 254-261, 2000

      21 Garbutt J, ". Essential of food microbiology" Hodder Arnold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0-11-23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1.08 2.013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