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박미옥, "한국 지방정부의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실태분석: 광주시 북구청과 울산시 동구청 사례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인사행정학회 5 (5): 131-167, 2006
2 박형근, "참여예산제 도입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정책혁신과 확산에 관한 이론을 중심으로" 2013 (2013): 431-451, 2013
3 "지자체 예산제도 개선, 주민참여 활성화한다"
4 하능식, "지역의 인구구조가 지방재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방재정학회 12 (12): 77-98, 2007
5 박형근, "지방정부의 재정혁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주민참여예산제도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재정학회 17 (17): 165-192, 2012
6 최상한, "지방정부 주민참여예산제도의 확산과 영향요인" 한국행정학회 44 (44): 87-113, 2010
7 강윤호, "지방정부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채택과 정치이념" 한국지방자치학회 23 (23): 29-54, 2011
8 엄태호, "지방정부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제도화 수준에 미친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국가정책연구소 27 (27): 39-64, 2013
9 최길수, "지방정부 주민참여예산제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18 : 145-168, 2014
10 유훈, "지방재정론" 법문사 2015
1 박미옥, "한국 지방정부의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실태분석: 광주시 북구청과 울산시 동구청 사례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인사행정학회 5 (5): 131-167, 2006
2 박형근, "참여예산제 도입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정책혁신과 확산에 관한 이론을 중심으로" 2013 (2013): 431-451, 2013
3 "지자체 예산제도 개선, 주민참여 활성화한다"
4 하능식, "지역의 인구구조가 지방재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방재정학회 12 (12): 77-98, 2007
5 박형근, "지방정부의 재정혁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주민참여예산제도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재정학회 17 (17): 165-192, 2012
6 최상한, "지방정부 주민참여예산제도의 확산과 영향요인" 한국행정학회 44 (44): 87-113, 2010
7 강윤호, "지방정부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채택과 정치이념" 한국지방자치학회 23 (23): 29-54, 2011
8 엄태호, "지방정부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제도화 수준에 미친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국가정책연구소 27 (27): 39-64, 2013
9 최길수, "지방정부 주민참여예산제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18 : 145-168, 2014
10 유훈, "지방재정론" 법문사 2015
11 정형기, "지방자치단체의 정치경제 성향이 주민참여예산제도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연구: 전국 기초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2016
12 안완기, "주민참여예산제의 효율적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7 : 74-76, 2008
13 손희준, "주민참여예산제의 전면 실시에 거는 기대"
14 송광운, "주민참여예산제도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광주광역시 북구를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9
15 임동욱, "주민참여예산제도의 현실적 한계"
16 이정철,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정책확산에 관한 연구: 사건사분석 모형을 중심으로"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6 (26): 29-58, 2016
17 주현정,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운영 성과 요인 분석" 한국지방재정학회 22 (22): 169-189, 2017
18 김애진,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수준이 지방정부의 부패 감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정부학회 21 (21): 117-155, 2017
19 최우용, "주민참여예산제도의 내용과 성공요건" 232 : 35-38, 2007
20 곽채기, "주민참여예산제도의 기본모형과 운영시스템 설계방안" 한국지방재정학회 10 (10): 247-276, 2005
21 안성민, "주민참여예산제도의 경험과 성과 : 5개 자치구를 중심으로" 한국정부학회 21 (21): 1369-1397, 2009
22 곽채기, "주민참여예산제도와 지역 NGO의 역할"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3 (23): 123-1158, 2003
23 배정아, "주민참여예산제도를 통한 지방정부의 숙의민주주의의 가능성 분석" 한국거버넌스학회 24 (24): 259-277, 2017
24 김애진, "주민참여예산제도가 지방재정 운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지방보조금과 행사・축제 경비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재정학회 22 (22): 95-140, 2017
25 남수경, "주민참여예산제도가 지방교육재정의 운용 성과에 미친 영향 분석"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6 (26): 1-23, 2017
26 권자경, "주민참여예산제도가 주민주권강화에 미친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전국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21 (21): 217-239, 2017
27 안성민, "주민참여예산제도-포르투 알레그레시의 사례" 134 : 139-148, 2005
28 이지문, "주민참여예산제도 효과의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서울시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19 (19): 121-145, 2015
29 유홍성, "주민참여예산제도 활성화 방안 - 인천 남구지역을 중심으로 -" 인천학연구원 1 (1): 223-250, 2014
30 임성일, "주민참여예산제도 활성화 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5
31 김경범, "주민참여예산제도 활성화 및 참여의사에 미치는 영향요인 - 주민참여예산제도 참여위원의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 한국콘텐츠학회 16 (16): 589-600, 2016
32 안성민, "주민참여예산제도 사례분석:울산광역시 동구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11 (11): 201-222, 2008
33 남승우, "주민참여예산제 유형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자치행정학회 27 (27): 91-112, 2013
34 김정희, "주민참여예산제 운영의 참여성과 심의성 연구 - 서울, 부산, 대구 3개 광역도시를 중심으로 -" 한국지방자치학회 28 (28): 77-104, 2016
35 임성일, "주민참여 예산제도의 의의주민참여 예산제도의 의의와 성공적 실시방안" 44 : 3-42, 2011
36 이광원, "정책변동론적 관점에서의 주민참여예산제도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수원시 주민참여예산 조례 개정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 25 (25): 209-231, 2013
37 장인봉, "재정개선을 위한 주민참여예산제도의 활성화요인에 관한 인식조사와 정책적 함의- 주민참여예산위원과 공무원의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자치행정학회 28 (28): 187-208, 2014
38 김도희, "울산지역 로컬 거버넌스(Local Governance)의 성과와 한계:주민참여예산제와 주민배심원제의 정책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15 (15): 131-158, 2006
39 전주상, "예산과정상의 주민참여제도에 관한 연구: 주민참여예산제도의 국내외 사례 비교분석" 한국정당학회 7 (7): 189-216, 2008
40 최충익, "알기 쉬운 연구방법론: 패널모형: 시계열 분석과 횡단면 분석을 한번에" 320 : 120-127, 2008
41 진보신당 서울시당, "서울시 25개 자치구 주민참여예산제 시행 1년 평가와 대안" 진보신당 2012
42 금천풀뿌리자치연구모임, "서울시 25개 자치구 주민참여예산제 검토보고서" 금천풀뿌리 2011
43 윤영진, "새지방재정론" 대영문화사 2016
44 나중식, "브라질 알레그레시의 주민참여예산제도 - 성공요인과 한계 -" 한국정부학회 16 (16): 457-482, 2004
45 김형준, "노무현 정부에서 참여정치의 신장과 한계" 한국의회발전연구회 10 (10): 57-91, 2004
46 Bautigam, D., "The People’s Budget? Politics, Participation, and Pro-poor Policy" 22 (22): 653-668, 2004
47 Koonings, K., "Strengthening citizenship in Brazil’s democracy : Local participatory governance in Porto Alegre" 23 (23): 79-99, 2004
48 민인식, "STATA 패널데이터 분석" 한국STATA학회 2009
49 Baierle, S., "Participatory Democracy" Black Rose Books 270-291, 2005
50 World Bank, "Participatory Budgeting: Toolkit for Local Governments in Albania"
51 Novy, A., "Participatory Budgeting in Porto Alegre: Social Innovation and the Dialectical Relationship of State and Civil Society" 42 (42): 2023-2036, 2005
52 Sintomer, Y., "Participatory Budgeting in Europe: Potentials and Challenges" 32 (32): 164-178, 2008
53 Wampler, B., "Participatory Budgeting in Brazil: Contestation, Cooperation, and Accountability" Pennsylvania State Press 2007
54 Folscher, A., "Participatory Budgeting" The World Bank 2007
55 Goldfrank, B., "Participatory Budgeting" The World Bank 2007
56 Baiocchi, G., "Participation, Activism, and Politics: The Porto Alegre Experiment and Deliverative Democratic Theory" 29 (29): 43-72, 2001
57 Munck, R., "Neoliberalism, necessitarianism and alternatives in Latin America: there is no alternative?" 24 (24): 495-511, 2003
58 Fung, A., "Deepening Democracy : Innovations in Empowered Participatory Governance" 29 (29): 5-41, 2001
59 좋은예산센터, "2013년 주민참여예산조사 보고서: 주민참여예산 의사소통 및 결정사례" 좋은예산센터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