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옹기장인들의 ‘신라토기’의 상품화과정과 전승지식의 활용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신라시대의 토기인 신라토기가 천 년의 세월을 넘어서서 새롭게 모조품으로 제작 판매되는 과정을 살핀 것이다. ‘신라토기 모조품’이 생산되기 시작한 시기는 1970년대인데, 왜 그리고 어떤 과정을 통해 시작되었는지를 당시의 문화재정책과 산업상황 등과 연관지어 살폈다. 그리고 ‘신라토기 모조품’은 당시의 도자제작기술상황을 고려할 때 매우 독특한 측면이 있는데, 과연 제작기술적으로 오랜 세월동안 전승이 단절되었던 신라토기의 제작이 어떻게 가능했는가 하는 점을 옹기장인들의 전승지식(傳承知識)의 결합으로 설명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주지역으로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신라토기의 모조품 제작생산은 국가적 차원에서 실시한 ‘지정 문화재 모조품 생산사업의 보호 육성 사업’의 일환으로 시작되었다. 1970년대 한국사회는 관광산업이 발달하지 못해 관광상품의 개발이 사회적으로 부진하였으며, 이런 이유에서 골동품들이 해외로 불법 유출되는 사례들이 많이 발생하였다. 이에 국가에서는 외국 관광객들을 상대로 문화재 모조품을 구매하도록 유도함으로써 문화재의 불법 유출을 막고, 관광객의 유치와 외화획득을 동시에 꾀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런 이유에서 옹기장인들을 중심으로 ‘신라토기 모조품 제작 지정업체’를 선정하였으며, 이것이 발단이 되어 신라토기 모조품 공방들이 생겨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당시 사양화되어 가던 옹기산업의 활로가 되기도 하였다.
      둘째, 신라토기 모조품이 제작되기 위해서는 기술적으로 해결되어야 할 과제가 있었는데, 그것은 신라토기가 갖는 고유한 회청색의 빛깔을 어떻게 재현하는가 하는 것이었다. 이는 당시 경주지역 옹기장인들이 구현할 수 없는 기술이었으며, 그 방법은 다른 지역에서 전승되던 질그릇의 소성방법에서 찾게 되었다. 결국 신라토기 모조품 생산은 경질의 옹기 제작기술과 연질의 질그릇 제작기술을 결합함으로써 비로소 가능하게 되었다. 곧 자신들의 옹기제작 전승지식에다가 타 지역에서 전승되던 질그릇의 소성(燒成)관련 전승지식을 새롭게 결합시켜서 ‘신라토기’라는 문화재 모조품 상품을 생산할 수 있게 되었다.
      이렇게 시작된 신라토기 모조품 제작기술은 문화재에만 한정되어 적용되지 않았으며, 이후 사회적으로 관광이 보다 활성화되면서 다양한 생활용품들도 신라토기 제작방식으로 생산하는 국면으로 변화하여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 이에는 웰빙(well-being)이라고 하는 건강담론도 크게 작용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신라시대의 토기인 신라토기가 천 년의 세월을 넘어서서 새롭게 모조품으로 제작 판매되는 과정을 살핀 것이다. ‘신라토기 모조품’이 생산되기 시작한 시기는 1970년대인데, 왜 ...

      이 연구는 신라시대의 토기인 신라토기가 천 년의 세월을 넘어서서 새롭게 모조품으로 제작 판매되는 과정을 살핀 것이다. ‘신라토기 모조품’이 생산되기 시작한 시기는 1970년대인데, 왜 그리고 어떤 과정을 통해 시작되었는지를 당시의 문화재정책과 산업상황 등과 연관지어 살폈다. 그리고 ‘신라토기 모조품’은 당시의 도자제작기술상황을 고려할 때 매우 독특한 측면이 있는데, 과연 제작기술적으로 오랜 세월동안 전승이 단절되었던 신라토기의 제작이 어떻게 가능했는가 하는 점을 옹기장인들의 전승지식(傳承知識)의 결합으로 설명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주지역으로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신라토기의 모조품 제작생산은 국가적 차원에서 실시한 ‘지정 문화재 모조품 생산사업의 보호 육성 사업’의 일환으로 시작되었다. 1970년대 한국사회는 관광산업이 발달하지 못해 관광상품의 개발이 사회적으로 부진하였으며, 이런 이유에서 골동품들이 해외로 불법 유출되는 사례들이 많이 발생하였다. 이에 국가에서는 외국 관광객들을 상대로 문화재 모조품을 구매하도록 유도함으로써 문화재의 불법 유출을 막고, 관광객의 유치와 외화획득을 동시에 꾀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런 이유에서 옹기장인들을 중심으로 ‘신라토기 모조품 제작 지정업체’를 선정하였으며, 이것이 발단이 되어 신라토기 모조품 공방들이 생겨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당시 사양화되어 가던 옹기산업의 활로가 되기도 하였다.
      둘째, 신라토기 모조품이 제작되기 위해서는 기술적으로 해결되어야 할 과제가 있었는데, 그것은 신라토기가 갖는 고유한 회청색의 빛깔을 어떻게 재현하는가 하는 것이었다. 이는 당시 경주지역 옹기장인들이 구현할 수 없는 기술이었으며, 그 방법은 다른 지역에서 전승되던 질그릇의 소성방법에서 찾게 되었다. 결국 신라토기 모조품 생산은 경질의 옹기 제작기술과 연질의 질그릇 제작기술을 결합함으로써 비로소 가능하게 되었다. 곧 자신들의 옹기제작 전승지식에다가 타 지역에서 전승되던 질그릇의 소성(燒成)관련 전승지식을 새롭게 결합시켜서 ‘신라토기’라는 문화재 모조품 상품을 생산할 수 있게 되었다.
      이렇게 시작된 신라토기 모조품 제작기술은 문화재에만 한정되어 적용되지 않았으며, 이후 사회적으로 관광이 보다 활성화되면서 다양한 생활용품들도 신라토기 제작방식으로 생산하는 국면으로 변화하여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 이에는 웰빙(well-being)이라고 하는 건강담론도 크게 작용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cess of imitated Sillatogi(Earthen ware of Silla Dynasty) being commercially reproduced beyond the long history of more than a thousand years. 'Imitated Sillatogi' was begun to be made in 1970s. The reason and the process of its initial commercialization was reviewed in terms of cultural assets policy and industrial circumstances of those days.

      'Imitated Sillatogi' has some unique characteristics that the earthen ware producing method of those days might have found its remake challenging, considering that the original Sillatogi producing method was not transmitted.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the cause of its remake in the collaboration of transmitted knowledge by earthen ware artisans.

      These are the findings of the study. Firstly, imitated Sillatogi producing project centered in Gyeongju was started as a part of 'national featherbed industry project of designated cultural items' imitation'. Tourism of Korea in 1970s was so underdeveloped that the souvenir manufacturing business was limited, which led the illegal drain of antiques overseas. The government tried to lead the foreign tourists to buy imitated antiques, which can prevent the illegal drain of cultural assets and attract foreign tourists as well as increase the acquisition of foreig
      번역하기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cess of imitated Sillatogi(Earthen ware of Silla Dynasty) being commercially reproduced beyond the long history of more than a thousand years. 'Imitated Sillatogi' was begun to be made in 1970s. The reason and the proce...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cess of imitated Sillatogi(Earthen ware of Silla Dynasty) being commercially reproduced beyond the long history of more than a thousand years. 'Imitated Sillatogi' was begun to be made in 1970s. The reason and the process of its initial commercialization was reviewed in terms of cultural assets policy and industrial circumstances of those days.

      'Imitated Sillatogi' has some unique characteristics that the earthen ware producing method of those days might have found its remake challenging, considering that the original Sillatogi producing method was not transmitted.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the cause of its remake in the collaboration of transmitted knowledge by earthen ware artisans.

      These are the findings of the study. Firstly, imitated Sillatogi producing project centered in Gyeongju was started as a part of 'national featherbed industry project of designated cultural items' imitation'. Tourism of Korea in 1970s was so underdeveloped that the souvenir manufacturing business was limited, which led the illegal drain of antiques overseas. The government tried to lead the foreign tourists to buy imitated antiques, which can prevent the illegal drain of cultural assets and attract foreign tourists as well as increase the acquisition of foreig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