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프로농구구단의 CSR활동 평가가 팀 브랜드 연상 및 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9169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valuation of CSR activities on team brand associations and team loyalty. Toward this end, a total of 312 spectators attending a professional basketball game held in the Jamsil Gymnasium on Nov, 2016 was conveniently selected and responded to the survey questionnaire. 300 usable questionnaires were finally utilized to data analyses. Data analyses included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with PASW 18.0.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1) CSR evaluation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 on on team brand association, (2) CSR evalu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eam loyalty, and (3) team brand associations positively affected team loyalty. Additional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opportunities were discussed and suggest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valuation of CSR activities on team brand associations and team loyalty. Toward this end, a total of 312 spectators attending a professional basketball game held in the Jamsil Gym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valuation of CSR activities on team brand associations and team loyalty. Toward this end, a total of 312 spectators attending a professional basketball game held in the Jamsil Gymnasium on Nov, 2016 was conveniently selected and responded to the survey questionnaire. 300 usable questionnaires were finally utilized to data analyses. Data analyses included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with PASW 18.0.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1) CSR evaluation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 on on team brand association, (2) CSR evalu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eam loyalty, and (3) team brand associations positively affected team loyalty. Additional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opportunities were discussed and suggest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결과
      • Ⅳ. 논의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결과
      • Ⅳ. 논의
      • Ⅴ.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지송, "한국프로농구연맹의 출범과정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2 한기훈, "프로축구팀의 공익연계 마케팅이 팀 이미지와 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47 (47): 223-233, 2008

      3 이건희, "프로야구팀 브랜드 인지, 연상 및 브랜드자산의 관계" 한국체육학회 45 (45): 347-358, 2006

      4 박진기, "프로야구구단의 CSR활동과 스포츠팬의 호혜성 지각 및팬 행동의 인과관계 분석" 한국사회체육학회 1 (1): 399-410, 2013

      5 윤석주, "프로야구 팀 브랜드 연상이 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팀 동일시의 조절효과" 한국체육과학회 22 (22): 515-529, 2013

      6 김일광, "프로야구 구단의 사회공헌활동인식, 구단평판, 팀 충성도의 관계: 팀 동일시 수준의 조절효과" 한국체육학회 49 (49): 235-249, 2010

      7 이재덕, "프로야구 구단의 공익연계 마케팅이 구단 이미지와 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10 (10): 57-69, 2005

      8 김용만, "프로스포츠 팀의 공익연계마케팅 활용 방안" 한국체육학회 43 (43): 247-262, 2004

      9 노승찬, "프로스포츠 구단의 사회적책임(CSR) 활동이 구단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CSR적합성 및 팀동일시의 조절효과" 한국체육학회 52 (52): 313-326, 2013

      10 박명국, "프로스포츠 관중의 관람 동기, 팀 연상, 팀 충성도의 구조적 관계"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17 (17): 1-12, 2012

      1 임지송, "한국프로농구연맹의 출범과정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2 한기훈, "프로축구팀의 공익연계 마케팅이 팀 이미지와 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47 (47): 223-233, 2008

      3 이건희, "프로야구팀 브랜드 인지, 연상 및 브랜드자산의 관계" 한국체육학회 45 (45): 347-358, 2006

      4 박진기, "프로야구구단의 CSR활동과 스포츠팬의 호혜성 지각 및팬 행동의 인과관계 분석" 한국사회체육학회 1 (1): 399-410, 2013

      5 윤석주, "프로야구 팀 브랜드 연상이 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팀 동일시의 조절효과" 한국체육과학회 22 (22): 515-529, 2013

      6 김일광, "프로야구 구단의 사회공헌활동인식, 구단평판, 팀 충성도의 관계: 팀 동일시 수준의 조절효과" 한국체육학회 49 (49): 235-249, 2010

      7 이재덕, "프로야구 구단의 공익연계 마케팅이 구단 이미지와 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10 (10): 57-69, 2005

      8 김용만, "프로스포츠 팀의 공익연계마케팅 활용 방안" 한국체육학회 43 (43): 247-262, 2004

      9 노승찬, "프로스포츠 구단의 사회적책임(CSR) 활동이 구단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CSR적합성 및 팀동일시의 조절효과" 한국체육학회 52 (52): 313-326, 2013

      10 박명국, "프로스포츠 관중의 관람 동기, 팀 연상, 팀 충성도의 구조적 관계"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17 (17): 1-12, 2012

      11 황인선, "프로배구 팀 연상이 팀 충성도 및 고객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12 이상일, "프로배구 팀 연상이 팀 충성도 및 고객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32) : 263-272, 2008

      13 이상일, "프로배구 타이틀 스폰서 인지와 이미지 일치성에 따른 스포츠 스폰서십 효과 분석"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15 (15): 49-62, 2010

      14 유용상, "프로농구단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연고지역 주민의 태도와 팀이미지, 팀동일시, 팀충성도와의 관계" 한국체육학회 47 (47): 187-199, 2008

      15 김형균, "프로농구단의 미디어 분석을 통한 가치측정과 마케팅 전략"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4

      16 김주영, "프로농구 구단의 사회적 책임(CSR)활동 유형과 브랜드자산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 (42) : 455-469, 2010

      17 김동기, "프로농구 관람객 분석을 통한 관람스포츠의 활성화 방안" 4 (4): 53-65, 2013

      18 박성준, "프로구단 CSR의 일관성, 적합성, 진정성, CSR 평가, 팀브랜드 연상, 팀동일시, 팀충성도간의 구조적 관계" 경희대학교 체육대학원 2015

      19 조재수, "적합성과 일관성에 대한 인식이 CSR활동에 대한 소비자들의 평가에 미치는 영향 : 구조적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학회 24 (24): 277-299, 2013

      20 허진영, "심리적 지속 모델(PCM)을 이용한 프로 스포츠 관중의 팀 충성도 발전과정 검증" 한국체육학회 45 (45): 461-472, 2006

      21 이미영, "신문브랜드자산(Brand Equity)에 영향을 미치는 브랜드연상 요인연구" 한국광고학회 15 (15): 83-113, 2004

      22 홍석표, "스포츠 브랜드 연상 척도의 개발 및 표준화" 한국체육학회 46 (46): 281-291, 2007

      23 김병재, "소비자-브랜드 관계 형성에의 영향 요인과 관계 성과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학회 16 (16): 55-81, 2005

      24 Lacey, R., "The pivotal roles of product knowledge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n event sponsorship effectiveness" 63 (63): 1222-1228, 2010

      25 Mahony, D. F., "The impact of attitudes on the behavioral intentions of s port s pectators" 2 (2): 96-110, 1998

      26 Mohr, L. A., "The effect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price on consumer responses" 39 (39): 121-147, 2005

      27 Bowen, H. R., "Social responsibility of the businessman" Harper & Row 1953

      28 Nunnally, J. C., "Psychological theory" McGraw Hill 1994

      29 Hair, J. F., "Multivariate data analysis" Prentice Hall International 1998

      30 Heere, B., "Measuring attitudinal loyalty : Separating the terms of affective commitment and attitudinal loyalty" 22 (22): 227-, 2008

      31 Pride, W. M., "Marketing" Houghton Mifflin Company 1997

      32 Gladden, J. M., "Managing north American major professional sport teams in the new millennium : A focus on building brand equity" 15 (15): 297-317, 2001

      33 Funk, D. C., "Equating attitudes to allegiance : The usefulness of selected attitudinal information in segmenting loyalty to professional sports teams" 9 : 175-184, 2000

      34 Bhattacharya, C. B., "Doing better at doing good : When, why, and how consumers respond to corporate social initiatives" 47 (47): 9-24, 2004

      35 Challagalla, G. N., "Dimensions and Types of Supervisory Control: Effects on Salesperson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60 (60): 89-105, 1996

      36 Ross, S. D., "Development of a scale to measure team brand associations in professional sport" 20 (20): 260-, 2006

      37 Gladden, J. M., "Developing an understanding of brand associations in team sport : Empirical evidence from consumers of professional sport" 16 (16): 54-81, 2002

      38 Dick, A. S., "Customer loyalty : Toward an integrated conceptual framework" 22 (22): 99-113, 1994

      39 Klein, J.,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consumers' attributions and brand evaluations in a product-harm crisis" 21 (21): 203-217, 2004

      40 Funk, D. C., "Consumer loyalty : The meaning of attachment in the development of sport team allegiance" 20 (20): 189-217, 2006

      41 Keller, K. L., "Conceptualizing, measuring, and managing customer-based brand equity" 57 (57): 1-22, 1993

      42 Varadarajan, P. R., "Cause-related marketing : a coalignment of marketing strategy and corporate philanthropy" 52 (52): 58-74, 1988

      43 Aaker, D. A., "Capitalizing on the value of a brand name" Free Press 1991

      44 Kotler, D. P., "Cachexia" 133 (133): 622-634, 2000

      45 박승배, "CSR이 브랜드자산과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제품품질과 서비스품질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5 : 339-343, 2014

      46 Jacoby, J., "Brand loyalty: Measurement and management" John Wiley & Sons 1978

      47 Biel, A. L., "Brand Equity and Advertising: Advertising’s Role in Building Strong Brand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67-82, 1993

      48 Barich, H., "A framework for marketing image management" 32 (32): 94-104, 1991

      49 Ross, S. D., "A conceptu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spectator-based brand equity" 20 : 22-38,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6 0.66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6 0.593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