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메타버스에서의 퍼포먼스 – 2020년대 해외공연을 중심으로 – = Performance on the metaverse - Focusing on overseas performances in the 2020s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031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metaverse from the point of view of performance studies and, based on this, tries to look at the performance aesthetics of the metaverse by targeting overseas metaverse performances. First of all, in the first part of the main ...

      This study examines the metaverse from the point of view of performance studies and, based on this, tries to look at the performance aesthetics of the metaverse by targeting overseas metaverse performances. First of all, in the first part of the main body, metaverse users, metaverse space, and time are approached from the perspective of performance research. The second part examines the performance aesthetics of overseas performances on the metaverse based on this. The British National Theater Company's Draw Me Close: A Memoir (2020), Avatar Artist LaTurbo Avedon's Your Progress Will Be Saved: Artist Tour with LaTurbo Avedon (2020), and ULTRAWORLD (2021) by Susanne Kennedy, were considered. The metaverse technology is currently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and the metaverse performance is also evolving, so this discussion has an essay on metaverse performance. The performance aesthetics in the metaverse are as follows.
      First, the appearance of an avatar as 'I am not me' and an actor who is a metahuman or digital twin, changes the way we do, see, and experience performance. The fragmented self of indeterminacy and duality, that is, a new aspect of an actor in which human-flesh and non-human-machine are mixed produces an experience in which the audience can confirm their alterity.
      Second, the avatar's virtual body interacts with the user's real body. The avatar's body-image is essentially placed in a relationship with the user's actual body. The avatar's virtual body cannot be regarded as a fully digitized, de-embodied body. Rather, it becomes an intermediary between the computer screen and the actual body of the user. The moment of interac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body of the avatar, which is traversed by my body, functions 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occurrence of transformational events through the performance in the metaverse.
      Third, the performance space on the metaverse implies a ‘heterotopia’ character. It produces a space that exists in reality but does not exist in reality. It is a world within the world, but it is a place without a place, and it is also a world outside the world. The space is psychedelic, ambiguous, instantaneous, personal, and context-dependent.
      Fourth, the performance of the metaverse calls for a time of absence rather than presence. The metaverse performance embodies the absence of a performance, not a presence. Absence is not an emptiness or lack, but an emotional resonance, an extension, and an expectation of presence. If the aesthetics of avant-garde performance in the 20th century was based on the aesthetics of presence, the aesthetics of metaverse performance in the 21st century would be based on the aesthetics of absence.
      It is necessary to interpret the performance aesthetic from a long-term perspective beyond the temporary interest sparked by the pandemic crisis concerning the performance on the metaverse. The discussion in this paper will have significance as a starting poi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연행 연구(performance studies)의 관점에서 메타버스를 검토하고, 이에 기반해 해외의 메타버스 공연 사례를 대상으로 메타버스에서의 퍼포먼스 미학을 조망해 보려 한다. 우선 본론 ...

      이 연구는 연행 연구(performance studies)의 관점에서 메타버스를 검토하고, 이에 기반해 해외의 메타버스 공연 사례를 대상으로 메타버스에서의 퍼포먼스 미학을 조망해 보려 한다. 우선 본론 첫 번째 부분에서는 메타버스 이용자, 메타버스 공간 및 시간을 연행 연구의 시각으로 접근한다. 본론 두 번째 부분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메타버스 상에서 펼쳐지는 해외 공연들의 퍼포먼스 미학을 규명한다. 대상은 영국 국립극단의 Draw Me Close: A Memoir(2020), 아바타 아티스트 아베던(LaTurbo Avedon)의 Your Progress Will Be Saved: Artist Tour with LaTurbo Avedon(2020), 그리고 한국에서도 초청되었던 독일 폴크스뷔네의 연출가 케네디(Susanne Kennedy)의 ULTRAWORLD(2021)다. 메타버스 기술이 현재 발전 과정 중에 있고, 메타버스 공연 또한 진화하고 있는 중이어서 본 논의는 시론적 성격을 지닌다. 메타버스에서의 퍼포먼스 미학을 예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내가 아닌 것도 아닌 나’로서의 아바타, 더 나아가 메타휴먼 혹은 디지털 트윈인 연기자의 등장에 의해 공연이 생산되고 수용되며 경험되는 양상이 변화된다. 비결정성과 이중성의 분열된 자아, 즉 인간-살과 비인간-기계가 혼합된 새로운 양상의 연기자를 통해 관객은 자신의 타자성(alterity)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아바타의 가상적 몸이 이용자의 실제적 몸과 상호행위함에 따라 아바타의 몸-이미지는 본질적으로 이용자의 실제적 몸과의 관계성 속에 놓이게 된다. 아바타의 가상적 몸은 완벽히 디지털화된 탈체현의 몸이라고 볼 수 없다. 그보다 컴퓨터 스크린과 이용자의 실제적 몸 사이의 중재자가 된다. 이용자와 아바타의 상호행위의 순간 실제 나의 몸에 의해 횡단되는 아바타의 몸은 메타버스에서의 퍼포먼스에 의해 변형의 사건이 발발하는 데에 중요 요소로 기능한다.
      셋째, 메타버스 상의 퍼포먼스 공간은 ‘헤테로토피아’적 성격을 함축하고 있다. 현실에 있지만 현실에는 없는 공간을 생산한다. 세계 안의 세계이지만, 장소 없는 장소이고, 세계 밖 세계이기도 하다. 그 공간은 환각적이고, 모호하며, 순간적이고, 개인적, 맥락의존적이다.
      넷째, 메타버스의 퍼포먼스는 현존이 아닌 부재의 시간을 부른다. 메타버스 공연은 현존의 공연이 아니라 부재의 공연을 형상화한다. 부재는 공허함, 결여가 아니라 정서적 공명이고, 확장이며, 현존에 대한 기대감을 낳는다. 20세기 아방가르드 퍼포먼스의 미학이 현존의 미학에 기초하였다면 21세기 메타버스 퍼포먼스의 미학은 부재의 미학에 기반할 것이다.
      메타버스에서의 공연과 관련해 팬데믹 위기로 촉발된 일시적 관심을 넘어서 장기적인 안목에서 공연미학을 해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고의 논의는 그 시발점으로서 유의미성을 가지리라 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김상균, "메타버스 : 디지털 지구, 뜨는 것들의 세상" 플랜비디자인 2020

      2 "https://biz.chosun.com/it-science/ict/2022/04/28/OCEAY6GW2FGBJJQ SQVNMGNZ5VY/"

      3 Baer, Leonard D., "The outside and inside in Norwegian and English prisons" 90 (90): 205-216, 2008

      4 Van der Merwe, "The metaverse as virtual heterotopia" 1-11, 2021

      5 Artaud, Antonin, "The Theater and Its Double, Mary Caroline Richards" Grove Press 1958

      6 Yee, Nick, "The Proteus Effect : The Effect of Transformed Self-Representation on Behavior" 33 (33): 271-290, 2007

      7 Sacks, Oliver, "The Man Who Mistook His Wife for a Hat and Other Clinical Tales" Picador classic 2015

      8 West-Pavlov, Russell, "Space in Theory : Kristeva, Foucault, Deleuze" Rodopi 2009

      9 Schechner, Richard, "Performance studies : an introduction" Routledge 2002

      10 Foucault, Michel, "Of Other Spaces" 16 (16): 22-27, 1986

      1 김상균, "메타버스 : 디지털 지구, 뜨는 것들의 세상" 플랜비디자인 2020

      2 "https://biz.chosun.com/it-science/ict/2022/04/28/OCEAY6GW2FGBJJQ SQVNMGNZ5VY/"

      3 Baer, Leonard D., "The outside and inside in Norwegian and English prisons" 90 (90): 205-216, 2008

      4 Van der Merwe, "The metaverse as virtual heterotopia" 1-11, 2021

      5 Artaud, Antonin, "The Theater and Its Double, Mary Caroline Richards" Grove Press 1958

      6 Yee, Nick, "The Proteus Effect : The Effect of Transformed Self-Representation on Behavior" 33 (33): 271-290, 2007

      7 Sacks, Oliver, "The Man Who Mistook His Wife for a Hat and Other Clinical Tales" Picador classic 2015

      8 West-Pavlov, Russell, "Space in Theory : Kristeva, Foucault, Deleuze" Rodopi 2009

      9 Schechner, Richard, "Performance studies : an introduction" Routledge 2002

      10 Foucault, Michel, "Of Other Spaces" 16 (16): 22-27, 1986

      11 Baker, Camille, C., "New Directions in Mobile Media and Performance" Routledge 2020

      12 Popat, Sita, "Missing in Action : Embodied Experience and Virtual Reality" 68 (68): 357-378, 2016

      13 Dwivedi, Yogesh K., "Metaverse beyond the hype :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s on emerging challenges, opportunities, and agenda for research, practice and policy" 66 : 1-55, 2022

      14 Smart, John, "Metaverse Roadmap Overview" Acceleration Studies Foundation 1-28, 2007

      15 Mystakidis, Stylianos, "Metaverse" 2 : 486-497, 2022

      16 Merleau-Ponty, "Maurice, Phenomenology of perception" Routledge & Kegan Paul 1962

      17 Reis, António Baía, "From video streaming to virtual reality worlds : an academic, reflective, and creative study on live theatre and performance in the metaverse" 18 (18): 7-28, 2022

      18 Dixon, Steve, "Digital performance: a history of new media in theater, dance, performance art, and installation" MIT Press 2007

      19 Nalbant, Kemal, "A Look At The New Humanity : Metaverse and Metahuman" 7 : 7-13, 202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