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신라 박씨왕 시대의 왕실 세력과 신분 편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3149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신라 건국 초기에는 시조 朴赫居世를 포함해 박씨 성을 가진 7명의 왕이 존재하였다. 초기 기사를 불신하는 연구자들은 박씨 왕족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기도 한다. 그러나 『국사』를 편찬...

      신라 건국 초기에는 시조 朴赫居世를 포함해 박씨 성을 가진 7명의 왕이 존재하였다. 초기 기사를 불신하는 연구자들은 박씨 왕족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기도 한다. 그러나 『국사』를 편찬케 했던 眞興王이 김씨였음에도 불구하고, 시조 혁거세가 박씨였고 건국 초기 총 7명의 박씨 왕들이 재위하였다는 행적이 고려시대까지 전승되었다. 이는 후대 김씨 왕족과 구별되는 혈통을 가진 시조와 후예 왕들이 실재하였고 이러한 사실을 신라인들이 분명히 전승시켰던 결과였다.
      박혁거세는 육촌민의 추대로 즉위하여 왕권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에 독자 세력이 미약하였다. 이에 2대왕 南解는 선진 철제기술을 지닌 석씨 집단과 혼인하여, 육촌의 영향력을 희석시키며 독자 세력 확장을 도모했다. 또 3대왕 儒理는 왕비의 아버지를 葛文王으로 책봉해 왕비 가계의 권위를 증대시켰다.
      4대 왕으로 석씨 왕족의 시조 脫解가 즉위하였다. 탈해 역시 독자세력의 확보를 위해 새로 유입된 김씨 집단과 결탁하였다. 5대왕인 유리왕의 2자 婆娑는 김씨 史省부인과 혼인해 석씨 왕족과 김씨 집단의 밀착을 약화시키며 김씨에 대한 왕실 영향력을 확산시켰다. 파사왕의 적자인 6대왕 祗麽도 김씨 愛禮부인과 혼인하고 그녀의 아버지 마제를 갈문왕으로 책봉하였다. 파사왕과 지마왕은 김씨 집단과 거듭된 혼인을 통해 지지세력의 확산과 왕실 권위를 고양시켰다. 반면 유리왕의 장자 逸聖이 7대 왕으로 박씨 □禮부인과 혼인했고, 그의 장자 阿達羅가 8대 왕으로 박씨 內禮부인과 혼인하였다. 일성왕과 아달라왕은 족내혼을 통해 박씨 왕족 자체의 응집력을 강화하였다.
      이러한 박씨왕 재위기 斯盧國의 신분 편성을 보자. 우선 혁거세의 박씨 왕족과 남해왕의 사위로 왕위에 오른 석탈해와 그 일족 그리고 박씨 왕과 거듭 혼인 관계를 맺으며 갈문왕에 책봉된 김씨 가계 등이 왕실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상층 지배집단으로 박씨 왕족의 방계 혈족 그리고 혁거세를 추대해 사로국을 건국하는데 큰 영향력을 행사한 육촌장과 그 일족 및 누대에 걸쳐 왕의 측근으로 요직을 수행한 瓠公일가와 같은 인물이 위치하였다. 그리고 명확한 계층 분화가 확인되지 않지만, 육촌장의 방계 후손이나 각 촌에 소속된 마을의 장 등이 중하위 계층으로써 일반민과 구별되는 신분층으로 존재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early days of Silla, There were seven kings whose name was Park including the founder of dynasty Hyeoggeose(赫居世). Some researchers deny the presence of Park king. Even though king Jinheung(眞興王) who compiled ‘Gugsa(國史)’ was K...

      In the early days of Silla, There were seven kings whose name was Park including the founder of dynasty Hyeoggeose(赫居世). Some researchers deny the presence of Park king. Even though king Jinheung(眞興王) who compiled ‘Gugsa(國史)’ was Kim, the act of 7 king’s region was Handed down to the Goryeo Dynasty. This means that there was fathers and kings who distinct with Kim king and This is result of Silla people’s spread.
      As you can see from six village people recommendation of Parkhyeoggeose’s power was weak. Second king Namhae(南解王) weakend six village people’s influence by make son in row with Seogtalhae(昔脫解) who had advanced iron skill.
      Third king Yuri(儒理王) made queen’s father Galmoonwang(葛文王) to made queen family powerful. Fourth king was Seog founder Talhae. Talhae also conspired with Kim’s group to made more powers. The second son of Yuri and fifth king Pasa(婆娑王) married with Kim sasoung(史省) the Seok king and Kim group was weakend so the Kim could have more powers. The sixth king Zima(祗麽王) of Pasa son also married with Kim aere(愛禮) and made her father Galmoonwang. Pasa and Zima could power up supportive force and royal authority. But Yuri son Ilsung(逸聖) seventh king married with Park □rae(□禮) and his son Adalla(阿達羅) eighth king married with Park naerae(內禮). Ilsung king and Adala king reinforced cohesion by family wedding.
      As you can see from the Park king times Saroguk(斯盧國) identity formation. Park family and Seoktalhae’s family and Kim family Constituted a royal family. And There was dominant group which was six village headman and Hogong(瓠公) family. There is no clear stratification but there was six village headman’s descendent and village leader who was low level than public.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박씨 왕실의 실재성
      • Ⅲ. 박씨 왕실의 혼인을 통한 세력 확장
      • Ⅳ. 박씨왕 시대의 신분 편성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박씨 왕실의 실재성
      • Ⅲ. 박씨 왕실의 혼인을 통한 세력 확장
      • Ⅳ. 박씨왕 시대의 신분 편성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