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가상현실 속의 상황 표현을 위한 시공간 그래프의 구현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616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가상 상황속의 사건들에 역사적 맥락을 부여하기 위한 통합적 직관적 정보표현구조로서 시공간 그래프(Spatio-Temporal Graph)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일반적으로 사건은 공간뿐 아니라 시간을 점유함으로써 역사적 사실이 된다. 따라서 가상 상황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서는 공간적 측면을 표현하기 위한 삼차원 정보구조에 시간적 측면을 더한 다차원적인 맥락에 사건들을 위치시키는 일이 핵심적 기초가 된다. 이러한 다차원적 맥락은 온톨로지 뷰, 인스턴스 뷰, 시공간 뷰, 실제 뷰 등과 같은 여러 수준에서의 통합적 직관적 지식표현수단들을 통해 구현된다. 이와 같이 구현된 시공간 그래프에 기반한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예제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실용성을 검증한다. 본 기술은 지능형 교육시스템이나 차세대 시뮬레이션 게임 등에 필수적인 다양한 상황들을 제공하는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중심요소가 된다.
      번역하기

      본 논문에서는 가상 상황속의 사건들에 역사적 맥락을 부여하기 위한 통합적 직관적 정보표현구조로서 시공간 그래프(Spatio-Temporal Graph)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일반적으로 사건은 공간뿐 ...

      본 논문에서는 가상 상황속의 사건들에 역사적 맥락을 부여하기 위한 통합적 직관적 정보표현구조로서 시공간 그래프(Spatio-Temporal Graph)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일반적으로 사건은 공간뿐 아니라 시간을 점유함으로써 역사적 사실이 된다. 따라서 가상 상황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서는 공간적 측면을 표현하기 위한 삼차원 정보구조에 시간적 측면을 더한 다차원적인 맥락에 사건들을 위치시키는 일이 핵심적 기초가 된다. 이러한 다차원적 맥락은 온톨로지 뷰, 인스턴스 뷰, 시공간 뷰, 실제 뷰 등과 같은 여러 수준에서의 통합적 직관적 지식표현수단들을 통해 구현된다. 이와 같이 구현된 시공간 그래프에 기반한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예제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실용성을 검증한다. 본 기술은 지능형 교육시스템이나 차세대 시뮬레이션 게임 등에 필수적인 다양한 상황들을 제공하는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중심요소가 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we develop a Spatio-Temporal graph as of a key component of our knowledge representation Scheme. We design an integrated representation scheme to depict not only present and past but future in parallel with the spaces in an effective and intuitive manner. An event in general occupies not only a space but a time. Hence a crucial premise for the simulation of virtual situations is to position events in the multi-dimensional context, that is, 3-D space extended by the temporal dimension. Furthermore an event tends to have physical, social and mental aspects intertwined. As a result we need diverse information structures and functions to model entities and relations associated with events and to describe situations in different stances or perspectives of the virtual agents. These structures and functions are implemented in terms of integrated and intuitive representation schemes at different levels such as Ontology View, Instance View, ST View, Reality View. The resulting multi-dimensional comprehensive knowledge structure accommodates multi-layered virtual world developing in the time to maximize the diversity of situations in the historical context. The viability of this knowledge representation scheme is demonstrated with a typical scenario applied to a simulator implemented based on the ST Graph. The virtual stage based on the ST graph can be used to provide natural contexts for situated learning or next-generation simulation games.
      번역하기

      In this paper, we develop a Spatio-Temporal graph as of a key component of our knowledge representation Scheme. We design an integrated representation scheme to depict not only present and past but future in parallel with the spaces in an effective an...

      In this paper, we develop a Spatio-Temporal graph as of a key component of our knowledge representation Scheme. We design an integrated representation scheme to depict not only present and past but future in parallel with the spaces in an effective and intuitive manner. An event in general occupies not only a space but a time. Hence a crucial premise for the simulation of virtual situations is to position events in the multi-dimensional context, that is, 3-D space extended by the temporal dimension. Furthermore an event tends to have physical, social and mental aspects intertwined. As a result we need diverse information structures and functions to model entities and relations associated with events and to describe situations in different stances or perspectives of the virtual agents. These structures and functions are implemented in terms of integrated and intuitive representation schemes at different levels such as Ontology View, Instance View, ST View, Reality View. The resulting multi-dimensional comprehensive knowledge structure accommodates multi-layered virtual world developing in the time to maximize the diversity of situations in the historical context. The viability of this knowledge representation scheme is demonstrated with a typical scenario applied to a simulator implemented based on the ST Graph. The virtual stage based on the ST graph can be used to provide natural contexts for situated learning or next-generation simulation gam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관련 연구
      • Ⅲ. ST 그래프를 사용한 상황 표현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관련 연구
      • Ⅲ. ST 그래프를 사용한 상황 표현
      • Ⅳ. 구현 및 실험 결과
      • Ⅴ. 결론 및 향후 연구 방향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종희, "가상현실 속의 상황 표현을 위한 시공간 그래프" 한국콘텐츠학회 12 (12): 1-12, 2012

      2 "http://www.swissquake.ch/chumbaum-soft"

      3 J. Park, "The Ontology about the Microcosm, Tech. report #9" Kyungpook National Univ 2001

      4 R. Matias, "Spatial On-Line Analytical Processing(SOLAP): A Tool the to Analyze the Emission of Pollutants in Industrial Installations" 2005

      5 W. Lewis Johnson, "Plan Recognition in a Situational Context" 1995

      6 J. Park, "Modelling the nature event in spatio-temporal context" Kyungpook National univ 2004

      7 J. F. Allen, "Maintaining Knowledge about Temporal Intervals" 26 (26): 832-843, 1983

      8 T. Finin, "KQML as an agent communication language" University of Maryland Baltimore County 1995

      9 K. Timothy, "IMMPS: A Multimedia Presentation Design System" 67-78, 1997

      10 M. P. Kwan, "Geovisualization of Human Activity Patterns Using 3D GIS: A Time-Geographic Approach, Spatially integrated social science"

      1 박종희, "가상현실 속의 상황 표현을 위한 시공간 그래프" 한국콘텐츠학회 12 (12): 1-12, 2012

      2 "http://www.swissquake.ch/chumbaum-soft"

      3 J. Park, "The Ontology about the Microcosm, Tech. report #9" Kyungpook National Univ 2001

      4 R. Matias, "Spatial On-Line Analytical Processing(SOLAP): A Tool the to Analyze the Emission of Pollutants in Industrial Installations" 2005

      5 W. Lewis Johnson, "Plan Recognition in a Situational Context" 1995

      6 J. Park, "Modelling the nature event in spatio-temporal context" Kyungpook National univ 2004

      7 J. F. Allen, "Maintaining Knowledge about Temporal Intervals" 26 (26): 832-843, 1983

      8 T. Finin, "KQML as an agent communication language" University of Maryland Baltimore County 1995

      9 K. Timothy, "IMMPS: A Multimedia Presentation Design System" 67-78, 1997

      10 M. P. Kwan, "Geovisualization of Human Activity Patterns Using 3D GIS: A Time-Geographic Approach, Spatially integrated social science"

      11 M. Baur, "Drawing the AS Graph in 2.5 Dimensions"

      12 Ramakrishnan, Gehrke, "Database Management Systems" McGRAW-HILL Co 606-607, 2003

      13 J. Park, "Augmented model of behavioral occurrence, Tech. report #72, AIMM lab" Kyungpook National Univ 2009

      14 N. Hiralla, "A Temporal Model for Interactive Multimedia Scenarios" 2 (2): 24-31,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5-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5 1.57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