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 December of 1921, Gyomindan(僑民團) was officially established in Tianjin area. TainjinGyomindan consolidated the existing Hanminhoi, as well as the Young Men’s Association(靑年會) and the House Wives’ Association(婦人會), and was form...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729836
양지선 (단국대학교)
2016
Korean
Tianjin Gyomindan(天津僑民團) ; Yeojingoryeoindongjehoi(旅津高麗人同濟會) ; Kim Jeong(金政) ; Han Minje(韓民濟) ; Euiyeoldan(義烈團) ; (多勿團) ; 천진교민단 ; 여진고려인동제회 ; 김정 ; 삼일유치원 ; 한교민단 ; 의열단 ; 다물단
KCI등재
학술저널
173-206(34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n December of 1921, Gyomindan(僑民團) was officially established in Tianjin area. TainjinGyomindan consolidated the existing Hanminhoi, as well as the Young Men’s Association(靑年會) and the House Wives’ Association(婦人會), and was form...
On December of 1921, Gyomindan(僑民團) was officially established in Tianjin area. TainjinGyomindan consolidated the existing Hanminhoi, as well as the Young Men’s Association(靑年會) and the House Wives’ Association(婦人會), and was formed according to the Article 7 of Gymindan Regulation in the Ministry of Interior’s Order No.4. Gyomindan was activated and maintained by Korean immigrants’ obligatory money. However, Gyomindan that annually held the Independence Memorial Ceremony took a lot of debts and suffered from the debts for the ceremony.
At this time, Yeojingoryeoindongjehoi(旅津高麗人同濟會) was organized in Tianjin, and the organization began to function as Gymindan which became not so active. While Gyomindan tried to hold its general meeting in 1924 and to reorganize the system, personnels of Yeojingoryeoindongjehoi dominated the power of Gyomindan’s steering committee. Eventually, the head of Gyomindan, Kim Jeong, expelled Han Minje and Yi Weonik from Gyomindan, and organized a detached force to maintain his authority. As such disorders continued, the status of Gyomindan fell down and the support for Gyomindan drastically decreased. In order to resolve the situation Yu Segwan became the head of Gyomindan.
While Yu Segwan was elected for the head through the process of re-election, actually it was nothing but the new formation of Gyomindan. As Yu Segwan became the head, the activities of Gyomindan shifted from propagation such as the annual 3ㆍ1 memorial ceremony to educational affairs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the 3ㆍ1 Kindergarten.
국문 초록 (Abstract)
천진교민단은 대한민국임시정부 내무부령 제4호 교민단제에 의해 조직되었다. 교민단은 한민회를 중심으로 청년회와 부인회 등 천진지역의 각종 군소 한인단체들의 통합을 기반으로 하였...
천진교민단은 대한민국임시정부 내무부령 제4호 교민단제에 의해 조직되었다. 교민단은 한민회를 중심으로 청년회와 부인회 등 천진지역의 각종 군소 한인단체들의 통합을 기반으로 하였다. 교민단은 천진지역 한인들의 의무금으로 유지되었으나, 교민들의 의무금만으로 단을 유지하고 활동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어 활동에 제약을 받았다.
그러나 민단시기와 달리 교민단은 재정난에도 불구하고 임시정부로부터 인적ㆍ물적 지원을 받을 수 없었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교민단장 김정은 재선을 통해 새로운 세력을 받아들이기 시작했다. 주현측과 박일경 등 흥사단원들이 대표적이다. 교민단 내에서 흥사단 계열이 함께 활동하면서 천진지역에서 국민대표회 개최 준비가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1923년 천진에서 여진고려인동제회가 조직되었다. 동제회의 존재는 교민단에 타격을 주었다. 두 단체 모두 천진지역 한인들을 기반으로 운영되고 있었기 때문이다. 1923년에는 매년 개최해 오던 3ㆍ1기념식과 국치기념행사도 거행하지 못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교민단은 새로운 재정확보 방안을 모색했고, 천진에 미육군으로 주둔하고 있던 이치겸을 통해 『신한민보』에 글을 싣고 독립전쟁자금 모집을 시도하였다.
결국 재정 악화로 활동을 중단한 교민단은 동제회 인사들을 수용하게 되었고, 이들이 교민단의 의사결정 기구인 의사회를 통해 교민단을 사실상 장악하였다. 그런데 이때 한민제와 이원익의 독립원조발언 사건이 알려지면서 교민단장 김정이 이 사실을 『독립신문』에 싣고 교민단에서 그들을 공식적으로 제명시켰다.
단에서 이들을 제명한지 얼마 지나지 않아 단장 김정의 단비 횡령 사실이 알려지고 말았다. 이 사건으로 김정은 교민단장에서 해임되었다. 그러나 김정은 자신의 자리를 지키기 위해 별동대를 창설하고 지지세력을 모아 단장직을 유지하려 했다. 이 때문에 천진지역 내 교민단의 위상이 추락하였고, 교민들의 지원이 감소하면서 사실상 교민단은 해체 위기에 놓이게 되었다.
1926년 4월 1일 교민단원들이 김정을 배제하고 간부를 새롭게 선출해 유세관이 단장에 선출되었다. 단명 역시 한교민단으로 변경하는 등 교민단의 쇄신을 통해 해체위기에서 벗어나고자 했다. 김정의 단비횡령사건으로 의열단과 다물단 계열이 교민단의 전면에 나서게 된 것이다.
한교민단의 해체 역시 의열단과의 관련성을 입증해 준다. 나석주의사의 투탄의거로 한교민단의 간부 최천호, 이승춘 등이 피체되었고, 이후 남아 있던 단원들 역시 중국 각지로 뿔뿔이 흩어졌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교민단이 운영해 오던 삼일유치원 또한 문을 닫고 말았다. 이후 천진지역에서 한교민단의 활동은 더 이상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不逞團關系雜件-朝鮮人의部 在支那各地(3)"
2 박태원, "약산과 의열단" 백양서당 1947
3 독립운동사편찬회, "독립운동사(4)" 고려서림 1983
4 국사편찬위원회,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31" 2009
5 "関東都督府政況報告並雑報"
6 李圭昌, "運命의餘燼" 寶蓮閣 1992
7 "獨立新聞"
8 "東亞日報"
9 "朝鮮統治史料"
10 天津居留民團, "天津居留民團二十週年紀念志" 天津居留民團 1930
1 "不逞團關系雜件-朝鮮人의部 在支那各地(3)"
2 박태원, "약산과 의열단" 백양서당 1947
3 독립운동사편찬회, "독립운동사(4)" 고려서림 1983
4 국사편찬위원회,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31" 2009
5 "関東都督府政況報告並雑報"
6 李圭昌, "運命의餘燼" 寶蓮閣 1992
7 "獨立新聞"
8 "東亞日報"
9 "朝鮮統治史料"
10 天津居留民團, "天津居留民團二十週年紀念志" 天津居留民團 1930
11 조규태, "天津 不變團의 조직과 활동"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3) : 193-222, 2004
12 "北支那"
13 "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 部-在支那各地(4)"
14 "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 部-在支那各地(2)"
15 "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 部-在支那各地(1)"
16 양지선, "1930년대 중국 천진지역 한인들의 교육실태와 전시동원체제" 동양학연구원 (57) : 89-109, 2014
잡지 『朝鮮公論』의 1910년대 사설에 나타난 조선통치론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1 | 0.81 | 0.7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5 | 0.66 | 1.616 | 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