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반논문 : 식민지기 학교조합과 호남의 일본인 이민자사회 -전북(全北) 익산(益山)(이리(裡里)), 군산(群山), 금제(金堤), 전주(全州)의 단편 사례 = Japanese Immigrant Community in the Eyes of the School Association in Honam Plains, Colonial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6655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식민초기 일본인 이민자사회에 의해 급조된 학교조합이 일본인아동을 교육하기 위한 ``자치적`` 기구일 뿐만 아니라, 지역의 ``拓植``과 ``개발``에 편승해 다목적의 지방공공단체로 ...

      이 글은 식민초기 일본인 이민자사회에 의해 급조된 학교조합이 일본인아동을 교육하기 위한 ``자치적`` 기구일 뿐만 아니라, 지역의 ``拓植``과 ``개발``에 편승해 다목적의 지방공공단체로 전신했던, 일종의 외곽 관변단체임을 호남 지역사회의 차원에서 구명한 것이다. 최근 사회단체사의 차원에서 학교조합 등 지역공공단체와 그 기반을 이루는 이민자사회를 통일적으로 파악하려는 시도는, 최근 식민도시사, 재조일본인 연구 등에서도 중요한 문제로 부상하고 있다. 1912년 호남선의 개통, 1914~17년간 지방제도의 개편 등에 따라 호남평야는 ``제국``의 곡창지대로 부각되고, 당해 지역사회는 일본인 이민자사회가 중심이 되어 群山및 裡里와 같은 ``식민도시``를 건설하며 급속한 ``개발붐``을 타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官과 유착한 일본인 地方有志를 중심으로 다양한 지역공공사업 및 ``개발``사업이 전개되었다. 그러나 재조일본인 사회가 중심이 되었던 학교조합사업은 일제의 동화주의정책과 이율배반적 관계에 있었다. 학교조합은 설립 초기부터 ``內鮮共學``조차 반대했던 것이다. 학교조합의 재정(예산)이 증가 추세에 있던 1930년대 초, 학교조합은 시정방침에 따라 해산되고 府·郡(協議會)에 편입되어 역사 속에서 사라졌다. 이는 좁게는 이민자사회에 의한 ``자치적`` 교육사업의 실패를 보여주는 것이며, 넓게는 동화주의정책의 모순을 스스로 폭로하고 있는 셈이다. 그들이 주창했던 일본인의 ``自治``와 ``개발``은 결국 조선인 현지주민과의 격차와 차별을 초래하며, 궁극적으로 민족간 평등과 융화를 선전했던 동화주의를 모순에 찬 허구로 만들고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trend of Japanese immigrant community in Colonial Korea, through the school association. Japanese immigrant community had been advanced even in Honam Plains (湖南平野), Korean rice-basket since Russo-Japanese War (1904). In...

      This paper examines the trend of Japanese immigrant community in Colonial Korea, through the school association. Japanese immigrant community had been advanced even in Honam Plains (湖南平野), Korean rice-basket since Russo-Japanese War (1904). In the early colonial period, the school association established by a few Japanese local elite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public project, as well as in education work. In order to perform these public activities, a few Japanese local elites of the Honam local society had established a lot of different associations, but the most important group was the school association especially in newly rising colonial towns of Honam Plains such as Gunsan (群山), Iksan (益山), Gimje (金堤), and Jeonju (全州). The school association led by a few Japanese local elites brought about so-called ``colonial modernization`` in Honam local society, but it also gave rise to economic gap, socio-political discrimination between the native Korean local society and the Japanese immigrant community. Ultimately, the school association project led by Japanese immigrant community turned out to be a failure in the context of assimilation policy of General Government of Korea (朝鮮總督府).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