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학도서관 주제화 유형 = The Types of Subject Divisinal Plan for University Librar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54916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정보환경과 이용자 요구의 변화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방법의 하나로 도입된 주제화는 점차 다양한 형태로 대학도서관에 정착되어 가고 있다. 주제화의 유형을 분석한 결과 장서배치에 따라서는 단일건물형과 공간구분형으로, 조직 구조에 따라서는 일체형, 혼합형, 그리고 팀제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대학도서관의 주제화는 점차 대학 규모의 거대화와 도서관 장서의 증가, 그리고 중앙도서관의 서비스 전문화 노력, 사서의 전문성 확보의 필요성, 그리고 이용자들의 전문화, 주제화된 서비스요구에 따라 점차 주제도서관 형태로 변화되어 갈 것으로 예상된다.
      번역하기

      정보환경과 이용자 요구의 변화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방법의 하나로 도입된 주제화는 점차 다양한 형태로 대학도서관에 정착되어 가고 있다. 주제화의 유형을 분석한 결과 장서배치에 따라...

      정보환경과 이용자 요구의 변화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방법의 하나로 도입된 주제화는 점차 다양한 형태로 대학도서관에 정착되어 가고 있다. 주제화의 유형을 분석한 결과 장서배치에 따라서는 단일건물형과 공간구분형으로, 조직 구조에 따라서는 일체형, 혼합형, 그리고 팀제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대학도서관의 주제화는 점차 대학 규모의 거대화와 도서관 장서의 증가, 그리고 중앙도서관의 서비스 전문화 노력, 사서의 전문성 확보의 필요성, 그리고 이용자들의 전문화, 주제화된 서비스요구에 따라 점차 주제도서관 형태로 변화되어 갈 것으로 예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ubject Divisional Plan which was brought in as a solution for changing information circumstances and users' needs is gradually getting settled in the university libraries in various forms, The type of Subject Divisional Plan can be classified by the arrangement of collections and the organization structure. By the arrangement of collections, it can be divided into a form of single building and a form of space division. By the organization structure, it can be categorized into a form of one body, mixture, and team. Ultimately, step by step, a form of Subject Divisional plan is expected to change into the form of Subject Library. This change will result from the followings: First, a tendency to the universities' getting on a gigantic scale and the increase of library collections. Second, the central libraries' effort for service specialization and the need for securing the speciality of librarians. Third, users' demand for specialized and subject-divided service.
      번역하기

      Subject Divisional Plan which was brought in as a solution for changing information circumstances and users' needs is gradually getting settled in the university libraries in various forms, The type of Subject Divisional Plan can be classified by the ...

      Subject Divisional Plan which was brought in as a solution for changing information circumstances and users' needs is gradually getting settled in the university libraries in various forms, The type of Subject Divisional Plan can be classified by the arrangement of collections and the organization structure. By the arrangement of collections, it can be divided into a form of single building and a form of space division. By the organization structure, it can be categorized into a form of one body, mixture, and team. Ultimately, step by step, a form of Subject Divisional plan is expected to change into the form of Subject Library. This change will result from the followings: First, a tendency to the universities' getting on a gigantic scale and the increase of library collections. Second, the central libraries' effort for service specialization and the need for securing the speciality of librarians. Third, users' demand for specialized and subject-divided servi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1. 서론
      • 2. 대학도서관의 주제화 적용현황
      • 3. 장서배치에 따른 주제화 구분
      • 3.1 단일건물형
      • 목차
      • 1. 서론
      • 2. 대학도서관의 주제화 적용현황
      • 3. 장서배치에 따른 주제화 구분
      • 3.1 단일건물형
      • 3.2 공간구분형
      • 4. 조직구조에 따른 주제화 구분
      • 4.1 일체형
      • 4.2 혼합형
      • 4.3 팀제형
      • 5. 대학도서관 주제화 방향
      • 6.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