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PCR을 이용한 식품 중 알레르기 유발물질 검출법 개발 = Development of PCR Method for Rapid Detection of Allergic Materials in Food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893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분자생물학적 방법을 통한 알레르기 유발 원재료 확인을 위해 PCR방법의 최적 조건을 구축하였다. 가공식품에서 알레르기 원료성분 확인을 위하여 200bp내외의 PCR 산물을 생성할 수 있는 종특이 프라이머를설계하거나 선행연구사업 결과를 활용하였다. 대상 원료로는 국내 식품알레르기 표시대상인 난류, 우유, 메밀, 땅콩, 대두, 밀, 고등어, 게, 새우, 돼지고기, 복숭아 및 토마토와 제외국에서 알레르기 유발 성분으로 규정하고있는아몬드, 참깨를 포함하여 총 14종을 대상으로 하였다. 특이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PCR 한 결과 난류, 우유, 메밀,땅콩, 대두, 밀, 고등어, 게, 새우, 돼지고기, 복숭아, 토마토, 아몬드 및 참깨로부터 각각 281, 131, 138, 120, 118,127, 211, 174, 231, 138, 174, 132, 103 및 220bp의 특이밴드를 확인하였으며 상호간의 비 특이적 밴드는 검출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확립한 알레르기 유발 원재료 검출법은 식품의 부정확한 표시나 가공식품의 제조과정 중알레르기 유발물질의 비의도적 혼입 등으로부터 소비자를보호하고 향후 수출 제품에 있어서 정확한 알레르기 유발원재료 표기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분자생물학적 방법을 통한 알레르기 유발 원재료 확인을 위해 PCR방법의 최적 조건을 구축하였다. 가공식품에서 알레르기 원료성분 확인을 위하여 200bp내외의 PCR 산물을 생성...

      본 연구에서는 분자생물학적 방법을 통한 알레르기 유발 원재료 확인을 위해 PCR방법의 최적 조건을 구축하였다. 가공식품에서 알레르기 원료성분 확인을 위하여 200bp내외의 PCR 산물을 생성할 수 있는 종특이 프라이머를설계하거나 선행연구사업 결과를 활용하였다. 대상 원료로는 국내 식품알레르기 표시대상인 난류, 우유, 메밀, 땅콩, 대두, 밀, 고등어, 게, 새우, 돼지고기, 복숭아 및 토마토와 제외국에서 알레르기 유발 성분으로 규정하고있는아몬드, 참깨를 포함하여 총 14종을 대상으로 하였다. 특이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PCR 한 결과 난류, 우유, 메밀,땅콩, 대두, 밀, 고등어, 게, 새우, 돼지고기, 복숭아, 토마토, 아몬드 및 참깨로부터 각각 281, 131, 138, 120, 118,127, 211, 174, 231, 138, 174, 132, 103 및 220bp의 특이밴드를 확인하였으며 상호간의 비 특이적 밴드는 검출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확립한 알레르기 유발 원재료 검출법은 식품의 부정확한 표시나 가공식품의 제조과정 중알레르기 유발물질의 비의도적 혼입 등으로부터 소비자를보호하고 향후 수출 제품에 있어서 정확한 알레르기 유발원재료 표기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ethod for detection foods containing allergenic materials by PCR was developed in this study. To detect allergenic raw material from processed food, species specific primer which up to 200bp for PCR product were designed or selected from advanced research. As target materials, 14 items were selected (12 target materials for allergen in Korea, 2 target materials for allergen in foreign countries). The amplicon size for eggs, milk, buckwheat,peanuts, beans, wheat, mackerel, crab, shrimp, pork, peach, tomato, almond, and sesame were confirmed 281,131, 138, 120, 118, 127, 211, 174, 231, 138, 174, 132, 103, and 220bp, respectively. And any non-specific bands were not detected among each others. Detection method for allergenic material developed in this study could be used to investigate inaccurate goods for allergen labeling or non-intentional contaminant during processed foods manufacturing.
      In addition, the system will be usefully to detection accurate allergenic raw materials of export for other countries.
      번역하기

      The method for detection foods containing allergenic materials by PCR was developed in this study. To detect allergenic raw material from processed food, species specific primer which up to 200bp for PCR product were designed or selected from advanced...

      The method for detection foods containing allergenic materials by PCR was developed in this study. To detect allergenic raw material from processed food, species specific primer which up to 200bp for PCR product were designed or selected from advanced research. As target materials, 14 items were selected (12 target materials for allergen in Korea, 2 target materials for allergen in foreign countries). The amplicon size for eggs, milk, buckwheat,peanuts, beans, wheat, mackerel, crab, shrimp, pork, peach, tomato, almond, and sesame were confirmed 281,131, 138, 120, 118, 127, 211, 174, 231, 138, 174, 132, 103, and 220bp, respectively. And any non-specific bands were not detected among each others. Detection method for allergenic material developed in this study could be used to investigate inaccurate goods for allergen labeling or non-intentional contaminant during processed foods manufacturing.
      In addition, the system will be usefully to detection accurate allergenic raw materials of export for other countri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

      2 박용춘, "종 특이 프라이머를 이용한 식육가공품의 사용원료 판별법"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7 (27): 68-73, 2012

      3 식품의약품안전청, "일본의 알레르기 유발물질 검사법 규정: 번역집" 63-, 2008

      4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의약품안전청고시 제2005- 12호"

      5 "식품공전, 제 10 일반시험법, 8 식품표시관련시험법"

      6 이수연, "굴과 상추에서 노로바이러스의 대체모델feline calicivirus의 효율적 검출법 개발" 한국식품과학회 39 (39): 71-76, 2007

      7 박용춘, "고추다대기 혼입 불량고춧가루 판별법 개발"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7 (27): 182-187, 2012

      8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가짜식품 판별 검사 지침서 (I) (2011)" 2012

      9 이재훈, "가공식품과 비가공식품에서의 황색포도상구균 검출을 위한 배지법과 Real-time PCR법의 비교" 한국축산식품학회 30 (30): 410-418, 2010

      10 "http://www.mhlw.go.jp"

      1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

      2 박용춘, "종 특이 프라이머를 이용한 식육가공품의 사용원료 판별법"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7 (27): 68-73, 2012

      3 식품의약품안전청, "일본의 알레르기 유발물질 검사법 규정: 번역집" 63-, 2008

      4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의약품안전청고시 제2005- 12호"

      5 "식품공전, 제 10 일반시험법, 8 식품표시관련시험법"

      6 이수연, "굴과 상추에서 노로바이러스의 대체모델feline calicivirus의 효율적 검출법 개발" 한국식품과학회 39 (39): 71-76, 2007

      7 박용춘, "고추다대기 혼입 불량고춧가루 판별법 개발"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7 (27): 182-187, 2012

      8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가짜식품 판별 검사 지침서 (I) (2011)" 2012

      9 이재훈, "가공식품과 비가공식품에서의 황색포도상구균 검출을 위한 배지법과 Real-time PCR법의 비교" 한국축산식품학회 30 (30): 410-418, 2010

      10 "http://www.mhlw.go.jp"

      11 "http://www.inspection.gc.ca"

      12 "http://www.fda.gov"

      13 "http://www.emea.europa.eu/ema"

      14 Samuel, B., "Why are some proteins allergenic? Implications for biotechnology" 36 : 553-564, 1996

      15 Sampson, H.A., "Update on food allergy" 113 : 805-819, 2004

      16 Roland, E.P., "Polymerase Chain Reaction Techniques for Food Allergy Detection" 87 : 139-, 2004

      17 Wünsch, A.,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sweet cherry (Prunnus avium L.) genotypes using peach [Prunnus persica (L.) Batsch] SSR sequences" 89 : 56-63, 2002

      18 He, G., "Microsatellites as DNA markers in cultivated peanut (Arachis hypogaea L.)" 3 : 2003

      19 Tomoaki, M., "Identification of animal species using the partial sequences in the mitochondrial 16S rRNA Gene" 11 : 449-450, 2009

      20 Frew, A.J., "Food allergy and intolerances" 52 : 675-, 1997

      21 Michael, T.M., "DNA-based species delineation in tropical beetles using mitochondrial and nuclear markers" 360 : 1925-1933, 2005

      22 Wei, W., "Characterization of the sesame(Sesamum indicum L.) global transcriptome using Illumina paired-end sequencing and development of ETS-SSR markers" 12 : 451-, 2011

      23 Rakoczy-Trojanowska, M., "Characteristics and comparison of three classes of microsatellite-based maskers and their application in plants" 9 : 221-238, 2004

      24 Hebert, P.D.N., "Biological identifications through DNA Barcodes" 270 : 313-321, 2003

      25 Shirasawa, K., "An interspecific linkage map of SSR and intronic polymorphism markers in tomato" 121 : 731-739, 2010

      26 King, N., "Allergenic characteristics of a modified peanut allergen" 49 : 963-971,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7-2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ry Of Food Hygiene And Safety -> The Korean Society of Food Hygiene and Safety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5 0.45 0.4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9 0.49 0.726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