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조형적 특성이 문화상품에 미치는 영향 - 의복에 적용된 전통문양 중심으로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0048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현대 조형예술은 시간이 갈수록 점차 속도와 범위가 확장되고, 이러한 변화는 우리의 생활문화에 조형미를 접목하는 흐름으로 이어져 여러 나라에서 자국을 대표하는 문화상품을 개발하여 부가가치를 높여주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의복은 세계 어느 나라이든 그 나라의 특색을 가장 잘 반영하고 있는 문화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의복에 적용된 우리의 전통문양에는 민족의 혼이 담긴 연원이 깃들어 있고 자연에 순응하며 섬세하고 고상하게 우리 전통의 아름다움을 내포하고 있다. 문화상품이 상업화되면서 의복의 상품화와 그 가치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관점에서 접근이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문헌들을 참고하여 의복에 적용한 대표적인 전통문양의 조형적 특성을 파악하고 사례를 통해 검증하며 향후 발전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한 나라의 특색을 가장 잘 보여줄 수 있는 의복과 우리나라의 전통문양이 결합됐을 때 그 시너지 효과는 더욱 커질 수 있다. 의복이란 상품을 통해 정체성을 바로 찾을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그 나라의 위상을 전 세계적으로 전파할 수 있는 충분한 매개가 될 수 있는 것이다. 한국의 고유문화나 전통성이 소멸되어 가고 있는 시점에 심미성만을 목적에 두고 의복이라는 상품을 생산하는 것은 우리 민족 고유의 정신이 점차 소멸되어 가는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현대사회의 흐름에 맞추어 개성있고 창의적이며 누구든 공감할 수 있는 특별한 전통의복을 개발하여 그 뿌리를 이어갈 수 있어야 한다. 고유의 전통문양에 뚜렷한 상징과 정체성, 가치를 담아 재탄생된 의복은 한국 고유의 전통성을 잃지 않고 상품의 가치를 높에 만들 수 있는 계기로 작용할 것이다. 또한 점점 장인이라는 전통 계승자들의 부재는 우리 민족의 혼을 사라지게 하는 하나의 요소가 되고 있으며 이는 산·학간의 협력을 통해 정부의 지원을 받아 우리의 전통을 이어갈 수 있는 젊은 인재의 양성에도 소홀하여서는 안된다. 이러한 젊은 인재들은 전통의상디자이너들과의 교류를 통해 우리 전통문양이라는 문화유산의 가치를 창조하고 기능적인 형태와 색체, 그리고 전통문양의 조화를 이룰 수 있는 한국의 전통의복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현대 조형예술은 시간이 갈수록 점차 속도와 범위가 확장되고, 이러한 변화는 우리의 생활문화에 조형미를 접목하는 흐름으로 이어져 여러 나라에서 자국을 대표하는 문화상품을 개발하여 ...

      현대 조형예술은 시간이 갈수록 점차 속도와 범위가 확장되고, 이러한 변화는 우리의 생활문화에 조형미를 접목하는 흐름으로 이어져 여러 나라에서 자국을 대표하는 문화상품을 개발하여 부가가치를 높여주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의복은 세계 어느 나라이든 그 나라의 특색을 가장 잘 반영하고 있는 문화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의복에 적용된 우리의 전통문양에는 민족의 혼이 담긴 연원이 깃들어 있고 자연에 순응하며 섬세하고 고상하게 우리 전통의 아름다움을 내포하고 있다. 문화상품이 상업화되면서 의복의 상품화와 그 가치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관점에서 접근이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문헌들을 참고하여 의복에 적용한 대표적인 전통문양의 조형적 특성을 파악하고 사례를 통해 검증하며 향후 발전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한 나라의 특색을 가장 잘 보여줄 수 있는 의복과 우리나라의 전통문양이 결합됐을 때 그 시너지 효과는 더욱 커질 수 있다. 의복이란 상품을 통해 정체성을 바로 찾을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그 나라의 위상을 전 세계적으로 전파할 수 있는 충분한 매개가 될 수 있는 것이다. 한국의 고유문화나 전통성이 소멸되어 가고 있는 시점에 심미성만을 목적에 두고 의복이라는 상품을 생산하는 것은 우리 민족 고유의 정신이 점차 소멸되어 가는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현대사회의 흐름에 맞추어 개성있고 창의적이며 누구든 공감할 수 있는 특별한 전통의복을 개발하여 그 뿌리를 이어갈 수 있어야 한다. 고유의 전통문양에 뚜렷한 상징과 정체성, 가치를 담아 재탄생된 의복은 한국 고유의 전통성을 잃지 않고 상품의 가치를 높에 만들 수 있는 계기로 작용할 것이다. 또한 점점 장인이라는 전통 계승자들의 부재는 우리 민족의 혼을 사라지게 하는 하나의 요소가 되고 있으며 이는 산·학간의 협력을 통해 정부의 지원을 받아 우리의 전통을 이어갈 수 있는 젊은 인재의 양성에도 소홀하여서는 안된다. 이러한 젊은 인재들은 전통의상디자이너들과의 교류를 통해 우리 전통문양이라는 문화유산의 가치를 창조하고 기능적인 형태와 색체, 그리고 전통문양의 조화를 이룰 수 있는 한국의 전통의복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odern plastic art is expanding its scale and speed as time passes. This change has led to a trend where a lot of countries develop their own cultural products which can take a role of increasing added value. Clothes is one of the culture that could reflect country's characteristics no matter which country. Our traditional patterns applied to theses clothes have the root of our spirit and connotate the beauty of our tradition delicately and elegantly while being in sympathy with nature. As cultural products becomes commercialized, various accesses have been tried to research the commercialization and value of clothes. We will apprehend plastic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patterns and find the ways to improve by taking a look at examples. Synergy effect can be bigger when the clothes that show country's characteristic and Korea's traditional patters combine. Clothes let us to find our identity. Futhermore, It could be the vector which delivers the status of the nation. Producing clothes thinking only its aesthetic perspective could lead to a situation where our traditional spirit disappear. That is why we should develop unique and creative traditional clothes that anyone can understand. If clothes have traditional patterns with its symbol, identity and value, it will let us conserve our tradition and increase the value of products. Decreasing number of master craftsmen can be overcome by academic-industrial cooperation and this will lead to continuation of out tradition. Working hard to training the upcoming generation is important. These people will make effort to develop clothes with traditional patterns by interchanging opinions with traditional clothes designers.
      번역하기

      Modern plastic art is expanding its scale and speed as time passes. This change has led to a trend where a lot of countries develop their own cultural products which can take a role of increasing added value. Clothes is one of the culture that could r...

      Modern plastic art is expanding its scale and speed as time passes. This change has led to a trend where a lot of countries develop their own cultural products which can take a role of increasing added value. Clothes is one of the culture that could reflect country's characteristics no matter which country. Our traditional patterns applied to theses clothes have the root of our spirit and connotate the beauty of our tradition delicately and elegantly while being in sympathy with nature. As cultural products becomes commercialized, various accesses have been tried to research the commercialization and value of clothes. We will apprehend plastic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patterns and find the ways to improve by taking a look at examples. Synergy effect can be bigger when the clothes that show country's characteristic and Korea's traditional patters combine. Clothes let us to find our identity. Futhermore, It could be the vector which delivers the status of the nation. Producing clothes thinking only its aesthetic perspective could lead to a situation where our traditional spirit disappear. That is why we should develop unique and creative traditional clothes that anyone can understand. If clothes have traditional patterns with its symbol, identity and value, it will let us conserve our tradition and increase the value of products. Decreasing number of master craftsmen can be overcome by academic-industrial cooperation and this will lead to continuation of out tradition. Working hard to training the upcoming generation is important. These people will make effort to develop clothes with traditional patterns by interchanging opinions with traditional clothes designe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영문초록
      • I. 서론
      • 1. 연구배경 및 목적
      • 2. 연구범위 및 방법
      • 영문초록
      • I. 서론
      • 1. 연구배경 및 목적
      • 2. 연구범위 및 방법
      • II. 전통문양의 이론적 고찰
      • 1. 전통문양의 개념
      • 2. 한국 전통문양의 역사
      • 3. 전통문양의 조형적 특성
      • 4. 전통문양의 분류
      • 5. 전통문양의 필요성 및 활용
      • III. 조형의 시대적 배경
      • 1. 조형의 의미
      • 2. 조형의 구성요소
      • 3. 조형의 원리
      • IV. 한국 의복에서 보여지는 전통문양에 대한 사례분석
      • 1. 전통복식에 나타난 전통문양의 조형적 특성
      • 2. 의복에 적용된 전통문양의 사례분석을 통한 의복마케팅
      • 3. 의복에 나타나는 전통문양에 대한 사례분석 제언
      • V.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