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국립민속박물관, "한국세시풍속자료집성: 신문∙잡지편"
2 이훈상, "조선후기 읍치 사회의 구조와 제의: 향리집단의 정체성 혼란과 읍치제의의 유희화" 역사학회 147 : 1995
3 정형호, "자인팔광대의 복원과 연희적 특징에 따른 문제" 한국공연문화학회 (19) : 61-86, 2009
4 한양명, "자인단오제의 古形에 관한 탐색 -‘여원무’와 ‘호장굿’을 중심으로-" 한국공연문화학회 (19) : 5-33, 2009
5 홍태한, "자인단오제 큰굿의 구조 정립 모색" 한국공연문화학회 (19) : 35-60, 2009
6 김택규, "자인단오굿" 비교민속학회 13 : 1996
7 이창언, "인류학∙고고학 논총" 학연문화사 2012
8 "문화체육관광부"
9 이창언, "문화유산에 대한 새로운 인식: 보존과 활용을 중심으로" 18∙19 : 1998
10 석대권, "무형문화유산으로서 자인단오 ‘큰굿’의 복원과 전승에 관한 견해: 강릉단오굿과 비교하면서" 경산자인단오제 보존회∙한국지역문화예술연구회 2013
1 국립민속박물관, "한국세시풍속자료집성: 신문∙잡지편"
2 이훈상, "조선후기 읍치 사회의 구조와 제의: 향리집단의 정체성 혼란과 읍치제의의 유희화" 역사학회 147 : 1995
3 정형호, "자인팔광대의 복원과 연희적 특징에 따른 문제" 한국공연문화학회 (19) : 61-86, 2009
4 한양명, "자인단오제의 古形에 관한 탐색 -‘여원무’와 ‘호장굿’을 중심으로-" 한국공연문화학회 (19) : 5-33, 2009
5 홍태한, "자인단오제 큰굿의 구조 정립 모색" 한국공연문화학회 (19) : 35-60, 2009
6 김택규, "자인단오굿" 비교민속학회 13 : 1996
7 이창언, "인류학∙고고학 논총" 학연문화사 2012
8 "문화체육관광부"
9 이창언, "문화유산에 대한 새로운 인식: 보존과 활용을 중심으로" 18∙19 : 1998
10 석대권, "무형문화유산으로서 자인단오 ‘큰굿’의 복원과 전승에 관한 견해: 강릉단오굿과 비교하면서" 경산자인단오제 보존회∙한국지역문화예술연구회 2013
11 홍석모, "동국세시기: 한권으로 집대성한 우리나라의 세시풍속" 풀빛 2009
12 "국립무형유산원"
13 한양명, "고을축제로서 강릉단오제의 절차와 내용에 대한 검토" 한국공연문화학회 (18) : 563-598, 2009
14 황루시, "경산자인단오제의 특성과 세계문화유산 등재방안" 경산자인단오제 보존회∙한국지역문화예술연구회 2012
15 이병옥, "경산자인단오제 연행의 분야별 문제와 종합적 개선방안" 한국공연문화학회 (19) : 88-122, 2009
16 이병옥, "경산자인단오제 2011년도 연행과 2012년도 개선안" 경산자인단오제 보존회∙한국지역문화예술연구회 2012
17 "경산자인단오보존회"
18 황루시, "강릉단오제의 전통성과 지속성" 한국역사민속학회 2000
19 이경화, "강릉단오제의 전승과 변용: 1970년대의 전승 양상을 중심으로" 관동대학교 인문학연구소 15 : 2011
20 이경화, "강릉단오제의 전승 상황 연구" 관동대학교 대학원 2010
21 구정민, "강릉단오제 외국인 방문객 7만명 찾았다" 강원도민일보
22 "강릉단오제"
23 이규대, "강릉 국사성황제와 향촌사회의 변화 : 향리층 미타계를 중심으로" 한국역사민속학회 1998
24 김택규, "韓國農耕歲時의 硏究" 영남대학교출판부 1985
25 김용덕, "『한국 민속문화대사전』(상)" 창솔 2014
26 조영준, "‘경산자인단오제’ 5억 쓴 동네잔치" 경상매일신문
27 이훈상, "19세기 후반 향리 출신 노년 연령집단과 읍치의 제의 그리고 포퓰러 문화의 확산" 국립민속박물관 (27) : 5-34, 2010
28 이광우, "16~17세기 慶尙道 慈仁縣 復縣 과정과 이를 둘러싼 慈仁․慶州 지역 재지사족의 동향" 한국고문서학회 41 : 25-59,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