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說文解字》에서 본 중국고대 건축의 구성요소 — 기둥을 중심으로 = On the elements of Chinese ancient architecture from 《Shuowenjiezi》 -- the pillar as the cent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435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lthough there are a large number of papers on architecture and space in ancient Chinese architecture, they rarely mention the elements that constitute architecture. Ancient Chinese people, with doubts about what were the elements of architecture at t...

      Although there are a large number of papers on architecture and space in ancient Chinese architecture, they rarely mention the elements that constitute architecture. Ancient Chinese people, with doubts about what were the elements of architecture at that time and how to make them, wanted to find the answer from 《Shuowenjiezi》, a collection of Chinese characters in ancient China.
      Among the building’s constituent elements, it is generally divided into roof, column, wall, etc., which are mainly related to the stability of the building and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support the roof. Therefore, as the first work to study the elements of ancient architecture, I engaged in the study of roof.
      From the perspective of archaeology, we can find traces of Yangshao culture and Liangzhu culture, and Erlitou culture.
      After Xia and Shang Dynasties, with the appearance of large palaces, the application of beams was also extensive.
      Pillars and beams were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s of ancient architecture. Most of the characters related to pillars were formed by following the “木 radical” and adding sound characters.
      In 《Shuowenjiezi》 “the equivalent of building pillars to 楹、柱、栋、极、桴、楣、杗、梁” such as words, give priority to with these Chinese characters, understand the relevant content of ancient Chinese architecture components pilla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중국고대 건축물 중 건축물의 건축과 공간에 대한 논문들은 많이 배출되어 있으나 건축물을 이루는 구성요소에 대한 언급이 적어 고대 중국인들은 그 당시 건축물 구성 요소들은 어떤 것들...

      중국고대 건축물 중 건축물의 건축과 공간에 대한 논문들은 많이 배출되어 있으나 건축물을 이루는 구성요소에 대한 언급이 적어 고대 중국인들은 그 당시 건축물 구성 요소들은 어떤 것들이 있고 어떻게 제작하였을까 하는 의구심으로 고대 중국의 한자를 집대성한 《說文解字》에서 그 해답을 찾고자 하였다. 건축물을 이루고 있는 구성요소 중 크게 나누면 지붕, 기둥, 벽으로 나누는데, 이들은 주로 집의 안정성과 관계가 있는 요소로 지붕을 받쳐주는 제일 중요한 요소이다. 그래서 고대건축의 구성요소 연구 첫 작업으로 기둥에 관한 연구를 하게 되었다. 먼저 고고학적인 측면에서 앙소문화와 양저문화, 이리두문화에서 그 흔적을 살펴보았다. 하상 이후 대형 궁실이 출현하면서 대들보의 응용범위도 광범위해 졌다. 기둥과 대들보는 고대 건축의 최대 요소 중의 하나로 棟梁과 유관한 한자들은 거의가 「木」 변을 따르고 성부를 첨가한 형성자가 대부분이다. 《說文解字》에서 건축의 기둥에 해당되는 글자 楹, 柱, 棟, 極, 桴, 楣, 杗, 梁 등의 글자들인데 이 한자들을 중심으로 중국고대 건축구성요소인 기둥에 관한 내용을 살펴보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任继昉, "釋名匯校" 齐鲁书社出版 2006

      2 高明, "論陶符兼談漢字的起源" (6) : 1984

      3 馬敘倫, "說文解字六書疏證" 鼎文書局 1975

      4 徐鉉, "說文解字" 中華書局 1963

      5 許愼, "說文解字" 書銘出版社 1984

      6 吕锦燕, "福建漳平奇和洞遗址一期文化石核的初步研究" 2015

      7 方述鑫, "甲骨金文字典" 巴蜀書社 1993

      8 徐中舒, "甲骨文字編" 四川出版社 2006

      9 徐中舒, "甲骨文字編" 四川出版社 2006

      10 中國科學院考古硏究所洛陽發掘隊, "河南偃師二里頭遺址發掘簡報" (5) : 1965

      1 任继昉, "釋名匯校" 齐鲁书社出版 2006

      2 高明, "論陶符兼談漢字的起源" (6) : 1984

      3 馬敘倫, "說文解字六書疏證" 鼎文書局 1975

      4 徐鉉, "說文解字" 中華書局 1963

      5 許愼, "說文解字" 書銘出版社 1984

      6 吕锦燕, "福建漳平奇和洞遗址一期文化石核的初步研究" 2015

      7 方述鑫, "甲骨金文字典" 巴蜀書社 1993

      8 徐中舒, "甲骨文字編" 四川出版社 2006

      9 徐中舒, "甲骨文字編" 四川出版社 2006

      10 中國科學院考古硏究所洛陽發掘隊, "河南偃師二里頭遺址發掘簡報" (5) : 1965

      11 徐中舒, "怎樣硏究中國古文字" 中華書局 15 : 1986

      12 楊鴻勛, "從盤龍城商代宮殿遺址談中國宮廷發展的幾個問題" (2) : 1976

      13 徐中舒, "徐中舒歷史論文選集⋅黃河流域穴居遺俗考" 中華書局 1998

      14 商務印書館, "廣韻" 上海商務印書館鉛印本 1939

      15 張明華, "太湖地區新石器時代的陶文" (10) : 1990

      16 "十三經注疏, 《禮記》" 藝文印書館 1985

      17 "十三經注疏, 《爾雅》" 藝文印書館 1985

      18 "十三經注疏, 《左傳》" 藝文印書館 1985

      19 "十三經注疏, 《儀禮注疏》" 藝文印書館 1985

      20 林會承, "先秦時期中國居住建築" 六合出版社 1984

      21 楊鴻勛, "仰韶文化居住建築發展問題的探討" 1975

      22 国家文物委员会, "中國文物報, 1989년 5월"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9 0.19 0.1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8 0.19 0.442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