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통일을 대비한 사회보장법학 연구의 필요성과 방향 - 선행 연구와 시대별 분석을 중심으로 - = A Neccesity of Research on Social Security Legal Studiesfor Unification of Korea - Focusing on Preceding Research Analysis and Chronological Chan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405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legal system preserves public orders by guarantee peoples’ rights and impose their duties in their own social spheres.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is a complexed process in which two very different societies are likely to intergraft, so a huge of conflicts are assumed to be arisen. To solve these problems, the legal system for unifications should take a role as a stitching fiber by instituting new laws, and in particular social security legal studies for unification of Korea will play a key role because absolute majorities of North Koreans will suffer from the extreme poverty.
      However, it is difficult to make an answer what the social security legal studies is and to what extent their domains expand, because the aim of social security legislation is so comprehensive that it can participate in many issues on unification. But it is important to reply on these questions to apply the values and methods of social security acts to the issues on unification, and by establishing their own identity, social security studies are able to come into multi-disciplinary studies for unification. Thereby, we can protect the North Koreans from falling into poverty, not by sympathy, but their fundamental rights that new constitutional law will give a guarantee. The first steps to found the definition and categories of social security legal studies for unification is to research and analyze the preceding materials such as scholar articles, research papers, and doctoral dissertations. Much to our regret, there are few doctoral dissertations, which means we have a very thin layer of pool of researchers who can handle the problems on the social security system unification. With the Korea Institute for National Unification (KINU) as the center,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s have published a few of research papers on social welfare system for unification, but they described the social welfare system as a subordinate role to the macro-social economic institution. There are large numbers of academic papers, but most of these articles are written by social scientists such as social welfare researcher, not jurists. In 1990s, the research on the institutional unification of social security system was activated, and after 2000s the research has gone into details that studies on social insurance, public assistance, veterans welfare, health system are invigorated.
      번역하기

      A legal system preserves public orders by guarantee peoples’ rights and impose their duties in their own social spheres.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is a complexed process in which two very different societies are likely to intergraft, so a...

      A legal system preserves public orders by guarantee peoples’ rights and impose their duties in their own social spheres.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is a complexed process in which two very different societies are likely to intergraft, so a huge of conflicts are assumed to be arisen. To solve these problems, the legal system for unifications should take a role as a stitching fiber by instituting new laws, and in particular social security legal studies for unification of Korea will play a key role because absolute majorities of North Koreans will suffer from the extreme poverty.
      However, it is difficult to make an answer what the social security legal studies is and to what extent their domains expand, because the aim of social security legislation is so comprehensive that it can participate in many issues on unification. But it is important to reply on these questions to apply the values and methods of social security acts to the issues on unification, and by establishing their own identity, social security studies are able to come into multi-disciplinary studies for unification. Thereby, we can protect the North Koreans from falling into poverty, not by sympathy, but their fundamental rights that new constitutional law will give a guarantee. The first steps to found the definition and categories of social security legal studies for unification is to research and analyze the preceding materials such as scholar articles, research papers, and doctoral dissertations. Much to our regret, there are few doctoral dissertations, which means we have a very thin layer of pool of researchers who can handle the problems on the social security system unification. With the Korea Institute for National Unification (KINU) as the center,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s have published a few of research papers on social welfare system for unification, but they described the social welfare system as a subordinate role to the macro-social economic institution. There are large numbers of academic papers, but most of these articles are written by social scientists such as social welfare researcher, not jurists. In 1990s, the research on the institutional unification of social security system was activated, and after 2000s the research has gone into details that studies on social insurance, public assistance, veterans welfare, health system are invigora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법치사회에서 법제도는 사회 구성원이 활동하는 모든 분야에서 권리와 의무를 규정 함으로써 사회를 유지한다. 상호 이질적인 두 사회가 만나는 통일 과정에서 법제도 의 역할 역시 통합 과정에서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동반상승 효과를 극대화하여 새로운 사회를 발전·유지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통일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많은 부작용이 발생할 것이고 대표적으로 경제격차에 의한 북한 주민의 빈곤 문제가 예상 된다. 통일을 대비한 사회보장법 연구(통일사회보장법학연구)는 북한 주민들에게 닥칠 통일이라는 새로운 사회적 위험으로부터 인간다운 생활을 유지하게 함으로써 통일이 새로운 행복을 위한 과정임을 확인하게 하여야 한다. 또한 남한 구성원들에 게는 통일 과정의 부작용을 최소화함으로써 진정한 사회통합을 이루게 하는 데 기 여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목표를 가진 통일사회보장법의 내용과 영역이 무엇인가에 대해서는 답하기기 쉽지 않다. 사회적 위험의 종류는 많아져 가고 인간다운 생활의 보장 또한 생존적 영역에서 문화적 영역으로 확대되어갈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 통일 과정에서 발생할 무수한 쟁점들이 사회보장법이 지향하는 사회구성원의 복지에 연결되어 있 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통일사회보장법의 개념과 영역을 확정해야 하는 이유는 통일 과 정에서 발생할 많은 문제에서 사회보장법적 방법을 도입할 영역을 분명히 하고 북 한 주민들의 인간다운 생활을 기본권으로서 보장하기 위함이다. 또한 다른 통일 법 제 분야와 융합 연구를 위해서는 자신의 정체성이 무엇인가부터 확립할 필요가 있 다. 이러한 과정의 시작으로 먼저 통일사회보장법의 선행연구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과거 무엇을 연구하였고 그 결과 현재의 지표는 어디인지를 알아야 한다. 그 선행연 구는 학술논문 등의 형태별로 묶은 다음 다시 주제별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통일이 란 과정이 시대의 정치적·경제적 변화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는 만큼 시대별 경향 또한 연구할 필요가 있다. 그 내용을 간략히 요약하자면 1990년 후반까지는 양 사회 보장제도의 통합론이 총론적 성격으로 논의되었으나 2000년대 중반부터는 앞서의 논의를 바탕으로 북한의 각 사회보장제도의 내용 분석과 우리 제도와의 비교론이 각론으로서 많이 연구되었다.
      번역하기

      법치사회에서 법제도는 사회 구성원이 활동하는 모든 분야에서 권리와 의무를 규정 함으로써 사회를 유지한다. 상호 이질적인 두 사회가 만나는 통일 과정에서 법제도 의 역할 역시 통합 과...

      법치사회에서 법제도는 사회 구성원이 활동하는 모든 분야에서 권리와 의무를 규정 함으로써 사회를 유지한다. 상호 이질적인 두 사회가 만나는 통일 과정에서 법제도 의 역할 역시 통합 과정에서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동반상승 효과를 극대화하여 새로운 사회를 발전·유지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통일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많은 부작용이 발생할 것이고 대표적으로 경제격차에 의한 북한 주민의 빈곤 문제가 예상 된다. 통일을 대비한 사회보장법 연구(통일사회보장법학연구)는 북한 주민들에게 닥칠 통일이라는 새로운 사회적 위험으로부터 인간다운 생활을 유지하게 함으로써 통일이 새로운 행복을 위한 과정임을 확인하게 하여야 한다. 또한 남한 구성원들에 게는 통일 과정의 부작용을 최소화함으로써 진정한 사회통합을 이루게 하는 데 기 여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목표를 가진 통일사회보장법의 내용과 영역이 무엇인가에 대해서는 답하기기 쉽지 않다. 사회적 위험의 종류는 많아져 가고 인간다운 생활의 보장 또한 생존적 영역에서 문화적 영역으로 확대되어갈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 통일 과정에서 발생할 무수한 쟁점들이 사회보장법이 지향하는 사회구성원의 복지에 연결되어 있 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통일사회보장법의 개념과 영역을 확정해야 하는 이유는 통일 과 정에서 발생할 많은 문제에서 사회보장법적 방법을 도입할 영역을 분명히 하고 북 한 주민들의 인간다운 생활을 기본권으로서 보장하기 위함이다. 또한 다른 통일 법 제 분야와 융합 연구를 위해서는 자신의 정체성이 무엇인가부터 확립할 필요가 있 다. 이러한 과정의 시작으로 먼저 통일사회보장법의 선행연구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과거 무엇을 연구하였고 그 결과 현재의 지표는 어디인지를 알아야 한다. 그 선행연 구는 학술논문 등의 형태별로 묶은 다음 다시 주제별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통일이 란 과정이 시대의 정치적·경제적 변화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는 만큼 시대별 경향 또한 연구할 필요가 있다. 그 내용을 간략히 요약하자면 1990년 후반까지는 양 사회 보장제도의 통합론이 총론적 성격으로 논의되었으나 2000년대 중반부터는 앞서의 논의를 바탕으로 북한의 각 사회보장제도의 내용 분석과 우리 제도와의 비교론이 각론으로서 많이 연구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나미, "통일대비 북한 위기상황에 따른 보건복지 대응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2 장용철, "통일대비 북한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 구축 방안 연구" 북한학연구소 11 (11): 71-102, 2015

      3 이정우, "통일논단 : 통일에 대비한 사회보장제도의 통합방안" 북한연구소 1997

      4 임재형, "통일과정에서 남북한 사회복지제도의 통압방안" 명지대학교 북한연구소 2 : 1999

      5 김석진, "통일 이후 사회보장제도 분리 운영방안 : 경제적·법적 분석" 통일연구원 2015

      6 김병철, "중국 노동·사회보장체제의 변화와 남북한 통일 노동·사회보장보장체제에 대한 함의" 남북경제연구원 2010

      7 이규창, "제2주제 : 통일 이후 사회보장제도 분리운영과 헌법상의 평등권" 세종통일연합포럼 2016

      8 이철수, "제1발표 : 통일사회복지 연구동향과 과제" 북한연구학회 2015

      9 윤황, "북한의 보훈제도에서 나타난 상징에 관한 연구" 한국보훈학회 1 (1): 2003

      10 김원홍, "북한연구 : 북한의 여성복지 정책에 관한 고찰" 북한연구소 1993

      1 황나미, "통일대비 북한 위기상황에 따른 보건복지 대응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2 장용철, "통일대비 북한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 구축 방안 연구" 북한학연구소 11 (11): 71-102, 2015

      3 이정우, "통일논단 : 통일에 대비한 사회보장제도의 통합방안" 북한연구소 1997

      4 임재형, "통일과정에서 남북한 사회복지제도의 통압방안" 명지대학교 북한연구소 2 : 1999

      5 김석진, "통일 이후 사회보장제도 분리 운영방안 : 경제적·법적 분석" 통일연구원 2015

      6 김병철, "중국 노동·사회보장체제의 변화와 남북한 통일 노동·사회보장보장체제에 대한 함의" 남북경제연구원 2010

      7 이규창, "제2주제 : 통일 이후 사회보장제도 분리운영과 헌법상의 평등권" 세종통일연합포럼 2016

      8 이철수, "제1발표 : 통일사회복지 연구동향과 과제" 북한연구학회 2015

      9 윤황, "북한의 보훈제도에서 나타난 상징에 관한 연구" 한국보훈학회 1 (1): 2003

      10 김원홍, "북한연구 : 북한의 여성복지 정책에 관한 고찰" 북한연구소 1993

      11 이윤진, "북한 아동권리보장법 및 아동복지 관련 법제도 분석" 사회복지연구소 50 : 189-219, 2016

      12 민기채, "북한 복지체제의 성격 변화에 관한 연구 :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 시대비교"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4 (2014): 2014

      13 이정우, "독일의 통일과정에서 복지국가의 역할" 한독경상학회 29 (29): 51-78, 2011

      14 이재림, "독일의 사회보장제도 통합에 근거한 남북한 사회보장제도 통합에 대한 고찰" 숙명여자대학교 통일문제연구소 (21) : 2003

      15 박범종, "남북한 통일 대비 복지재원 확보방안에 관한 연구: 독일 통일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시민윤리학회 23 (23): 197-216, 2010

      16 이철수, "남북한 사회복지 통합에 대한 소고" 사회과학연구원 부설 동북아연구소 30 (30): 131-169, 2015

      17 김형수, "남북한 사회보험제도 통합방안(I)" 호서대 사회과학연구소 16 (16): 1997

      18 박헌옥, "남북한 보훈제도 비교 연구" 한국보훈학회 1 (1): 2003

      19 장창수, "남북한 노인복지법제 통합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6

      20 신희영, "김정은 시대 북한 보건의료체계: 동향전달체계와 조직체계를 중심으로" 통일평화연구원 8 (8): 181-211,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