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의 대전제는 행복하지 못했던 자신의 결혼생활로 인한 피메일 콤플렉스가 채만식 소설의 기원이자 원천으로 기능하고 있다는 가설이다. 이러한 피메일 콤플렉스를 가장 분명한 형태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461386
2010
Korean
801
KCI등재
학술저널
165-189(25쪽)
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의 대전제는 행복하지 못했던 자신의 결혼생활로 인한 피메일 콤플렉스가 채만식 소설의 기원이자 원천으로 기능하고 있다는 가설이다. 이러한 피메일 콤플렉스를 가장 분명한 형태로...
이 글의 대전제는 행복하지 못했던 자신의 결혼생활로 인한 피메일 콤플렉스가 채만식 소설의 기원이자 원천으로 기능하고 있다는 가설이다. 이러한 피메일 콤플렉스를 가장 분명한 형태로 보여주고 있는 작품이 바로 『인형의 집을 나와서』라는 가설이 이 글의 소전제이다. 이 글은 이러한 가설들과 관련하여 이 작품의 의미와 한계를 분석하는 작업에 집중하고자 했다. 분석의 결과, 창작의 기원 측면에서는 피메일 콤플렉스가, 그리고 창작의 동기 측면에서는 피메일 콤플렉스를 완화해보고자 하는 방어기제로서의 합리화 전략이 무의식의 층위에서 활발하게 작동된 작품이 바로 『인형의 집을 나와서?라는』결론을 내렸다. 이 작품에서 결정적인 정도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두 모티프인 `노라의 가출`과 `현과의 대결의지` 에서 가장 분명한 형태로 드러나고 있는 `사사구조의 우연성`과 `여성의식의 추상성`은 피메일 콤플렉스를 완화해보고자 하는 방어기제로서의 합리화 전략이 무의식의 층위에서 작가의 글쓰기 행위를 끊임없이 간섭한 결과로 보았다. 그 결과 이 작품은 중층적인 모순과 억압 속에서 일방적인 희생과 침묵을 강요당하던 여성들의 진정한 해방의 길을 탐색하고 모색해보고자 했던 채만식의 의도는 성공적이지 못한 것으로 보았다. 하지만, 이러한 문제나 한계가 있다고 해서 이 작품이 지니는 문학사적 가치, 즉 당대의 사회적 관심을 반영하여 진정한 여성해방의 실현 가능성을 진단해 본 작품이라는 가치 자체가 무화되어서는 안 된다고 보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major premise of this thesis is a hypothesis that the origin and source of Cha Man-sik`s novels is the female complex which is caused of his unhappied married life. A minor premise of this thesis is a hypothesis that Going out of a Doll`s house show...
A major premise of this thesis is a hypothesis that the origin and source of Cha Man-sik`s novels is the female complex which is caused of his unhappied married life. A minor premise of this thesis is a hypothesis that Going out of a Doll`s house showed this female complex most evidently. This thesis concentrated to the works which analyzed the meaning and limitation of the text connected with the hypotheses. This thesis come to a conclusion that Going out of a Doll`s house was operated with female complex in the origin of story writings, was operated with strategy of rationalization in the motive of story writings briskly. Two motifs-Nora`s abscondence and the will of confrontation to the Heyn-pass into most one`s important weight in the this work. The contingency of narrative structure and abstractiveness of female consciousness are revealed most evidently through these two motifs. The contingency of narrative structure and abstractiveness of female consciousness are occurred because strategy of rationalization as defense mechanism interfered author`s writing in the level of unconsciousness. Because of the contingency of narrative structure and abstractiveness of female consciousness, this work failed to completed author`s intention which intenet to groped and searched for method of emancipation of women. In spite of this problems and limitations, literary value of this work is enough good to be appraised.
참고문헌 (Reference)
1 안미영, "한국 근대소설에서 헨릭 입센의 ?인형의 집? 수용" 한국비교문학회 30 : 109-132, 2003
2 한지현, "채만식의 인형의 집을 나와서에 나타난 여성문제 인식" 민족문학사연구소 (9) : 93-94, 1996
3 방민호, "채만식과 조선적 근대문학의 구상" 소명출판 2001
4 고 헌, "채만식 문학의 배경에 대한 연구" 24-, 1982
5 심진경, "채만식 문학과 여성" 태학사 6 : 58-60, 2002
6 송하춘, "채만식" 건국대학교 출판부 1994
7 채만식, "창작의 태도와 실제, in: 채만식 전집" 1989
8 채만식, "지충, in: 채만식 전집" 창작과 비평사 1989
9 칼루 싱, "죄책감" 이제이 북스 2004
10 한기, "작가의 실존적 의식과 여성적 운명의 형상화 in: 장편소설로 보는 새로운 민족문학사" 열음사 1993
1 안미영, "한국 근대소설에서 헨릭 입센의 ?인형의 집? 수용" 한국비교문학회 30 : 109-132, 2003
2 한지현, "채만식의 인형의 집을 나와서에 나타난 여성문제 인식" 민족문학사연구소 (9) : 93-94, 1996
3 방민호, "채만식과 조선적 근대문학의 구상" 소명출판 2001
4 고 헌, "채만식 문학의 배경에 대한 연구" 24-, 1982
5 심진경, "채만식 문학과 여성" 태학사 6 : 58-60, 2002
6 송하춘, "채만식" 건국대학교 출판부 1994
7 채만식, "창작의 태도와 실제, in: 채만식 전집" 1989
8 채만식, "지충, in: 채만식 전집" 창작과 비평사 1989
9 칼루 싱, "죄책감" 이제이 북스 2004
10 한기, "작가의 실존적 의식과 여성적 운명의 형상화 in: 장편소설로 보는 새로운 민족문학사" 열음사 1993
11 채만식, "인형의 집을 나와서를 쓰면서" 1933
12 정선태, "인형의 집을 나와서―입센주의의 수용과 그 변용" 한국근대문학회 6 : 11-12, 2002
13 채만식, "인형의 집을 나와서, in: 채만식 전집" 창작사 1987
14 송지현, "여성주의 관점에서 본 채만식 소설" 한국언어문학회 37 : 609-610, 1996
15 김경일, "여성의 근대, 근대의 여성" 푸른역사 2004
16 L. A. 젤리, "성격심리학" 법문사 1986
17 김용석, "서사철학" 휴머니스트 2009
18 김양선, "사회주의 여성해방론의 소설적 형상화와 그 의미―인형의 집을 나와서를 중심으로 in: 채만식 중·장편소설 연구" 소명출판 2009
19 박찬부, "기호, 주체, 욕망" 창비 2007
20 맬컴 브래드베리, "구조를 통한 접근 in: 현대소설의이론" 대방출판사 1983
21 채만식, "과도기, in: 채만식 전집" 창작사 1987
일반 논문 : 근대전환기 번역 및 번안 서사의 두 가지 양상 -애국과 교육 계몽 담론의 수용 양상을 중심으로
일반 논문 : 김수영의 「꽃잎」에 나타난 수사학적 특성
일반 논문 : 치료의 수사학(1) -비유의 치료 원리 구축을 위한 시론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4 | 0.54 | 0.5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1 | 0.5 | 0.879 | 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