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제상사중재에서 중재합의와 訴訟留止命令 = Arbitration Agreement and Anti-suit Injunction in International Commercial Arbitr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1310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article the author deals with whether a court can issue an anti-suit injunction restraining a party to an arbitration agreement from pursuing a lawsuit in a foreign country in violation of the arbitration agreement. The concept of anti-suit injunction as such is not familiar to Korean lawyers. However, in practice, English courts and the courts of the United States often issue anti-suit injunctions. This article consists of six chapters. In Chapter II the author offers an overview of the anti-suit inunction by court under English law. In Chapter III the author discusses the issue of whether the English anti-suit injunction is compatible with the Brussels regime and briefly explains the recent judgments of the European Court of Justice, namely the judgments of Turner v. Grovit of April 27, 2004 and Allianz v. West Tankers of February 10, 2009. In addition, the author deals with whether the arbitral tribunal can also issue an anti-suit inunction under English law, and the compensation of damage resulting from breach of an arbitration agreement under English law. Finally, the author discusses the issues from the Korean law perspectives whether the Korean court of arbitral tribunal can issue an anti-suit injunction based upon an arbitration agreement restraining the other party from pursuing a lawsuit in a foreign country. The author stresses that the issue of whether Korean courts can issue an anti-suit injunction based upon an arbitration agreement is closely related to the doctrine of forum non conveniens, treatment of parallel proceedings and the concept and legal nature of so called 'contract of procedure' (Prozessvertrag under German law) and the role of courts in dispute settlement. The author urges other Korean experts to pay more attention to anti-suit injunction in the future.
      번역하기

      In this article the author deals with whether a court can issue an anti-suit injunction restraining a party to an arbitration agreement from pursuing a lawsuit in a foreign country in violation of the arbitration agreement. The concept of anti-suit in...

      In this article the author deals with whether a court can issue an anti-suit injunction restraining a party to an arbitration agreement from pursuing a lawsuit in a foreign country in violation of the arbitration agreement. The concept of anti-suit injunction as such is not familiar to Korean lawyers. However, in practice, English courts and the courts of the United States often issue anti-suit injunctions. This article consists of six chapters. In Chapter II the author offers an overview of the anti-suit inunction by court under English law. In Chapter III the author discusses the issue of whether the English anti-suit injunction is compatible with the Brussels regime and briefly explains the recent judgments of the European Court of Justice, namely the judgments of Turner v. Grovit of April 27, 2004 and Allianz v. West Tankers of February 10, 2009. In addition, the author deals with whether the arbitral tribunal can also issue an anti-suit inunction under English law, and the compensation of damage resulting from breach of an arbitration agreement under English law. Finally, the author discusses the issues from the Korean law perspectives whether the Korean court of arbitral tribunal can issue an anti-suit injunction based upon an arbitration agreement restraining the other party from pursuing a lawsuit in a foreign country. The author stresses that the issue of whether Korean courts can issue an anti-suit injunction based upon an arbitration agreement is closely related to the doctrine of forum non conveniens, treatment of parallel proceedings and the concept and legal nature of so called 'contract of procedure' (Prozessvertrag under German law) and the role of courts in dispute settlement. The author urges other Korean experts to pay more attention to anti-suit injunction in the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에서는 중재합의의 일방당사자가 중재합의에 위반하여 외국에 제소할 가능성이 있거나 실제로 제소한 경우 법원, 특히 중재지 법원이 상대방의 신청에 따라 중재합의에 반하는 소의 제기 및 수행을 금지하는 '訴訟留止命令'(anti-suit injunction)을 발할 수 있는 가를 다룬다. 한국 법률가에게는 소송유지명령이라는 개념 자체가 생소하지만, 실제로 영미법계 국가의 법원은 소송유지명령을 발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영국법상 법원의 소송 유지명령제도를 소개하고(II), 소송유지명령이 브뤼셀체제(Brussels Regime)와 양립할 수 있는지에 관한 최근 유럽사법재판소 판결, 즉 2004년 4월 27일 Turner v. Grovit 사건 판결과 2009년 2월 10일 Allianz v. West Tankers 사건을 소개한 뒤(III), 영국법상 중재판정부의 소송유지명령의 가부와, 중재합의 위반과 손해배상의 문제를 일별한다(IV). 마지막으로 한국법상 법원과 중재판정부가 중재합의를 기초로 소송유지명령을 발할 수 있는지와, 중재합의의 위반과 손해배상의 문제를 간단히 논의한다(V). 소송유지명령은 국제재판관할, 부적절한 법정지의 법리와 국제적 소송경합의 처리, 소송행위의 개념과 분쟁해결에서의 법원의 역할에 관한 한국법의 태도와 관련된 쟁점이다. 앞으로 우리나라에서도 소송유지 명령과 관련한 논의가 좀 더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번역하기

      이 글에서는 중재합의의 일방당사자가 중재합의에 위반하여 외국에 제소할 가능성이 있거나 실제로 제소한 경우 법원, 특히 중재지 법원이 상대방의 신청에 따라 중재합의에 반하는 소의 ...

      이 글에서는 중재합의의 일방당사자가 중재합의에 위반하여 외국에 제소할 가능성이 있거나 실제로 제소한 경우 법원, 특히 중재지 법원이 상대방의 신청에 따라 중재합의에 반하는 소의 제기 및 수행을 금지하는 '訴訟留止命令'(anti-suit injunction)을 발할 수 있는 가를 다룬다. 한국 법률가에게는 소송유지명령이라는 개념 자체가 생소하지만, 실제로 영미법계 국가의 법원은 소송유지명령을 발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영국법상 법원의 소송 유지명령제도를 소개하고(II), 소송유지명령이 브뤼셀체제(Brussels Regime)와 양립할 수 있는지에 관한 최근 유럽사법재판소 판결, 즉 2004년 4월 27일 Turner v. Grovit 사건 판결과 2009년 2월 10일 Allianz v. West Tankers 사건을 소개한 뒤(III), 영국법상 중재판정부의 소송유지명령의 가부와, 중재합의 위반과 손해배상의 문제를 일별한다(IV). 마지막으로 한국법상 법원과 중재판정부가 중재합의를 기초로 소송유지명령을 발할 수 있는지와, 중재합의의 위반과 손해배상의 문제를 간단히 논의한다(V). 소송유지명령은 국제재판관할, 부적절한 법정지의 법리와 국제적 소송경합의 처리, 소송행위의 개념과 분쟁해결에서의 법원의 역할에 관한 한국법의 태도와 관련된 쟁점이다. 앞으로 우리나라에서도 소송유지 명령과 관련한 논의가 좀 더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1. 문제의 소재
      • 2. 국제소송경합, 부적절한 법정지의 법리와 소송유지명령
      • 3. 논의의 방향
      • Ⅱ. 영국법상 법원의 소송유지명령
      • Ⅰ. 머리말
      • 1. 문제의 소재
      • 2. 국제소송경합, 부적절한 법정지의 법리와 소송유지명령
      • 3. 논의의 방향
      • Ⅱ. 영국법상 법원의 소송유지명령
      • 1. 소송유지명령의 요건
      • 2. 소송유지명령의 효과
      • Ⅲ. 브뤼셀체제와 소송유지명령의 관계
      • 1. 브뤼셀체제
      • 2. Turner v. Grovit 사건 판결 : 국제재판관할의 맥락
      • 3. Allianz v. West Tankers 사건 판결 : 중재합의의 맥락
      • Ⅳ. 영국법상의 기타 논점
      • 1. 중재판정부의 소송유지명령
      • 2. 중재합의 위반과 손해배상
      • Ⅴ. 한국법상 소송유지명령에 관한 試論
      • 1. 법원의 소송유지명령 - 특히 보전처분으로서
      • 2. 중재판정부의 소송유지명령
      • 3. 중재합의 위반과 손해배상
      • 4. 영국법원의 소송중지명령에 대한 대응
      • Ⅵ. 맺음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창석, "파산절차에 있어서의 중재합의의 효력과 중재절차" 한국중재학회 15 (15): 113-146, 2005

      2 노태악, "최근 UNCITRAL 모델 仲裁法의 개정논의 결과와 國內法에의 示唆―仲 裁合意의 書面性과 仲裁判定部의 臨時的 處分을 중심으로. in: 국제규범의 현황과 전망- 2006년 국제규범연구반 연구보고" 법원행정처 2006

      3 손경한, "중재합의. in: 사법연구 1: 계약법의 특수문제" 삼영사 1983

      4 김홍규, "중재법원(중재판정부)의 자기의 관할권을 판정하는 권한" 대한 상사중재원 (298) : 2000

      5 김상원, "주석 민사집행법(Ⅵ)" 한국사법행정학회 2004

      6 이시윤, "신민사집행법" 박영사 2004

      7 목영준, "상사중재법론" 박영사 2000

      8 "법원실무제요 민사집행[Ⅳ] - 보전처분 -" 법원행정처 2003

      9 정해덕, "미국해사소송에 있어서의 대한민국법상의 소멸시효와 소송중지명령 ― 선박 MSC Carla 침몰 사건에 관한 미국판결을 중심으로 ―" 한국해법학회 31 (31): 57-88, 2009

      10 김동진, "국제재판관할의 경합에 있어 영미법상의 소송금지명령(Anti Suit Injunction)에 대한 검토" 해상·보험연구회 (4) : 2004

      1 오창석, "파산절차에 있어서의 중재합의의 효력과 중재절차" 한국중재학회 15 (15): 113-146, 2005

      2 노태악, "최근 UNCITRAL 모델 仲裁法의 개정논의 결과와 國內法에의 示唆―仲 裁合意의 書面性과 仲裁判定部의 臨時的 處分을 중심으로. in: 국제규범의 현황과 전망- 2006년 국제규범연구반 연구보고" 법원행정처 2006

      3 손경한, "중재합의. in: 사법연구 1: 계약법의 특수문제" 삼영사 1983

      4 김홍규, "중재법원(중재판정부)의 자기의 관할권을 판정하는 권한" 대한 상사중재원 (298) : 2000

      5 김상원, "주석 민사집행법(Ⅵ)" 한국사법행정학회 2004

      6 이시윤, "신민사집행법" 박영사 2004

      7 목영준, "상사중재법론" 박영사 2000

      8 "법원실무제요 민사집행[Ⅳ] - 보전처분 -" 법원행정처 2003

      9 정해덕, "미국해사소송에 있어서의 대한민국법상의 소멸시효와 소송중지명령 ― 선박 MSC Carla 침몰 사건에 관한 미국판결을 중심으로 ―" 한국해법학회 31 (31): 57-88, 2009

      10 김동진, "국제재판관할의 경합에 있어 영미법상의 소송금지명령(Anti Suit Injunction)에 대한 검토" 해상·보험연구회 (4) : 2004

      11 석광현, "국제사법과 국제소송 제4권" 박영사 2007

      12 석광현, "국제사법과 국제소송 제3권" 박영사 2007

      13 석광현, "국제사법과 국제소송 제2권" 박영사 2001

      14 석광현, "국제사법과 국제소송 제1권" 박영사 2001

      15 한충수, "국제보전소송의 재판관할권 - 직접관할을 중심으로 -" (4) : 1999

      16 석광현, "개정루가노협약에 따른 계약사건의 국제재판관할" 법학연구소 49 (49): 413-454, 2008

      17 이호정, "英國에 있어서의 forum non conveniens를 理由로 하는 訴訟의 停止" 서울대학교 36 (36): 1995

      18 古田啓昌, "國際訴訟競合" 信山社出版 1997

      19 석광현, "國際裁判管轄에 관한 硏究 - 民事 및 商事事件에서의 國際裁判管轄의 基礎理論과 一般管轄을 중심으로 -" 서울대출판부 2001

      20 김용진, "國際民事訴訟戰略 - 國際訴訟實務 가이드 -" 신영사 1997

      21 유영일, "國際民事司法共助에 관한 硏究"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5

      22 Musielak, Hans-Joachim, "Zivilprozessordnung, 4. Auflage" Verlag Franz Vahlen 2005

      23 Vollmer, Andrew N., "U.S. Federal Court Use of the Antisuit Injunction to Control International Forum Selection" 1997

      24 Collins, Lawrence, "The Institut de droit international and anti-suit injunction. in: Festschrift für Erik Jayme Band Ⅰ" Sellier, Europen Law Publishers 2004

      25 Trevor C. Hartley, "The European Union and the Systematic Dismantling of the Common Law of Conflict of Laws" 54 : 2005

      26 Hess, Burkhard, "The Brussels I Regulation 44/2001: The Heidelberg Report on the Application of Regulation Brussels I in 25 Member States (Study Jls/C4/2005/03)" C.H. Beck 2008

      27 Raphael, Thomas, "The Anti-suit injun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28 Schwab, Karl Heinz, "Schiedsgerichtsbarkeit 7. Auflage" C.H. Beck 2005

      29 Schütze, Rolf A., "Schiedsgericht und Schiedverfahren 3. Auflage" C.H. Beck 1999

      30 Schröder, Jochen, "Right not to be Sued Abroad" 75 : 1987

      31 Blackaby, "Nigel and Partasides, Constantine with Redfern, Alan and Hunter, Martin, Redfern and Hunter on International Arbitration, Fifth Ed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32 Schlosser, Peter, "Justizkonflikt zwischen USA und Europa" De Gruyter Recht 1985

      33 Mankowski, Peter, "Ist eine vertragliche Absicherung von Gerichtsstandsvereinbarungen möglich?" 2009

      34 Schack, Haimo, "Internationales Zivilverfahrensrecht 4. Auflage" C.H. Beck 2006

      35 Geimer, Reinhold, "Internationales Zivilprozeßrecht 6. Auflage" Verlag Dr. Otto Schmidt 2009

      36 Nagel, Heinrich, "Internationales Zivilprozessrecht, 6. Auflage" Verlag Dr. Otto Schmidt 2007

      37 Hill, Jonathan, "International Commercial Disputes in English Courts" Hart Publishing 2005

      38 Born, Gary B., "International Civil Litigation in United States Courts" Aspen Publishers 2006

      39 Kropholler, Jan, "Handbuch des Internationalen Zivilverfahrensrecht Band Ⅰ, Kapitel Ⅲ Internationale Zuständigkeit" Mohr Siebeck 1982

      40 Naumann, Ingrid, "Englische anti-suit injunctions zur Durchsetzung von Schiedsvereinbarungen" Mohr Siebeck 2008

      41 Heinze, Christian A., "Enforcement of Arbitration Agreements by Anti-suit Injunctions in Europe - From Turner to West Tankers. in: Yearbook of Private International Law Vol. Ⅸ 2007" Sellier 2008

      42 Schütze, Rolf A., "Deutsches Internationales Zivilprozessrecht unter Einschluss des Europäischen Zivilprozessrechts, 2. Auflage" De Gruyter Recht 2005

      43 Takahashi, Koji, "Damages for Breach of Choice of Court Agreements. in: 2008 Yearbook of Private Int’l Law Vol. Ⅹ" Sellier 2009

      44 Fawcett, James, "Cheshire, North & Fawcett Private International Law, Fourteenth Ed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45 Lenenbach, Markus, "Antisuit Injunctions in England, Germany and the United States: Their Treatment under European Civil Procedure and the Hague Convention" Loyola University 20 : 257-, 1998

      46 Schlosser, Peter, "Anti-suit injunctions zur Unterstützung von internationalen Schiedsverfahren" 2006

      47 Illmer, Martin, "Anti-suit injunctions zur Durchsetzung von Schiedsvereinbarungen in Europa - der letzte Vorhang ist gefallen -" 2009

      48 Gross, Sir Peter, "Anti-suit injunctions and arbitration. in: Lloyd's Maritime and Commercial Law Quarterly" 2005

      49 Briggs, Adrian, "Agreements on Jurisdiction and Choice of Law"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50 Holtzmann, Howard M., "A Guide To The UNCITRAL Model Law On International Commercial Arbitration: Legislative History and Commentary" Kluwer Law and Taxation Publishers 198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8-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인터넷법률 -> 선진상사법률연구
      외국어명 : Internet Law Journal -> Advanced Commercial Law Review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9 0.89 0.8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 0.98 0.862 0.8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