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2004년 이후부터 양적인 성장을 거듭해온 노인일자리사업의 효과성에 대해서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 효과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양적 분석방법에 치중해온 기존의 연구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01317
2014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04년 이후부터 양적인 성장을 거듭해온 노인일자리사업의 효과성에 대해서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 효과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양적 분석방법에 치중해온 기존의 연구들...
본 연구는 2004년 이후부터 양적인 성장을 거듭해온 노인일자리사업의 효과성에 대해서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 효과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양적 분석방법에 치중해온 기존의 연구들과는 달리 질적 분석방법을 적용해 보고자 한다. 즉, 노인일자리 사업 참여자들과 참여기관을 대상으로 하여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실시할 계획에 있다. 이러한 연구방법을 활용하게 되면, 기존의 연구들과는 달리 다차원적인 지표에 대한 접근이 가능하고, 관계자들의 수요나 욕구에 대해서 보다 심층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심층적인 면접을 통하여 노인일자리사업의 프로그램 개선이나 정책적인 방향의 제시, 수요자의 욕구에 부응하는 사업의 집행 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서론, 이론적 논의, 분석틀, 연구분석, 결론의 다섯 가지로 구성될 것이다. 먼저, 서론부분에서는 노인일자리사업의 효과성 분석의 필요성에 대해서 살펴볼 것이며, 이론적 논의에서는 노인일자리사업에 대한 논의와 노인일자리사업의 전달체계에 대해서 고찰해 보고자 한다. 고찰을 위해서는 문헌연구방법을 적용할 것이다. 그리고 노인일자리 효과성에 대하여 연구한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하여 본 연구의 분석틀을 마련하고자 한다. 그리고 분석틀에 맞추어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진행하고, 인터뷰 내용에 대한 정리 및 분석이 이루어질 것이다. 마지막으로 인터뷰 내용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일자리사업의 효과성 정도를 파악해보고, 선행연구와의 비교를 통해서 양적인 부분 뿐만 아니라 질적인 부분에 있어서의 효과성이 있었는지를 파악해보고자 한다. 그리고 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일자리사업에서 요구되는 프로그램이 어떤 것인지, 보다 수요자 지향적인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서 요구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함의점을 도출해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