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국내 시판중인 항생제의 1일 투여량과 투여간격의 적정성을 확인하고 적응증 및 중증도에 따른 항생제 용량 제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항생제 시판시 KFDA의 허가사항을 담은 약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40038090
2003
Korean
510.000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256-270(1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 국내 시판중인 항생제의 1일 투여량과 투여간격의 적정성을 확인하고 적응증 및 중증도에 따른 항생제 용량 제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항생제 시판시 KFDA의 허가사항을 담은 약제...
목적 : 국내 시판중인 항생제의 1일 투여량과 투여간격의 적정성을 확인하고 적응증 및 중증도에 따른 항생제 용량 제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항생제 시판시 KFDA의 허가사항을 담은 약제사용설명서을 미국 FDA 공인 약제에 대한 사용지침으로 쓰이고 있는 PDR(Physicians' Desk Peference)과 비교하였다.
방법 : PDR에 등재되어 있는 항생제 중에서 시럽 및 도포용 항생제를 제외한 총 61종에서, 국내에 시판되어 있는 51종 항생제의 약제사용설명서를 대상으로 1일 투여량, 투약횟수, 적응증 및 중증도에 따른 설명 정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
1) 1일 투여량 비교 : 비교 가능한 전체 항생제에서, 약제사용설명서가 PDR보다 적은 용량을 제시한 경우는 경구용 8종, 주사용 11종으로 총 19종(37%)였으며, 많은 용량을 제시한 경우는 경구용만 2(4%)종이었고, 동일하거나 비슷한 용량을 제시한 경우는 경구용 15종, 주사용 15종으로 총 30(59%)종이었다. 약제사용설명서에서 적은 용량이 제시된 항생제 중 경구용인 cefdnir, cefixime, cefpodoxime, ofloxacin, levofloxacin, norfloxacin(6종), 주사용인 cefazolin, cefotetan, ceftizoxime, meropenem (4종) 등 반수이상의 약제가 일본제약회사로부터 국내에 수입된 약들이었으며 일본의 약제 사용설명서와 동일한 용량을 제시한 것을 알 수 있다.
2) 투여간격 비교 : 비교가능한 항생제 51종 중에서 국내약제사용설명서가 PDR과 동일한 투약횟수, 투여간격을 제시한 항생제는 30종(59%)이었다. 국내 약제사용설명서가 PDR보다 적은 투약횟수, 긴 투여간격을 제시한 항생제는 9종(17%)이었다. 오히려 많은 투약횟수, 짧은 투여간격을 제시한 항생제가 12종(24%)이나 되었다. 경구용만 비교하였을 경우 국내 약제사용설명서가 PDR보다 적은 투약횟수를 제시한 항생제는 없었으며, 동일하세 제시한 경우는 15종, 빈번한 투약횟수를 제시한 경우는 10종이었다. 주사용 항생제에서 국내 약제사용설명서가 PDR보다 긴 투여간격을 제시한 항생제는 9종, 동일한 경우는 15종, 짧은 투여간격을 제시한 경우는 2종이었다.
3) 적응증 및 중증도에 따른 비교 : 약제사용설명서에서 적응증 또는 중증도에 따른 용량에 대한 설명이 부족한 경우는 경구용 13종, 주사용 7종으로 총 20종(39%)이었으며, PDR에서는 경구용 1종, 주사용 2종으로 총 3종(6%)이었다.
결론 : 항생제에 첨부되는 약제사용설명서 및 약제사용설명서를 바탕으로 편집되는 의약품집이 항생제를 처방하는 의사들이 용법과 용량을 결정함에 있어 참고 역할을 하고 있으나, 국내의 시판 허가사항을 담은 약제사용설명서가 많은 수에서 적응증 또는 중증도에 따른 1일 투여량과 투여간격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 The appropriate usage of antibiotics needs informations such as its effectiveness for a given infection, administration route, the amount of effective dose, and the dose intervals. In this study, in order to find any significant discrepan...
Background : The appropriate usage of antibiotics needs informations such as its effectiveness for a given infection, administration route, the amount of effective dose, and the dose intervals. In this study, in order to find any significant discrepancy regarding to the details of explanation of the necessary information for appropriate antibiotic usages, we compares informations about 51 antibiotics, one from package inserts in Korea and the other from physician's desk reference (PDR) certified by FDA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Materials and Methods : Package inserts about antibiotics, only oral or parenteral agent, wereperused to collect three categories of data: the recommended dosage, dose interval, and adjustment of dose to indications or the severity of infection. These data available in Korea were compared with 61 antibiotics (32 oral and 29 parenteral agents) cited in PDR.
Results : Package inserts for 51 antibiotics were gathered, because the remaining 10 antibiotics in PDR are not domestically commercialized. Among data on antibiotics comparable with those in PDR, 59% (30 cases: 15 oral and 15 parenteral agents) suggested the dose similar to that of PDR, 37% (19 cases: 8 oral and 11 parenteral agents) recommend less dose, and 4% in only 2 oral agents showed more dose. About half of the drugs recommending lower dosage were imported from Japanese pharmaceutical company, and the recommended doses of these antimicrobial agents were similar to those in Japan. About 59% (30 cases: 15 oral and 15 parenteral agents) directed dose interval or duration similar to those of PDR and 17% (9 parenteral agents) suggested less administration or longer duration. Surprisingly, in contrast to only 6% (3 cases) of PDR, 24% (12 cases : 10 oral and 2 parenteral agents) recommended more administration or shorter duration.
About 39% (24 cases: 13 oral and 7 parenteral agents) revealed no information for dose adjustment commons to indications or the severity of infection.
Conclusion : This study revealed that many guidelines in Korea recommend lower doses and/or unreasonable dose intervals. In future studies, improved antibiotic usage guidelines should be established based on pharmacokinetic and pharmacodynamic researches, on the aspect of optimal dosage, dose interval, and dose adjustment commensurate to the indications and the severity of the infection.
Clostridium difficile B 독소 유전자 직접검출법에 의한 항생제 연관 설사증과 위막성 대장염의 진단
일개 대학병원에서 8년(1994-2001) 동안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VRE) 감염 환자의 임상상 및 사망 위험요인 분석
다제내성 그람양성균에 대한 Linezolid(Zyvox^(�))의 시험관내 항균력 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