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장절제술용 선형 스테이플러 개발 (Side-to-side)
1) 절제부 및 문합부 누출(leakage)을 최소화한 스테플링 메커니즘 개발
- 균일한 스테플링의 수행
- 표면이 비균일하거나 두꺼운 장의 문합시...
가. 장절제술용 선형 스테이플러 개발 (Side-to-side)
1) 절제부 및 문합부 누출(leakage)을 최소화한 스테플링 메커니즘 개발
- 균일한 스테플링의 수행
- 표면이 비균일하거나 두꺼운 장의 문합시에도 튼튼한(secure) 스테플링을 수행
2) 제한된 공간에서 장(intestine)의 횡절제(perpendicular resection)가 가능한 헤드부 각도 제어기술 개발
- 사선 스테플링 라인을 줄이고 최대한 수직에 가까운 절제술 시행
- 추가 스테플링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
3) 제한된 공간(예를 들면, 골반강내)에서 장의 횡절제가 가능한 헤드부 각도 제어기술 개발
- 샤프트(shaft)의 최대 굴곡각 유지설계 - 최대 90° 까지
- 스테이플링 발사 메커니즘에 따른 최적 굴곡부 설계
나. 관상동맥 우회술용 이식편 결합장치 개발 (End-to-side)
1) 0㎟ BENIS 지수를 가지고 97% 이상의 혈관개존률을 유지하는 관상동맥결합장치 개발
2) Off-pump surgery에서 혈관 내막(intima) 손상을 최소화하는 커넥터 및 결합장치 개발
3) 이상적인 결합각(30˚ ~ 45˚ )을 유지하는 커넥터 개발
4) 문합부 누출을 최소화한 스테이플링 메커니즘 개발
- 스테이플링시 절제할 조직의 전방 밀림 방지 설계 및 메커니즘 개발
- 조직두께 변화에 상관없이 균일한 스테이플링 기술 개발
- 튼튼한(secure) 스테이플링을 위한 다양한 앤빌(anvil) 구조 설계
- 앤빌과 카트리지의 일정한 결합거리 유지 기술 개발
- 스테이플링 발사체 최적 설계
5) 박동혈류(pulsatile flow) 압력을 극복할 수 있는 결합력을 갖는 커넥터 개발
다. 시제품 제작 및 임상적 성능 평가
1) 각 구조체 제작 및 성능 평가, 시제품 제작
2) 시제품 성능 테스트 및 임상적 성능
라. 관상동맥 우회술용 이식편 결합장치의 생물학적 성능 검증 (End-to-side)
1) 실험동물에서 채취한 관상동맥에 이식편을 사용한 우회술 시행후, 결합부의 누출 여부 검사 및 BENIS 지수 측정
2) 문합부에 박동혈류(pulsatile flow)를 흘려 최대 결합력 및 결합각 유지 정도 측정
3) 실험동물을 대상으로 관상동맥 우회술을 시행후, 일정한 간격으로 개존률 및 혈전형성 정도 평가
- 개존율 평가 방법 : Empty-and-refill test
4) 관상기관 문합관련 비임상 자료 수집
5) 비교 factor 분석
- 관상기관당 총 문합 시간, 성공여부, 조직이식 성공여부, 혈전 생성 여부
마. 장절제술용 선형 스테이플러의 임상적 타당성 검증 (Side-to-side)
1) 실험동물에서 채취된 소장 절제를 수행한 뒤, 문합부의 누출여부 확인 Peristaltic pump 시스템을 활용하여 문합부가 견디는 최대압력 측정
2) 절제 조직의 두께에 따른 스테이플링의 균일성 평가 및 유효 스테이플 라인 평가
3) 실험동물을 대상으로 소장 절제술을 시행후, 문합부 누출, 출혈, 합병증에 대한 평가 및 분석바. 관상기관 결합용 스테이플러의 인체공학적 아이디어 도출
사. 제작모델(문합장치 및 고정핀)의 생물학적 안정성 검증
아. 신기술 혈관문합기의 임상시험 적용 평가를 위한 인허가 절차 준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