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속한 도시화와 함께 증가된 집중호우는 도시지역의 침수를 증가시켜왔다. 증가된 도시침수는 큰 피해를 유발시켜왔으며, 특히 중심상업지구의 피해규모는 더욱 심각하였다. 본 연구는 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급속한 도시화와 함께 증가된 집중호우는 도시지역의 침수를 증가시켜왔다. 증가된 도시침수는 큰 피해를 유발시켜왔으며, 특히 중심상업지구의 피해규모는 더욱 심각하였다. 본 연구는 도...
급속한 도시화와 함께 증가된 집중호우는 도시지역의 침수를 증가시켜왔다. 증가된 도시침수는 큰 피해를 유발시켜왔으며, 특히 중심상업지구의 피해규모는 더욱 심각하였다. 본 연구는 도시의 침수저감을 위하여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최적의 대안을 제시하고자하였다.
이를 위하여 다목적 최적화알고리즘과 유출모형인 SWMM을 연계하여 최적 저류지 산정모형을 구축하였다. 본 모형은 최대 침수저감율과 최소 시설비용을 목적함수로 분산형 소규모 저류조의 위치별 규모를 결정한다. 연구지역에 SWMM과 연계된 최적화 모형을 적용한 결과 도시침수 저감을 위한 대안으로 최적의 분산형 소규모 저류지의 실무적용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creased heavy rainfall with rapid urbanization has increased flooding in urban area. Increased urban flooding has been caused serious damage especially more at the central commercial distri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optimum alte...
Increased heavy rainfall with rapid urbanization has increased flooding in urban area. Increased urban flooding has been caused serious damage especially more at the central commercial distri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optimum alternative for economical and efficient reduction of the flooding in the city. To this end, a multi-purpose optimization algorithms in conjunction with the SWMM was constructed to estimate the optimal pond. The model with the maximum flooding reduction ratio and the minimum facilities cost to the objective to determine the location-specific small-scale distributed storage pond. The result of applying this optimal model linked with SWMM to the study area showed the practical applicability of optimal distributed type storage pond in the alternative to reduce urban flooding.
참고문헌 (Reference)
1 조덕준, "확률강우량을 초과하는 호우사상의 발생특성 분석" 한국방재학회 12 (12): 309-313, 2012
2 류승현,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도심지하저류조 최적위치와 규모 선정" 한국방재학회 12 (12): 285-290, 2012
3 이나은, "도시지역의 최적 홍수저류지 설계에 관한 연구" 동서대학교 대학원 2013
4 이정호, "다목적 최적화 기법을 이용한 도시유역 경계 결정 및 우수관망 최적 설계" 한국방재학회 12 (12): 303-307, 2012
5 정재학, "다목적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우수유출 저류지 최적화 방안" 한국수자원학회 41 (41): 1211-1218, 2008
6 강태욱, "SWMM과 FLUMEN을 이용한 수영․망미 저지대의 침수 분석" 한국방재학회 10 (10): 149-158, 2010
7 김기욱, "SWMM 모의이력 DB 기반의 도시침수 위험지역 분석모델" 한국방재학회 12 (12): 217-222, 2012
8 이정호, "SWMM 매개변수 민감도를 고려한 도시지하저류조 최적위치 선정" 한국방재학회 13 (13): 295-301, 2013
9 Lin, S.-S., "Integrating legacy components into a software system for storm sewer simulation" 21 : 1129-1140, 2006
10 Park, C.H., "Determination of Optimal Reservoir Locations Using Multi-Objective Genetic Algorithm" 2012
1 조덕준, "확률강우량을 초과하는 호우사상의 발생특성 분석" 한국방재학회 12 (12): 309-313, 2012
2 류승현,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도심지하저류조 최적위치와 규모 선정" 한국방재학회 12 (12): 285-290, 2012
3 이나은, "도시지역의 최적 홍수저류지 설계에 관한 연구" 동서대학교 대학원 2013
4 이정호, "다목적 최적화 기법을 이용한 도시유역 경계 결정 및 우수관망 최적 설계" 한국방재학회 12 (12): 303-307, 2012
5 정재학, "다목적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우수유출 저류지 최적화 방안" 한국수자원학회 41 (41): 1211-1218, 2008
6 강태욱, "SWMM과 FLUMEN을 이용한 수영․망미 저지대의 침수 분석" 한국방재학회 10 (10): 149-158, 2010
7 김기욱, "SWMM 모의이력 DB 기반의 도시침수 위험지역 분석모델" 한국방재학회 12 (12): 217-222, 2012
8 이정호, "SWMM 매개변수 민감도를 고려한 도시지하저류조 최적위치 선정" 한국방재학회 13 (13): 295-301, 2013
9 Lin, S.-S., "Integrating legacy components into a software system for storm sewer simulation" 21 : 1129-1140, 2006
10 Park, C.H., "Determination of Optimal Reservoir Locations Using Multi-Objective Genetic Algorithm" 2012
11 Kim, S.J., "A study on optimized locations and size of regional detention facilities using SWMM-GA coupling method"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759-763, 2008
12 Pathirana, A., "A simple 2-D inundation model for incorporating flood damage in urban drainage planning" 5 : 3061-3097, 2008
13 Kang, D.K., "A Study on Flood Analysis for Reducing the Flood Damage in Urban Area" 279-282, 2011
14 Lee, J.J., "A Hydrological Analysis of Location Related Variables for the Detention Pond in Urban Area" 1405-1408, 2007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3 | 0.43 | 0.4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1 | 0.4 | 0.602 | 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