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 상담자의 양극화 경험에 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실존치료적 제언 = An Autobiographical Narrative Inquiry into University Counselors’ Experiences of Polarization: Suggestions for Existential Therap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779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significance of polarization issues in counseling sessions with university students using university counselors’ autobiographical narratives and to examine their person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significance of polarization issues in counseling sessions with university students using university counselors’ autobiographical narratives and to examine their person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counselors. Two advanced counselo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three dimensional narration inquiry space narrative structure and autobiographical narrative inquiry methodology developed by Clandinin and Connelly (2007). The identified themes were ①facing emotional distress, ②encountering you through my answer, ③finding similarities with the counselor’s personal experience of polarization ④understanding despite differences, ⑤depolarization, ⑥progressing from the self to a social community, and ⑦finding the value of life within the client’s sentiment In order to derive theoretical understanding and practical tasks from this study, we discuss the results from the perspective of existential therapy and finally indicate the importance of this study and needs for further research.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상담자의 내러티브를 매개로 하여 대학생 내담자와의 상담 장면에서 양극화 주제에 대한 호소가 가지는 의미가 무엇인지 알아보고, 이것이 상담자 개인의 양극화 경...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상담자의 내러티브를 매개로 하여 대학생 내담자와의 상담 장면에서 양극화 주제에 대한 호소가 가지는 의미가 무엇인지 알아보고, 이것이 상담자 개인의 양극화 경험과 상담자에게 주는 실천적인 의미와 어떤 시사점을 가질 수 있는지 탐색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대학상담센터 상담자 2명이 직접 연구 대상자로 참여하였으며, Clandinin과 Connelly(2007)가 제시한 3차원 내러티브 탐구 공간과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절차에 따라 연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불편한 감정과 마주하다>, 둘째 <나의 답으로 너를 만나다>, 셋째 <상담자 개인의 양극화 경험과 맞닿다(경제적 양극화: 위축과 고립감, 성별의 양극화: 분노와 혼란>, 넷째 <서로 다르지만 통하다>, 다섯째 <탈양극화하기(나를 표현하기, 관계 안에 서 성장하기)>, 여섯째 <개인에서 사회 공동체로 나아가다>, 일곱째 <내담자 정서에서 삶의 가치 찾기(원하는 삶으로 들어가기, 성장 동기 스포트라이트 비추기)>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 대해 이론적 이해와 실천적 과제를 도출하기 위하여, 실존 치료적 입장에서 제언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중요성과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 론 방 법 결 과 논 의
      • 서 론 방 법 결 과 논 의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Emcke, Carolin, "혐오사회" 다산지식하우스 2017

      2 이재철, "한국사회의 양극화와 세계화 그리고 시민사회" 21세기정치학회 19 (19): 237-260, 2009

      3 최율, "한국 사회 양극화에 대한 계급론적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4 김경희, "초심상담자들의 상담전공 입문 전 자기 치유 경험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한국상담학회 4 (4): 1-26, 2019

      5 김명화, "초심 수퍼바이저의 수퍼비전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교육인류학회 20 (20): 135-172, 2017

      6 이지언, "청소년상담자가 되어가는 삶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18

      7 차민정, "집합주의문화가 청년실업에 대한 불안 지각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18 (18): 27-51, 2012

      8 오효정, "집단따돌림 피해경험을 가진 대학생의 관계적 삶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상담심리학회 31 (31): 101-128, 2019

      9 정용교, "지방대학생의 입장에서 바라본 학벌주의 실태와 대안"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60 (60): 699-724, 2012

      10 이영아, "전문상담교사의 학교적응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교육연구소 21 (21): 141-168, 2015

      1 Emcke, Carolin, "혐오사회" 다산지식하우스 2017

      2 이재철, "한국사회의 양극화와 세계화 그리고 시민사회" 21세기정치학회 19 (19): 237-260, 2009

      3 최율, "한국 사회 양극화에 대한 계급론적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4 김경희, "초심상담자들의 상담전공 입문 전 자기 치유 경험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한국상담학회 4 (4): 1-26, 2019

      5 김명화, "초심 수퍼바이저의 수퍼비전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교육인류학회 20 (20): 135-172, 2017

      6 이지언, "청소년상담자가 되어가는 삶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18

      7 차민정, "집합주의문화가 청년실업에 대한 불안 지각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18 (18): 27-51, 2012

      8 오효정, "집단따돌림 피해경험을 가진 대학생의 관계적 삶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상담심리학회 31 (31): 101-128, 2019

      9 정용교, "지방대학생의 입장에서 바라본 학벌주의 실태와 대안"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60 (60): 699-724, 2012

      10 이영아, "전문상담교사의 학교적응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교육연구소 21 (21): 141-168, 2015

      11 이지혜, "저소득층 대학생들의 진로준비과정에서의 성별·전공별 특성에 대한 사례연구: 텍스트 빈도분석과 연관분석의 적용"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6 (16): 61-69, 2018

      12 Miller, S. D., "유능한 상담자의 심리치료: 내담자에게집중하라" 학지사 2016

      13 곽금주, "심리학적 관점에서의 소셜 미디어" 2012 : 683-688, 2012

      14 고윤희, "상담자의 전문성 발달 과정에 대한 연구: 자기성찰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상담심리학회 26 (26): 805-839, 2014

      15 변상우, "상담자의 사회계층 편향성에 대한탐색적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8

      16 김경희, "상담자의 돌봄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중급수준의 여성 상담자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18 (18): 91-110, 2017

      17 유성경, "상담자 전문성 발달 수준에 따른자기 대화 내용의 차이 분석" 한국상담심리학회 17 (17): 789-812, 2005

      18 이충효, "상담수련생의 생애 첫 집단상담 공동리더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원격교육연구소 15 (15): 53-78, 2019

      19 손난희, "상담성과 측정을 위한 상담성과척도(Outcome Questionnaire-30: OQ-30)의 타당화" 한국상담학회 13 (13): 1-15, 2012

      20 김수진, "상담 분야의 내러티브 탐구 동향분석(2009년∼2018년)" 한국질적탐구학회 5 (5): 63-89, 2019

      21 박찬국, "삶은 왜 짐이 되었는가" 21세기북스 2017

      22 Tillich, Paul, "사랑, 힘, 그리고 정의" 한들출판사 2017

      23 김순영, "불평등과 한국의 민주주의" 아세아문제연구원 49 (49): 38-68, 2006

      24 김경근, "방과후학교는 사회양극화 해소에기여할 수 있는가" 19 (19): 1-27, 2009

      25 김정훈, "민주화 20년의 한국사회: 기로에 선 한국 민주주의" 비판사회학회 (74) : 34-65, 2007

      26 박민선, "미술치료사의 치료몰입에 관한 자전적 탐구" 한국재활심리학회 25 (25): 503-524, 2018

      27 최재혁, "두 여성의 상담자로의 진로전환 경험이야기" 한국콘텐츠학회 17 (17): 514-526, 2017

      28 최은주, "두 여성 학교상담사의 자녀양육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콘텐츠학회 18 (18): 197-209, 2018

      29 박도미, "대학생 학자금 융자제도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3

      30 장재윤, "대졸자들의 취업 여부에 따른 정신건강의 변화" 한국심리학회 25 (25): 65-87, 2006

      31 김규학, "노무현 정부에서의 양극화 연구 : 경제·사회·지역 양극화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4

      32 Clandinin, D. J., "내러티브 탐구의 이해와실천" 교육과학사 2019

      33 Clandinin, D. J., "내러티브 탐구: 교육에서의 질적 연구의 경험과사례" 교육과학사 2007

      34 심윤정, "기업 상담자의 기업 내 적응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대기업 내 여성 상담자를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13 (13): 1819-1843, 2012

      35 염지숙, "교육 연구에서 내러티브 탐구(Narrative Inquiry)의 개념, 절차, 그리고 딜레마" 6 (6): 119-140, 2003

      36 Van Deurzen, E., "Skills in existential counselling & psychotherapy" Sage 2016

      37 Spinelli, E., "Practising existential therapy: The relational world" Sage 2014

      38 주은선, "Narrative Inquiry on the Actual Experience of a Supervisory Relationship in Korea" 한국콘텐츠학회 17 (17): 619-636, 2017

      39 Freeman, M., "Handbook of narrative inquiry: Mapping a methodology" 120-145, 2007

      40 Van Deurzen, E., "Existential counselling & psychotherapy in practice" Sage 2012

      41 Saleh, M., "Autobiographical narrative inquiry: Tellings and retellings" 7 (7): 271-282, 2014

      42 김지경, "20대 청년 심리·정서 문제 및 대응방안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0-04-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발달지원학회 -> 한국발달지원학회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Society for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