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정책대상집단의 사회적 구성에 대한 탐색적 지형화(mapping) 연구: 사회적 구성주의의 이론적 과제와 확장 = Exploratory Mapping of Social Construction of the Policy Target Groups of Korea: The Theoretical Tasks and Expansion of Social Constructionis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820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started with the question of whether the policy target groups of social constructionism presented by Ingram, Schneider and deLeon are the same in Korea and if not, how the target groups of Korea are constructed and perceived. In other words,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present the policy targets in Korea that are different from those in the United States, to examine the policy targets that were highly fluid and those that were not fluid during the period of investigating the target groups in Korea from 2008 to 2012, to examine which of the four policy types (benefit, assertion, dependence, and breakaway) Korea is concentrated in, and to derive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As the method of analysis, the analysis of the texts and contents of the newspaper articles from 2008 to 2012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n 2008, most groups except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were perceived as breakaway groups, and it is considered that in 2008, school violence and suicide, etc. became social issue and the image of the policy target groups in relation to this was generally low. Second, in 2009, the policy target groups were classified as the breakaway groups but showed the aspect of the social construction position moving toward the middle level through the overall rising of their social images. Third, in 2010,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howed a strong inclination of a dependence group but children were in the same position as in 2008 and 2009. Children were still relatively low in social images compared with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but their power was on a slightly high level. Fourth, unlike the United States, in the policy target groups in Korea, adolescents and children were differentiated from each other and multicultural families were being discussed as an important target group. Fifth, it was confirmed that the same groups as in the United States were scientists as the benefit group, big companies /CEOs /labor unions as the assertion group, the disabled and children as the dependence group, and single mothers and criminals as the breakaway group.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utilized as useful information for policymakers to make policies along with theoretical expansion of social constructionism.
      번역하기

      This research started with the question of whether the policy target groups of social constructionism presented by Ingram, Schneider and deLeon are the same in Korea and if not, how the target groups of Korea are constructed and perceived. In other wo...

      This research started with the question of whether the policy target groups of social constructionism presented by Ingram, Schneider and deLeon are the same in Korea and if not, how the target groups of Korea are constructed and perceived. In other words,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present the policy targets in Korea that are different from those in the United States, to examine the policy targets that were highly fluid and those that were not fluid during the period of investigating the target groups in Korea from 2008 to 2012, to examine which of the four policy types (benefit, assertion, dependence, and breakaway) Korea is concentrated in, and to derive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As the method of analysis, the analysis of the texts and contents of the newspaper articles from 2008 to 2012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n 2008, most groups except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were perceived as breakaway groups, and it is considered that in 2008, school violence and suicide, etc. became social issue and the image of the policy target groups in relation to this was generally low. Second, in 2009, the policy target groups were classified as the breakaway groups but showed the aspect of the social construction position moving toward the middle level through the overall rising of their social images. Third, in 2010,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howed a strong inclination of a dependence group but children were in the same position as in 2008 and 2009. Children were still relatively low in social images compared with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but their power was on a slightly high level. Fourth, unlike the United States, in the policy target groups in Korea, adolescents and children were differentiated from each other and multicultural families were being discussed as an important target group. Fifth, it was confirmed that the same groups as in the United States were scientists as the benefit group, big companies /CEOs /labor unions as the assertion group, the disabled and children as the dependence group, and single mothers and criminals as the breakaway group.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utilized as useful information for policymakers to make policies along with theoretical expansion of social constructionis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Ingram, Schneider, & deLeon에 의해 제시된 사회적 구성주의의 정책대상집단은 한국에서도 동일한지, 그렇지 않다면 한국의 대상집단은 어떻게 구성되고 인식되고 있는지에 대한 궁금증으로부터 출발하였다. 즉, 미국과 비교해 한국에서 차이가 나는 정책대상이 무엇인지 제시하고, 한국의 정책대상이 조사기간인 2008년에서 2012년까지 년도별로 유동성이 높은 정책대상과 그렇지 않은 정책대상을 확인하여, 한국은 주로 4가지 정책유형(수혜, 주장, 의존, 이탈)에서 어느 영역에 편중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 이론적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에서 연구가 수행되었다. 분석방법으로는 2008년도부터 2012년도 까지의 신문기사를 중심으로 텍스트 및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2008년에는 중소기업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일탈집단으로 인식되고 있었는데, 2008년에 학교폭력 문제, 자살문제 등이 사회적으로 매우 이슈화 되었고 이에 관련 정책대상집단의 이미지도 전체적으로 낮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2009년에는 정책대상집단은 2008년처럼 일탈집단 분류되었지만, 전체적으로 사회적이미지의 상승을 통해 사회적 구성의 위치가 중간수준으로 이동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셋째, 2010년도 중소기업은 의존집단의 성향이 강하였던데 비해 아동은 2008년과 2009년의 위치하였다. 아동은 여전히 중소기업에비해서 상대적으로 사회적 이미지가 조금 낮고, 권력은 조금 높은 수준이었다. 넷째, 미국과 달리 한국의 정책대상집단에서는 청소년과 아동을 구분하여 다루고 있었으며, 다문화가정이 중요한 대상으로 논의되고 있었다. 다섯째, 미국과의 비교에서 동일한 집단으로 수혜집단의 과학자, 주장집단의 대기업/CEO/노동조합, 의존집단의장애인과 아동, 일탈집단의 미혼모, 범죄자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사회적 구성주의의 이론적확장과 함께 정책실무자이 정책을 만드는 과정에서 유용한 정보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Ingram, Schneider, & deLeon에 의해 제시된 사회적 구성주의의 정책대상집단은 한국에서도 동일한지, 그렇지 않다면 한국의 대상집단은 어떻게 구성되고 인식되고 있는지에 대한 궁금증으로부터 ...

      Ingram, Schneider, & deLeon에 의해 제시된 사회적 구성주의의 정책대상집단은 한국에서도 동일한지, 그렇지 않다면 한국의 대상집단은 어떻게 구성되고 인식되고 있는지에 대한 궁금증으로부터 출발하였다. 즉, 미국과 비교해 한국에서 차이가 나는 정책대상이 무엇인지 제시하고, 한국의 정책대상이 조사기간인 2008년에서 2012년까지 년도별로 유동성이 높은 정책대상과 그렇지 않은 정책대상을 확인하여, 한국은 주로 4가지 정책유형(수혜, 주장, 의존, 이탈)에서 어느 영역에 편중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 이론적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에서 연구가 수행되었다. 분석방법으로는 2008년도부터 2012년도 까지의 신문기사를 중심으로 텍스트 및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2008년에는 중소기업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일탈집단으로 인식되고 있었는데, 2008년에 학교폭력 문제, 자살문제 등이 사회적으로 매우 이슈화 되었고 이에 관련 정책대상집단의 이미지도 전체적으로 낮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2009년에는 정책대상집단은 2008년처럼 일탈집단 분류되었지만, 전체적으로 사회적이미지의 상승을 통해 사회적 구성의 위치가 중간수준으로 이동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셋째, 2010년도 중소기업은 의존집단의 성향이 강하였던데 비해 아동은 2008년과 2009년의 위치하였다. 아동은 여전히 중소기업에비해서 상대적으로 사회적 이미지가 조금 낮고, 권력은 조금 높은 수준이었다. 넷째, 미국과 달리 한국의 정책대상집단에서는 청소년과 아동을 구분하여 다루고 있었으며, 다문화가정이 중요한 대상으로 논의되고 있었다. 다섯째, 미국과의 비교에서 동일한 집단으로 수혜집단의 과학자, 주장집단의 대기업/CEO/노동조합, 의존집단의장애인과 아동, 일탈집단의 미혼모, 범죄자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사회적 구성주의의 이론적확장과 함께 정책실무자이 정책을 만드는 과정에서 유용한 정보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동규, "초점사건(focusing event)은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 Birkland의 수정된 ERPL(Event-Related Policy Learning) 모형을 적용한 성매매특별법 정책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정책학회 24 (24): 391-432, 2015

      2 서인석, "정책유형과 정책대상집단에 따른 정책결정 소요시간: 발의 법률안의 통과기간의 영향요인 탐색연구" 한국행정학회 47 (47): 55-83, 2013

      3 김명환, "사회적 형성주의 관점에서의 정책연구: 대상 집단의 사회적 형성이론과 적용" 한국정책학회 14 (14): 31-56, 2005

      4 서인석, "사회의 압력이나 제도적 특성은정책결정기간을 변화시키는가- 발의법률안 통과기간의 영향요인을 중심으로 -" 한국정책학회 23 (23): 35-64, 2014

      5 김대성, "문화정책 변동의 담론분석: 사회적 구성주의의 비판적 재해석" 경인행정학회 12 (12): 83-99, 2012

      6 은재호, "문제정의(problem definition)가 정책변동에미치는 영향 : 프랑스 AIDS 정책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41 (41): 243-264, 2007

      7 Schneider, Anne, "The Social Construction of Target Populations" 87 (87): 334-346, 1993

      8 Lasswell. Harold D., "The Policy Orientation, The Policy Sciences: Recent Developments in Scope and Method" Stanford University Press 1951

      9 Hunter, Caroline., "The Discourse of Housing Debt: The Social Construction of Landlords, Lenders, Borrowers and Tenants. Housing" 16 (16): 165-178, 1999

      10 Nicholson-Crotty, Jill., "Social Construction and Policy Implementation:Inmate Health as a Public Health Issue" 85 (85): 240-256, 2004

      1 이동규, "초점사건(focusing event)은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 Birkland의 수정된 ERPL(Event-Related Policy Learning) 모형을 적용한 성매매특별법 정책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정책학회 24 (24): 391-432, 2015

      2 서인석, "정책유형과 정책대상집단에 따른 정책결정 소요시간: 발의 법률안의 통과기간의 영향요인 탐색연구" 한국행정학회 47 (47): 55-83, 2013

      3 김명환, "사회적 형성주의 관점에서의 정책연구: 대상 집단의 사회적 형성이론과 적용" 한국정책학회 14 (14): 31-56, 2005

      4 서인석, "사회의 압력이나 제도적 특성은정책결정기간을 변화시키는가- 발의법률안 통과기간의 영향요인을 중심으로 -" 한국정책학회 23 (23): 35-64, 2014

      5 김대성, "문화정책 변동의 담론분석: 사회적 구성주의의 비판적 재해석" 경인행정학회 12 (12): 83-99, 2012

      6 은재호, "문제정의(problem definition)가 정책변동에미치는 영향 : 프랑스 AIDS 정책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41 (41): 243-264, 2007

      7 Schneider, Anne, "The Social Construction of Target Populations" 87 (87): 334-346, 1993

      8 Lasswell. Harold D., "The Policy Orientation, The Policy Sciences: Recent Developments in Scope and Method" Stanford University Press 1951

      9 Hunter, Caroline., "The Discourse of Housing Debt: The Social Construction of Landlords, Lenders, Borrowers and Tenants. Housing" 16 (16): 165-178, 1999

      10 Nicholson-Crotty, Jill., "Social Construction and Policy Implementation:Inmate Health as a Public Health Issue" 85 (85): 240-256, 2004

      11 Ingram, Helen., "Social Construction and Policy Design" 93-126, 2007

      12 Menahem, Gila., "Policy Paradigms, Policy Networks and Water Policy in Israel" 18 (18): 283-310, 1998

      13 deLeon, Peter, "POLICY PROCESS RESEARCH AND DEMOCRACY: ACOMMENTARY ON LASSWELL'S VISION" 3-16, 2010

      14 Campbell, Andrea., "How Policies Make Citizens: Senior Political Activism and the American Welfare Stat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3

      15 DiAlto, Stephanie., "From “problem minority” to “Model Minority”: The Changing Social Construction of Japanese Americans. In Deserving and Entitled: Social Construction of Public Polic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81-110, 2005

      16 Czech, Brian., "Economic Associations among Causes of Species Endangerment in the United States" 50 (50): 593-601, 2000

      17 Houston, David J., "Drinking-and-Driving in America: A Test of Behavioral Assumptions Underlying Public Policy" 57 (57): 53-64, 2004

      18 Soss, Joe., "Deserving and Entitled: Social Constructions and Public Policy" SUNY Press 291-328, 2005

      19 Ingram, Mrill., "Creating Credible Edibles: The Organic Agriculture Movement and the Emergence of U. S. Federal Organic Standards" 121-148, 2006

      20 Mettler, Suzanne., "Bringing the State Back in to Civic Engagement: Policy Feedback Effects of the G. I. Bill for World War II Veterans" 96 (96): 351-365, 2002

      21 Lantz, P. M., "A sociopolitical analysis of a disease-specific expansion of Medicaid" 13 : 79-92, 2003

      22 Soss, Joe., "A Public Transformed? Welfare Reform as Policy Feedback" 101 (101): 111-127,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7 1.27 1.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4 1.4 1.372 0.5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