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題畵詩를 통해 본 朴齊家와 杜甫의 관련 연구 = The connections between Pak Jega(朴齊家)'s and Du Fu(杜甫)'s poems on paintings(題畵詩)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855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수준이 높은 두보만을 배우는 자가 가장 졸렬하다고 발언한 초정이 두보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에 대하여 양인의 題畵詩를 통해 살펴보았다. 결과 적지 않은 부분에서 양자의 유사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우선 兩人은 제화시 작품의 수가 같은 시기의 타인에 비해 훨씬 많고, 이와 관련하여 그 제재가 다양함을 볼 수 있었다. 다음은 양인의 제화시 모두 記實의 효과를 거두고 있어 주목된다. 같은 시기의 畵家 내지 창작과정 및 交遊상황을 시로 드러냈으므로 史料 내지 逸話의 가치로서도 의미가 있다. 그 다음은 양인 모두 제화시에서 畵論을 펼쳤을 뿐만 아니라 形神의 兼全이나 意匠을 중시하는 등 화론의 경향도 유사함을 발견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양인의 유사한 작품을 선하여 비교하였다. 두 ‘圖歌’의 비교를 통해 작화 과정이나 그림을 완성한 후의 효과에 대한 묘사가 비슷했다. ‘八仙歌’와 ‘圖序’의 비교는 주로 양자의 관련성에 주목했다. 초정은 이백을 중심으로 팔선의 특징을 묘사한 두보의 작품을 정확하게 평가했고 酒仙의 특징을 술만이 아니라 이들의 초출한 인격과 연관시켰다.
      이상 양인의 제화시 비교를 통해 초정은 두보 및 그의 시를 충분히 파악했고 두보 시의 眞髓 내지 화론의 核을 터득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로서 초정이 두보의 시를 많이 접했고 적지 않게 수용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끊임없이 문예를 탐구하고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초정의 활발한 사고방식의 소산으로 사료된다.
      번역하기

      본고는 수준이 높은 두보만을 배우는 자가 가장 졸렬하다고 발언한 초정이 두보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에 대하여 양인의 題畵詩를 통해 살펴보았다. 결과 적지 않은 부분에서 양자의 유사점...

      본고는 수준이 높은 두보만을 배우는 자가 가장 졸렬하다고 발언한 초정이 두보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에 대하여 양인의 題畵詩를 통해 살펴보았다. 결과 적지 않은 부분에서 양자의 유사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우선 兩人은 제화시 작품의 수가 같은 시기의 타인에 비해 훨씬 많고, 이와 관련하여 그 제재가 다양함을 볼 수 있었다. 다음은 양인의 제화시 모두 記實의 효과를 거두고 있어 주목된다. 같은 시기의 畵家 내지 창작과정 및 交遊상황을 시로 드러냈으므로 史料 내지 逸話의 가치로서도 의미가 있다. 그 다음은 양인 모두 제화시에서 畵論을 펼쳤을 뿐만 아니라 形神의 兼全이나 意匠을 중시하는 등 화론의 경향도 유사함을 발견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양인의 유사한 작품을 선하여 비교하였다. 두 ‘圖歌’의 비교를 통해 작화 과정이나 그림을 완성한 후의 효과에 대한 묘사가 비슷했다. ‘八仙歌’와 ‘圖序’의 비교는 주로 양자의 관련성에 주목했다. 초정은 이백을 중심으로 팔선의 특징을 묘사한 두보의 작품을 정확하게 평가했고 酒仙의 특징을 술만이 아니라 이들의 초출한 인격과 연관시켰다.
      이상 양인의 제화시 비교를 통해 초정은 두보 및 그의 시를 충분히 파악했고 두보 시의 眞髓 내지 화론의 核을 터득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로서 초정이 두보의 시를 많이 접했고 적지 않게 수용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끊임없이 문예를 탐구하고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초정의 활발한 사고방식의 소산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Chojeng(초정) had said that the man who only learns from Du Fu who has high level on creative writing is the most unskillful man. This paper has tried to study the connections between Chojeng and Du Fu by the comparisons of their poems on paintings.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re are many points in common.
      First of all, both of them have much more poems on paintings than others at the same period and the poems have various subjects. Secondly, both of their poems have attracted the attention by the effect of non-fiction. Then, we also found that they both not only inscribed the theory of paintings in their poems on paintings, but also had the similarity on paying attention to goodness at both form and spirit, as well as drafting. Lastly, comparing Chojeng's "Lyric of Pine, stone, cloud, dragon painting(松石雲龍圖歌)" with Du Fu's "Lyric of Weiyan's double pine painting(戱爲韋偃雙松圖歌)", we found that their descriptions on drawing process or on the effect after finishing the painting are similar. Also comparing Du Fu's "Lyric of the drinking eight immortals(飮中八仙歌)" with Chojeng's "Preface of the drinking eight immortals painting(飮中八仙圖序)", we made a conclusion that Chojeng had evaluated Du Fu's poetries accurately and he connected winebibber's feature not only with the wine, but also with the Eight immortal's personalities.
      Judging from the above comparisons, it is obvious that Chojeng has had a good grasp of Du Fu's poetries' essence and the heart of the theory of paintings. At the same time, it is the embodiment of Chojeng's active way of thinking because of his constant inquiry into the literature and the arts and his pursuit of new things.
      번역하기

      Chojeng(초정) had said that the man who only learns from Du Fu who has high level on creative writing is the most unskillful man. This paper has tried to study the connections between Chojeng and Du Fu by the comparisons of their poems on paintings...

      Chojeng(초정) had said that the man who only learns from Du Fu who has high level on creative writing is the most unskillful man. This paper has tried to study the connections between Chojeng and Du Fu by the comparisons of their poems on paintings.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re are many points in common.
      First of all, both of them have much more poems on paintings than others at the same period and the poems have various subjects. Secondly, both of their poems have attracted the attention by the effect of non-fiction. Then, we also found that they both not only inscribed the theory of paintings in their poems on paintings, but also had the similarity on paying attention to goodness at both form and spirit, as well as drafting. Lastly, comparing Chojeng's "Lyric of Pine, stone, cloud, dragon painting(松石雲龍圖歌)" with Du Fu's "Lyric of Weiyan's double pine painting(戱爲韋偃雙松圖歌)", we found that their descriptions on drawing process or on the effect after finishing the painting are similar. Also comparing Du Fu's "Lyric of the drinking eight immortals(飮中八仙歌)" with Chojeng's "Preface of the drinking eight immortals painting(飮中八仙圖序)", we made a conclusion that Chojeng had evaluated Du Fu's poetries accurately and he connected winebibber's feature not only with the wine, but also with the Eight immortal's personalities.
      Judging from the above comparisons, it is obvious that Chojeng has had a good grasp of Du Fu's poetries' essence and the heart of the theory of paintings. At the same time, it is the embodiment of Chojeng's active way of thinking because of his constant inquiry into the literature and the arts and his pursuit of new thing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일남, "초정 박제가의 題畵詩 연구-제재의 확대와 意境창조를 중심으로-" 퇴계연구소 1 (1): 235-258, 2004

      2 정일남, "초정 박제가 문학연구" 지식산업사 2004

      3 박현규, "조선 朴齊家・柳得恭과 청 화가 羅聘의 畵緣" 한국학연구원 (50) : 69-96, 2013

      4 "인터넷"

      5 박제가, "貞蕤閣集(상중하)" 돌베개 2010

      6 王秀春, "論杜甫的題畫詩對後代題畫詩及文人畫的影響" (4) : 2002

      7 談雲雷, "談杜甫的論畫詩" 16 (16): 2003

      8 "舊唐書"

      9 楊 力, "略論杜甫題畫詩的繪畫美學思想" (2) : 1997

      10 張天健, "獨特奇篇—杜甫<飲中八仙歌>試論" (1) : 1995

      1 정일남, "초정 박제가의 題畵詩 연구-제재의 확대와 意境창조를 중심으로-" 퇴계연구소 1 (1): 235-258, 2004

      2 정일남, "초정 박제가 문학연구" 지식산업사 2004

      3 박현규, "조선 朴齊家・柳得恭과 청 화가 羅聘의 畵緣" 한국학연구원 (50) : 69-96, 2013

      4 "인터넷"

      5 박제가, "貞蕤閣集(상중하)" 돌베개 2010

      6 王秀春, "論杜甫的題畫詩對後代題畫詩及文人畫的影響" (4) : 2002

      7 談雲雷, "談杜甫的論畫詩" 16 (16): 2003

      8 "舊唐書"

      9 楊 力, "略論杜甫題畫詩的繪畫美學思想" (2) : 1997

      10 張天健, "獨特奇篇—杜甫<飲中八仙歌>試論" (1) : 1995

      11 박제가, "楚亭全書(上中下)" 아시아문화사 1992

      12 김순애, "楚亭 朴齊家의 繪畵觀" 전남대 1997

      13 楊學是, "杜甫題畫詩芻論" 21 (21): 2002

      14 周瑾, "杜甫題畫詩的法與意" (4) : 1996

      15 楊學是, "李白題畫詩管窺—兼與杜甫題山水畫詩之比較" 2 (2): 2002

      16 전주희, "朴齊家의 繪畵와 題畵詩에 나타난 ‘際’와 ‘感通’의 미학 -작품의 상호텍스트성과 결속성을 중심으로 하여-" 한국어문교육연구회 40 (40): 367-395, 2012

      17 張彥遠, "曆代名畫記" 江苏美术出版社 2007

      18 "新唐書"

      19 胡傳淮, "張問陶硏究文集" 中央文獻出版社 2009

      20 蕭滌非, "唐詩鑑賞辭典" 上海辭書出版社 1885

      21 "全唐詩"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6 0.36 0.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6 0.746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