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실험에서는 함초에 포함 되어 있는 불용성 식이섬유를 추출 분리 하여 변비가 유발된 흰쥐에서의 다양한 장 기능 개선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실험은 Sprague-Dawley계 수컷 흰쥐를 사용...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137888
2014
Korean
594
SCOPUS,KCI등재
학술저널
648-654(7쪽)
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실험에서는 함초에 포함 되어 있는 불용성 식이섬유를 추출 분리 하여 변비가 유발된 흰쥐에서의 다양한 장 기능 개선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실험은 Sprague-Dawley계 수컷 흰쥐를 사용...
본 실험에서는 함초에 포함 되어 있는 불용성 식이섬유를 추출 분리 하여 변비가 유발된 흰쥐에서의 다양한 장 기능 개선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실험은 Sprague-Dawley계 수컷 흰쥐를 사용하였으며 Normal군, Control군, 5% α-cellulose군, SHDF 5%, SHDF 10%군으로 나누었다. AIN-93 기본식이에 다른 식이섬유를 첨가하여 4주 동안 식이하여 혈청 중 지질 성분의 생화학적 분석, 대변량과 수분 함유량의 변화, 장 통과시간 측정, 분변 중 pH와 담즙산 측정, 대장의 병리조직학적 관찰 등을 통해 결과를 얻었다. 혈중 triglyceride 함량은 Control군에 비해 SHDF 10%군이 유의성 있는 감소를 보여 주었고 심지어, 5% α-cellulose군과 비교하여 효과적인 감소를 보여주었다. HDL-cholesterol의 함량은 Control군에 비해서 모든 군에서 모두 유의성 있는 증가를 보여주었다. 채집한 분변의 wet weight와 dry weight는 모두 Control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증가를 보였으며, 배출된 대변에서의 수분양이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분변의 장 통과시간이 Control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단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변의 pH는 Control군에 비해 함초의 식이에 의해 유의성 있는 감소를 모였으며, 담즙산은 유의성 있게 증가했다. 조직의 염색상을 통해 장샘의 길이와 전체적인 형태를 확인한 결과 Control군에 비하여 함초식이군에서 조직의 손상이 회복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함초의 불용성 식이섬유는 혈중 triglyceride의 감소와 HDL-cholesterol을 증가시키고, 대변량을 증가시키고 장 통과시간을 단축하여 손상된 장관내 환경을 개선시킴으로써, 장점막층의 빠른 회복을 통하여 변비 등과 같은 장기능 저하에 탁월한 효과를 가질 것으로 생각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insoluble dietary fibers extracted from Salicornia herbacea L. (S. herbacea) on the improvement of intestinal function in rats. Sprague-Dawley rats were fed on diet containing 5% and 10% S. herbacea dietary fiber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insoluble dietary fibers extracted from Salicornia herbacea L. (S. herbacea) on the improvement of intestinal function in rats. Sprague-Dawley rats were fed on diet containing 5% and 10% S. herbacea dietary fiber (SHDF) for four weeks. Rats receiving the SHDF diet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ir triglyceride levels and an increase in HDL-cholesterol levels. In additio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SHDF group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total quantity of the feces and its moisture content. The intestinal transit time of the feces was also shorter in this group. The pH of the feces decreased in all the other experimental groups. Particularly, the bile acid content of the feces and the thicknesses of the mucus layers showed significant recovery on SHDF intake. These results suggest that dietary fiber isolated from S. herbacea has a marked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bowel function in rats with loperamide (2 ㎎/㎏)-induced constipation.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진태, "함초의 생리활성기능 탐색" 대한본초학회 17 (17): 7-69, 2002
2 한승관, "폐염전에서 채취한 함초(Salicornia herbacea L.)의 항산화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2 (32): 207-210, 2003
3 네티엘마와티, "퉁퉁마디로부터 색소체 외막 단백질 유전자의 분리 및 발현분석" 한국식물생명공학회 31 (31): 273-278, 2004
4 조영철, "토양염분·시비 조건에 따른 퉁퉁마디 생장 및 발이 특성" 한국약용작물학회 10 (10): 5-108, 2002
5 Shin KS, "자생식물 함초(Salicornia herbacea L.)의 이화학적 성분조성" 한국자원식물학회 15 (15): 40-45, 2002
6 박민희, "수리취 식이섬유가 Loperamide로 유발된 변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0 (40): 1715-1719, 2011
7 Fernadez ML, "Vergara-Jimenez M. Resistant starch and cholestyamine have distinct effects on hephatic cholesterol metab-olism in guinea pigs fed a hypercholesterolmic diet" 20 : 837-849, 2000
8 Eastwood MA, "The physiological effect of dietary fiber: An update" 12 : 19-35, 1992
9 Park SH, "The effect of dietary fiber feeding on gastrointestinal functions and lipid and glucose metabolism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27 : 311-322, 1994
10 Maes C, "Structural characterization of water-extract-able and water-unextractable arabinoxylans in wheat bran" 35 : 315-326, 2002
1 이진태, "함초의 생리활성기능 탐색" 대한본초학회 17 (17): 7-69, 2002
2 한승관, "폐염전에서 채취한 함초(Salicornia herbacea L.)의 항산화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2 (32): 207-210, 2003
3 네티엘마와티, "퉁퉁마디로부터 색소체 외막 단백질 유전자의 분리 및 발현분석" 한국식물생명공학회 31 (31): 273-278, 2004
4 조영철, "토양염분·시비 조건에 따른 퉁퉁마디 생장 및 발이 특성" 한국약용작물학회 10 (10): 5-108, 2002
5 Shin KS, "자생식물 함초(Salicornia herbacea L.)의 이화학적 성분조성" 한국자원식물학회 15 (15): 40-45, 2002
6 박민희, "수리취 식이섬유가 Loperamide로 유발된 변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0 (40): 1715-1719, 2011
7 Fernadez ML, "Vergara-Jimenez M. Resistant starch and cholestyamine have distinct effects on hephatic cholesterol metab-olism in guinea pigs fed a hypercholesterolmic diet" 20 : 837-849, 2000
8 Eastwood MA, "The physiological effect of dietary fiber: An update" 12 : 19-35, 1992
9 Park SH, "The effect of dietary fiber feeding on gastrointestinal functions and lipid and glucose metabolism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27 : 311-322, 1994
10 Maes C, "Structural characterization of water-extract-able and water-unextractable arabinoxylans in wheat bran" 35 : 315-326, 2002
11 Willet W, "Relation of meat, fat and fiber intake to the risk of colon cancer in a prospective study among women" 332 : 1664-1672, 1990
12 El SN, "Radical scavenging and iron-chelating activi-ties of some greens used as traditional dishes in mediterranean diet" 55 : 67-74, 2004
13 Miettinen TA, "Quantitative isolation and gas-liquid chromatographic analysis of total dietary and fecal neu-tral steroids" 6 : 411-424, 1965
14 McDougall GJ, "Plant cell walls as dietary fibre: Range, structure, processing and function" 70 : 133-150, 1996
15 Jin-GiMin, "Physiologic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Salicornia herbacea (Tungtungmadi) Leaf Extracts" 한국식품영양과학회 7 (7): 261-264, 2002
16 AOAC, "Official Method of Analysis of AOAC Intl. 16 th ed. Method 991.43"
17 Anderson JW, "Lipid responses of hypercholesterolemic men to oat-bran and wheat-bran intake" 54 : 678-683, 1991
18 Seo JS, "Influence of sources and levels of dietary fiber on lipid composition in rats" 21 : 164-172, 1988
19 Yang EJ, "Health risks in relation to dietary changes in Korean Americans" 16 : 515-524, 2001
20 Nakamura T, "Enzymatic maceration of vege-tables with protopectinases" 60 : 468-472, 1995
21 Crowell MJ, "Enzymatic determination of 3-, 7-, and 12-hydroxyl groups of fecal bile acids" 26 : 1298-1300, 1980
22 Yang JL, "Effects of dietary fibers on choles-terol metabolism in cholesterol-fed rats" 26 : 116-122, 1997
23 Lee SH, "Effect of mugwort, onion and polygalae radix on the intestinal environment of rats" 27 : 598-604, 1995
24 Lee HA, "Effect of dietary fiber sources on the composition of intestinal microflora in rats" 27 : 988-995, 1994
25 Lee HJ, "Effect of alginic acid, cellulose and pectin level on bowel function in rats" 30 : 465-477, 1997
26 Heller SN, "Dietary fiber: the effect of particle size of wheat bran on colonic function in young adult men" 33 : 1734-1744, 1980
27 Eastwood M, "Dietary fiber: how did we get where we are?" 25 : 1-8, 2005
28 Lee HS, "Dietary fiber intake of Korean" 26 : 540-548, 1997
29 Kim SH, "Determination and physical proper-ties of dietary fiber in seaweed products" 17 : 320-325, 1988
30 Prosky L, "Determina-tion of insoluble, soluble, and total dietary fiber in foods and products. Ieterla-boratory study" 71 : 1017-1023, 1988
31 Stevens J,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psyllium and wheat bran on gastrointestinal tran-sit time and stool characteristics" 88 : 323-326, 1988
32 Jin-Gi Min, "Chemical Composition of Salicornia Herbacea L." 한국식품영양과학회 7 (7): 105-107, 2002
33 Raiser S, "Blood lipids, lipoproteins, apoproteins and uric acid in men fed diets countining high fructose or high amylose corn-starch" 49 : 832-839, 1989
34 Folch J,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s from animal tissues" 223 : 497-509, 1957
스트렙토조토신 유발 당뇨 쥐의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매생이 추출물의 신장 보호 효과
유산균 생존율 향상을 위한 식품첨가물 등급의 동결보호제 탐색
콜라비 새싹 추출물과 무순 추출물의 항산화 및 지방세포 분화 억제 활성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
2010-11-23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1-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199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3 | 1.03 | 1.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1 | 1.08 | 2.013 | 0.18 |