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다문화 가족의 지역사회 정착과 삶의 기억: 이민자 공생의 새로운 해법 찾기를 위한 학제적 접근 = A Study on the Settlement and Memories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Local Community: A New Multi-Disciplinary Approach to Context of Influx and Accommodation of Immigra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820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multicultural family means a family consisting of a marriage immigrant or a person with naturalization permission and a person with the nationality of the Republic of Korea. Traditionally, Korean society had been proud of keeping its single blood lineage. The single blooded society, however, had been challenged by immigrant people from primarily East Asian countries through marriage and labor needs since the early years of 2000s'. Due to transfer of capital and labor that has accompanied globalization, the cultural and racial composition of local society in Korea has diversified. So, this study focuses on public policy and the dilemmas faced by the governments of increasingly diverse societies.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haracteristics, determining factors and recommendations for adjustment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local community.
      This study is an multi-disciplinary approach betwee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This study tries to do a theoretical approach of how to realize the true multiculturalism in situation which has been reorganized rapidly into the multicultural society in local community.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was that the features of adjustment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local community were mainly determined by many factors. In conclusion, this study bring up the strategies of the actual conditions and the policy supports for multicultural families that are based on a development-background of multiculture, problems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policy supports for multicultural families.
      번역하기

      A multicultural family means a family consisting of a marriage immigrant or a person with naturalization permission and a person with the nationality of the Republic of Korea. Traditionally, Korean society had been proud of keeping its single blood li...

      A multicultural family means a family consisting of a marriage immigrant or a person with naturalization permission and a person with the nationality of the Republic of Korea. Traditionally, Korean society had been proud of keeping its single blood lineage. The single blooded society, however, had been challenged by immigrant people from primarily East Asian countries through marriage and labor needs since the early years of 2000s'. Due to transfer of capital and labor that has accompanied globalization, the cultural and racial composition of local society in Korea has diversified. So, this study focuses on public policy and the dilemmas faced by the governments of increasingly diverse societies.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haracteristics, determining factors and recommendations for adjustment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local community.
      This study is an multi-disciplinary approach betwee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This study tries to do a theoretical approach of how to realize the true multiculturalism in situation which has been reorganized rapidly into the multicultural society in local community.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was that the features of adjustment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local community were mainly determined by many factors. In conclusion, this study bring up the strategies of the actual conditions and the policy supports for multicultural families that are based on a development-background of multiculture, problems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policy supports for multicultural famil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우리나라 지역사회 차원에서 다문화 가족이 가진 삶의 경험과 기억의 자산을 규명하여 상호 공생으로나아갈 길을 제시하고, 향후 지역의 생활세계 차원에서 우리가 다문화 가족을 실효성 있게 도와줄 수 있는 방식을 학제적으로 제안하고자 하였다. 흔히 다문화 가족을 연구하는데 있어 이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이나 모국의 문화적 요인, 심리적 문제와 생애사 등은 인류학적 분석이나 질적 접근이 효과적이며, 이러한 자료가 연구의 토대가 되어야 한다. 반면에 다문화 가족에 대한 제도적 지원이나 환경적 제약, 각종 물적 지원의 문제 등에 대해서는 행정학적 분석과 객관적 접근이 효과적이다. 즉 다문화 가족의 삶과 정착에 관계된 각각의 요소나변인의 본질적 속성에 따라 효과적인 접근법이 다르고, 이는 다시 도출된 대안과 처방이 올바른 것이냐를 판가름하는 중요한 잣대가 될 수 있다. 실제적인 다문화 가족의 지역사회 정착과 삶에 대한 실태를 알기 위해서는학제간 접근이 효과적이라는 것이 관련 연구의 세계적인 추세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지금 지역사회에서 살아가는 다양한 이민자 및 다문화 가족이 가진 그간의 경험과 인식을 학제간 연구로 규명하였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에서 내국인과 다문화 가족이 상생으로 나아갈 길을 제시하고, 향후 정부와 시민사회 차원에서 체감도 높은 지원의 방식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나아가 다문화 가족에 대한 새로운 지원과 정책적 패러다임을 정립하고, 생활세계로서 다문화 가족의 삶의 질 제고와 이민자 공생을 위한 사회적 이해에도 기여하고자 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우리나라 지역사회 차원에서 다문화 가족이 가진 삶의 경험과 기억의 자산을 규명하여 상호 공생으로나아갈 길을 제시하고, 향후 지역의 생활세계 차원에서 우리가 다문화 가족...

      이 연구는 우리나라 지역사회 차원에서 다문화 가족이 가진 삶의 경험과 기억의 자산을 규명하여 상호 공생으로나아갈 길을 제시하고, 향후 지역의 생활세계 차원에서 우리가 다문화 가족을 실효성 있게 도와줄 수 있는 방식을 학제적으로 제안하고자 하였다. 흔히 다문화 가족을 연구하는데 있어 이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이나 모국의 문화적 요인, 심리적 문제와 생애사 등은 인류학적 분석이나 질적 접근이 효과적이며, 이러한 자료가 연구의 토대가 되어야 한다. 반면에 다문화 가족에 대한 제도적 지원이나 환경적 제약, 각종 물적 지원의 문제 등에 대해서는 행정학적 분석과 객관적 접근이 효과적이다. 즉 다문화 가족의 삶과 정착에 관계된 각각의 요소나변인의 본질적 속성에 따라 효과적인 접근법이 다르고, 이는 다시 도출된 대안과 처방이 올바른 것이냐를 판가름하는 중요한 잣대가 될 수 있다. 실제적인 다문화 가족의 지역사회 정착과 삶에 대한 실태를 알기 위해서는학제간 접근이 효과적이라는 것이 관련 연구의 세계적인 추세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지금 지역사회에서 살아가는 다양한 이민자 및 다문화 가족이 가진 그간의 경험과 인식을 학제간 연구로 규명하였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에서 내국인과 다문화 가족이 상생으로 나아갈 길을 제시하고, 향후 정부와 시민사회 차원에서 체감도 높은 지원의 방식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나아가 다문화 가족에 대한 새로운 지원과 정책적 패러다임을 정립하고, 생활세계로서 다문화 가족의 삶의 질 제고와 이민자 공생을 위한 사회적 이해에도 기여하고자 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부산광역시,

      2 우양호, "해항도시(海港都市) 부산의 도시성장 특성에 관한 연구 : 패널자료를 통한 성장원인의 규명(1965-2007)" 한국지방정부학회 14 (14): 135-157, 2010

      3 정명주, "한국의 지방자치단체 다문화 정책 실태 분석 - 2012 지방자치단체 외국인 정책 시행계획을 중심으로 -" 한국학연구소 (41) : 87-135, 2012

      4 박진경, "한국의 다문화주의와 다문화정책의 선택적 적용" 한국정책학회 19 (19): 259-288, 2010

      5 김희순, "커뮤니티 아트를 통한 다문화주의의 실천: 안산시 원곡동 ‘리트머스’의 사례" 국토지리학회 45 (45): 93-106, 2011

      6 우양호, "지역사회 다문화 정책의 문제점과 발전방향: 해항도시 부산의 ‘다문화거버넌스’ 구축 사례" 한국지방정부학회 17 (17): 393-418, 2013

      7 우양호, "지방정부 국제교류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도시간 자매결연을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4 (24): 393-422, 2010

      8 박진경, "중앙정부 공무원의 다문화정책 정향성에 작용하는 영향요인" 한국행정학회 44 (44): 191-217, 2010

      9 정명주, "정책수단 분석을 통해본 한국의 다문화 정책의 특성 −제1차 외국인정책기본계획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6 (26): 275-295, 2010

      10 법무부, "재한외국인 처우 기본법(법률 제8442호). 다문화 가족지원법(법률 제8937호)"

      1 부산광역시,

      2 우양호, "해항도시(海港都市) 부산의 도시성장 특성에 관한 연구 : 패널자료를 통한 성장원인의 규명(1965-2007)" 한국지방정부학회 14 (14): 135-157, 2010

      3 정명주, "한국의 지방자치단체 다문화 정책 실태 분석 - 2012 지방자치단체 외국인 정책 시행계획을 중심으로 -" 한국학연구소 (41) : 87-135, 2012

      4 박진경, "한국의 다문화주의와 다문화정책의 선택적 적용" 한국정책학회 19 (19): 259-288, 2010

      5 김희순, "커뮤니티 아트를 통한 다문화주의의 실천: 안산시 원곡동 ‘리트머스’의 사례" 국토지리학회 45 (45): 93-106, 2011

      6 우양호, "지역사회 다문화 정책의 문제점과 발전방향: 해항도시 부산의 ‘다문화거버넌스’ 구축 사례" 한국지방정부학회 17 (17): 393-418, 2013

      7 우양호, "지방정부 국제교류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도시간 자매결연을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4 (24): 393-422, 2010

      8 박진경, "중앙정부 공무원의 다문화정책 정향성에 작용하는 영향요인" 한국행정학회 44 (44): 191-217, 2010

      9 정명주, "정책수단 분석을 통해본 한국의 다문화 정책의 특성 −제1차 외국인정책기본계획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6 (26): 275-295, 2010

      10 법무부, "재한외국인 처우 기본법(법률 제8442호). 다문화 가족지원법(법률 제8937호)"

      11 우양호, "월경한 해항도시간 권역에서의 국제교류와 성공조건 : 부산과 후쿠오카의 ‘초국경경제권’ 사례" 한국지방정부학회 16 (16): 31-50, 2012

      12 우양호, "우리나라 도시 및 지방의 내향적 국제화 수준과 그 영향요인 : 거주외국인과의 ‘접촉과 화합’을 위한 과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6 (26): 193-222, 2012

      13 행정자치부, "외국인주민 지역별 통계 및 외국인주민 현황조사"

      14 현경자,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생활적응 측정도구 개발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1 (31): 63-100, 2011

      15 부산광역시, "여성가족정책관실 내부자료 및 2014년 다문화 가족 지원계획" 2014

      16 장진경, "심층면접을 통한 다문화 가족의 적응성 저해요인 분석" 47-63, 2008

      17 안미정, "부산 화교의 가족 분산과 국적의 함의" 부산경남사학회 (78) : 1-33, 2011

      18 안미정, "부산 사할린 영주귀국자의 이주와 가족" 부경역사연구소 (34) : 317-359, 2014

      19 김태원, "베트남 결혼이주민의 한국사회 적응과정과 가치갈등" 2 (2): 53-76, 2013

      20 법무부 출입국, "대한민국 체류외국인 통계(2005-2011)" 2012

      21 여중철, "다문화가족의 형성과 문화적 적응" 민족문화연구소 (44) : 351-388, 2010

      22 김형수, "다문화가족의 지역사회 적응을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과 과제" 사회과학연구원 부설 동북아연구소 26 (26): 267-288, 2011

      23 홍성희, "다문화가족의 문화차이 인식과 문화적응의 양상" 한국가정관리학회 30 (30): 153-172, 2012

      24 송지현, "다문화가족 부부의 결혼적응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0 (30): 164-192, 2010

      25 장진경, "다문화 부부간 개인적 특성이 부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360-365, 2012

      26 한국행정학회, "다문화 가족의 적응과 우리사회의 대응: 다문화 가족 부부 및 자녀를 중심으로" 2009

      27 한승미, "국제화 시대의 국가, 지방 자치체, 그리고 ‘이민족 시민(ethnic citizen)’: 동경도 정부의 ‘다문화주의’ 실험과 재일 한국/조선인에의 함의" 한국문화인류학회 43 (43): 263-305, 2010

      28 장한나, "결혼이주여성의 지역사회 적응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 로컬거버넌스 관점에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4 (24): 121-155, 2010

      29 성향숙, "결혼이민여성의 지역사회적응 특성" 한국콘텐츠학회 11 (11): 307-316, 2011

      30 전국시도지사협의회, "거주외국인정책"

      31 행정자치부, "거주외국인 지원 표준조례안, 외국인 지역사회통합 업무추진지침" 2014

      32 Levitt, P., "Transnational Migration Studies: Past Developments and Future Trends" 33 (33): 129-156, 2007

      33 Ipsen, D., "The Socio-spatial Conditions of the Open City: A Theoretical Sketch" 29 (29): 644-653, 2005

      34 Fleras, A., "The Politics of Multiculturalism: Multicultural Governance in Comparative Perspective" Palgrave Macmillan 1-288, 2009

      35 Dworkin, A. G., "The Minority Report: An Introduction to Racial, Ethic, and Gender Relations" Harcourt Brace College Publishers 1-87, 1999

      36 Kelly, C., "The Cross-Cultural Adaptability Iinventory Manual" National Computer System 1995

      37 Castles, S., "The Age of Migration: International Population Movements in the Modern World(Third Edition)" The Guilford Press 1-154, 2009

      38 Haklai, O., "State Mutability and Ethnic Civil Society: The Palestinian Arab Minority in Israel" 32 (32): 864-882, 2009

      39 Goonewarddena, K., "Spaces of Difference: Reflections from Toronto on Multiculturalism. Bourgeois Urbanism and the Possibility of Radical Urban Politics" 29 (29): 670-678, 2005

      40 이학식, "SPSS20.0 매뉴얼" 집현재 2013

      41 Hall, P. M., "Race, Ethnicity and Multiculturalism: Policy and Practice" Garland Publishers 89-114, 1997

      42 Johnson, K. R., "National Identity in a Multicultural Nation: The Challenge of Immigration Law and Immigrants" 103 (103): 1347-1390, 2005

      43 Good, K. R., "Municipalities and Multiculturalism: The Politics of Immigration in Toronto and Vancouver"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45, 2009

      44 Nelson, H., "Multiculturalism in the New Japan:Crossing the Boundaries Within" Berghahn Press 1-250, 2008

      45 Kivisto, P., "Multiculturalism in a Global Society" Blackwell Publishing 1-83, 2002

      46 McGoldrick, D., "Multiculturalism and its Discontents" 5 (5): 27-56, 2005

      47 Kelly, P., "Multiculturalism Reconsidered: Culture and Equality and its Critics" 21-47, 2002

      48 Dunn, K., "Multicultural Policy within Local Government in Australia" 38 (38): 2477-2494, 2001

      49 Tsuneyoshi, R, "Minorities and Multiculturalism in Japanese Education: An Interactive Perspective" Routledge 1-26, 2011

      50 Ryder, A. G., "Is Acculturation Unidimensional of Bidimensional?: A Head-to-Head Comparison in the Prediction of Personality, Self-Identity, and Adjustment" 79 (79): 49-65, 2000

      51 Kymlicka, W., "Citizenship in Diverse Societies" Oxford University Press 1-244, 2000

      52 Berry, J. W., "Acculturation and Adaptation. in Handbook of Cross Cultural Psychology" Allyn & Bacon 291-326,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7 1.27 1.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4 1.4 1.372 0.5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